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EV UV단자의 스트립 레이아웃과 금형설계에 관한 연구

        최계광(Chio Kye-Kwang),김세환(Kim Sei-hwan),조윤호(Cho, Yun-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12

        본 논문에서는 HEV UV단자를 자동화 모듈인 씨마트론 다이 디자인을 활용하여 스트립 레이아웃설계를 3D로 하였다. 제품의 스탬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스트립 레이아웃을 33.5도 경사지게 수정하여 광폭 1열 1개 뽑 기의 내측캐리어를 단 배열로 블랭크 레이아웃을 최적화하였다. 1개의 금형에서 두개의 단자를 공용으로 양산하기 위해 29개 공정으로 3D 스트립 레이아웃설계 및 금형설계를 완성하였다. The This research paper deals with research on the 3D strip layout design of HEV UV terminal by utilizing the Cimatron Die Design, an automation module. To ensure smooth stamping of the product, strip layout was corrected for 33.5 degrees of slope, and blank layout of the double-width, 1-line, 1-pull out inner carrier was then optimized as a single arrangement. To mass-produce two different terminals from one common die, 3D strip layout design and die design were completed in 29 different processes.

      • KCI등재

        프레스 금형의 가공 및 제작 공정의 자동화에 관한 연구

        최계광(Chio Kye-Kwang),김세환(Kim Sei-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11

        프레스 금형의 가공 및 제작 공정의 자동화란 불필요한 반복 작업을 피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표준 품질의 가공물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자동화의 범위는 3차원 금형설계, 머시닝 센터, 와이어 컷 방전가공, 도면작업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컨트롤박스제어 센서에 사용되는 Irp브라켓으로 3차원 금형설계 후에 동일한 환경에 서 프레스 금형의 가공 및 제작 공정 자동화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The automation of the machin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press die is designed to shorten the working time by avoiding unnecessary repetitive works and to obtain subject articles with standard quality. Automation as used in this paper includes 3-D die design, machining center, wire-cut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drawing works. This paper deals with research work on the automation of the machin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s die after 3-D die design using the Irp bracket for the control box sensor. The research was conducted under the same setting as that of die design.

      • KCI등재

        씨마트론 다이 디자인을 활용한 브라켓의 스트립 레이아웃설계에 관한 연구

        최계광(Chio Kye-Kwang),이동천(Lee, Dong-Ch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9 No.5

        프로그레시브금형에 있어서 스트립 레이아웃설계는 제품 양산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브라켓의 스트립 레이아웃설계를 하였다. 3D모델링이 아닌 자동화 모듈인 씨마트론 다이 다자인을 활용하여 3D로 스트립 레이아웃설계를 하였다. 광폭 2열 2개 뽑기의 내측캐리어를 단 배열로 블랭크 레이아웃을 최적화하였다. 사용된 3D CAD/CAM 소프트웨어는 Cimatron Die Design이며 10개 공정으로 스트립 레이아웃설계를 완성하였다. Strip layout design in progressive di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applicability of mass production. In this study, the layout design of bracket strips used for automobiles was executed. The strip layout design was made in 3D with the use of Cimatron die design, an automation module rather than a 3D modeling module. Blank layout has been optimized through a layer arrangement of the wide run positioning inside carrier (double-row and two-pass type). The 3D CAD/CAM software used was Cimatron Die Design; the strip layout design was completed in ten processes.

      • KCI등재후보

        금형가공방법이 합금공구강 표면에 미치는 영향

        최계광(Chio Kye-Kwang),김세환(Kim Sei-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6 No.5

