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증거성 추론 특성

        박소은(Soeun, Park),황민아(Mina, Hwang),최경순(Kyungsoon, Choi)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SLI 아동을 대상으로 문법형태소 증거성