        본 논문은 합금공구강을 기계 가공한 시편과 와이어 컷 방전가공한 시편의 가공면 표면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와이어 컷 방전가공으로 금형을 제작하면 기계가공으로 가공하기 어려운 형상의 제품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기계가공으로 제작된 금형에 비해 수명이 현저히 저하된다. 이러한 요인은 와이어 컷 방전가공으로 제작된 금형 표면에 가공 변질층이 발생하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두 시편의 표면 거칠기 측정 결과 l차 와이어 컷 방전가 공한 시편의 표면 거칠기 분포가 거칠음을 알 수 있었다. 주사 전자 현미경 관찰 결과 두 시편의 표면부와 단면부는 큰 차이를 보였고 와이어 컷 방전가공한 시편의 단면부는 표면의 급열 급랭된 조직이 가공 변질층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has comparativel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chined surface of a specimen made by machining Die Steel STOII and a specimen obtained by W-EDM steel. If a press die is manufactured through W-EDM, products of shapes that cannot easily be made through machining can be manufactured easily. However, the life of the press die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press die made through machining. This is believed to be caused by the deformed layer that has occurred on the surface of the press die that was made through W-EDM. The roughness of the 2 specimens was measured, and it was learne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roughness of the specimen made through the 1st W-EDM was rough. When the specimens were observed using a scanning-electron microscop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and the cross-section of the 2 specimens, while the cross section of the specimen obtained through W-EDM had the tempered and quenched surface structure which exists in the form of a deformed layer.

      • KCI등재후보

        8각 아웃렛 박스 제조용 금형 및 주변기기 개발

        최계광(Chio Kye-K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6 No.6

        본 논문은 8각 아웃렛 박스 제조용 수동 금형을 2벌의 금형으로 자동화한 것에 관한 연구이다. 8각 아웃렛 박스는 건축물의 전선관용 스위치 박스 또는 배선 연결용 박스이다. 이 박스를 제조 할 때는 제 l차 프레스에서 성형 하고 제 2-6차 프레스로 8각 아웃렛 박스의 4측면 가공과 벤딩을 하게 되므로 프레스 6대, 금형 6벌, 작업자 7명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인건비 과다발생, 생산속도 저조, 불량률 10% 이상 발생, 제조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으며, 프레스의 굉음과 진동 및 안전사고의 위험 등으로 작업자들이 직무를 기피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없애기 위해 금형 5벌을 I벌의 금형에 통합시킨 캠금형 개발과 자동이송장치를 개발 하였다. 그 결과 프레스 2대와 금형 2별로 무인화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직무기피요인을 해소하게 되고 제조원가 절감효과를 얻게 되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manually operated die used for the manufacture of octagonal boxes into two sets of automated die. In particular, theoctagonal boxes are used for the switch boxes intended for the cable conduit of buildings or for wiring connection. Manufacturing these boxes requires forming the materials using the primary press before they undergo 2nd through 6th processing by the press machine including the four sides of the octagonal outlet box and bending. Such complicated process hikes up labor cost, slows down production, and results in defect rate of 10% or higher; hence the overall rise in manufacturing cost. Moreover, workers avoid this type of work due to the roar and vibration coming from the press and the risk of accident. To eliminate such phenomenon, a CAM die made by integrating five sets of die into one set of die and an automatic conveyor system were developed. As a result, unmanned work was realized with only two units of press and two sets of die; thus solving the problem of work being avoided and saving on manufacturing cost.

      • KCI등재후보

        3차원 CAD/CAM을 활용한 액정용 실드 케이스의 스트립 레이아웃 설계에 관한 연구

        최계광(Chio Kye-K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8 No.5

        본 논문에서는 액정용 실드 케이스 (Shield Case)의 스트립 레이아웃 도를 작성하였다. 프레스 금형에 있어서 스트립 레이아웃 도는 제품 양산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이다. 장착되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요인을 용이하게 수정하기 위하여 3D CAD/CAM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블랭크 레이아웃을 최적화하고 광폭배열로 스트립 레이아웃 하여 재료 이용률을 60.17%로 향상시켰다. 또한 얇은 소재두께로 인해 변형 발생이 예상되는 노칭부위에 집중적으로 비딩공정을 추가하여 제품의 평탄도를 요구사항에 맞게 적용하였다. 사용된 3D CAD/CAM 소프트웨어는 Unigraphics NX 3.0 이며 12개 공정으로 스트립 레이아웃 도를 작성하였다. In this thesis, a strip layout drawing of LCD S/C (shield case) was prepared. In the press die, strip layout drawing is a major factor that decides the mass production of a product. The 3D CAD/CAM system was applied for the easy correction of the interference factor with other parts to be mounted. The material use ratio was enhanced to 60.17% by optimizing the blank layout and strip layout in double width array. Furthermore, the flatness of the product was made to fit the requirements by adding the bidding process intensively on the notching part where the occurrence of the change in shape is expected owing to the thin material. For the 3D CAD/CAM software, Unigraphics NX3.0 was used. The strip layout drawing was prepared in 12 processes.

      • KCI등재

        HEV용 전기모터 터미널 금형의 설계 및 제작에 관한 연구

        최계광(Chio Kye-Kwang),김세환(Kim Sei-hwan),이동천(Lee, Dong-Ch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12

        전기를 사용하는 친환경 자동차는 상이하지만 전기모터, 배터리, BMS, 인버터, 컨버터 등이 각기 핵심기술 이다. 특히 전기모터의 주요부품 중 하나인 터미널 부품을 금형설계 및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모터 터미널 금형의 제작과정 중 조립성 불량 수정, R부 형상 수정, 구멍과 구멍간의 위치 수정 등의 문제점을 도출, 수정, 해결 하고자 하였다. Environment-friendly vehicles using electricity vary, but electrical motor, battery, BMS, inverter, converter, etc., are the core technologies. This research paper deals with the die design and manufacture of the terminal part, one of the key parts of the electrical motor. This research sought to introduce problems such as assembly defect, correction of the R-part shape, correction of the location between holes, etc.,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electrical motor terminal die and to produce final products by correcting the problems that were tackled herein.

      • KCI등재후보

        CAD/CAM을 활용한 로터리 압축기의 사이드 블록 제작

        최계광(Chio Kye-K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6 No.6

        본 연구는 로터리 압축기의 사이드 블록 제작에 C뼈CAM을 활용한 것이다. 캠 시스템은 CAD(Solidworks), CAM (I-MASTER) 소프트웨어 및 CNC 밀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캠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수치 제어 프로그래밍을 위한 G-코드 작성에 쓰인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in introduce CAD/CAM application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rotary compressor side block. CAM systems consist of CAD(Solidworks), CAM(I-MASTER) software and CNC milling machine. CAM software is used to simulate the tool path and generate G-code for CNC programming.

      • KCI등재후보

        3D CAD/CAM을 활용한 다이 플레이트의 설계 및 가공

        최계광(Chio Kye-K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7 No.4

        본 논문에서는 다이 플레이트(Die Plate)를 제작할 때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3D CAD/CAM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사용된 3D CAD/CAM 소프트웨어는 UG NX 3.0이며 생성된 NC 코드는 CNC밀링 및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에 전송되어 다이 플레이트를 자동 가공한다. This study used the 3D CAD/CAM system in manufacturing die plates to improve productivity. UG NX 3.0 was used as 3D CAD/CAM software, with the created NC code transmitted to the CNC Milling and Wire Cut Electric Discharge machine. The die plate was then automatically machined.

      • KCI등재

        Unigraphics NX4.0의 PDW를 활용한 픽업 프레임 스트립 레이아웃 설계에 관한 연구

        최계광(Chio Kye-Kwang),김세환(Kim Sei-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9 No.3

        본 논문에서는 픽업프레임의 스트립 레이아웃 도를 작성하였다. 프레스 금형에 있어서 스트립 레이아웃 도는 제품 양산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이다. 장착되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요인을 용이하게 수정하기 위하여 3D CAD/CAM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블랭크 레이아웃을 최적화하고 광폭배열로 스트립 레이아웃 하여 재료 이용률을 28.49 %로 향상시켰다. 사용된 3D CAD/CAM 소프트웨어는 Unigraphics NX 4.0이며 12개 공정으로 스트립 레이아웃 도를 작성하였다. In this thesis, the drawing was prepared for the strip layout of the pickup frame In the press die, the drawing for press layout is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the mass production of the product. The 3D CAD/CAM system was applied to easily correct interference factors with other parts to be mounted. This study improved the material utilization ratio to 28.49 % by optimizing the blank layout and strip layout in wide-width arraying. The 3D CAD/CAM software used is Unigraphics NX 4.0, and the strip layout drawing was prepared in 12 proc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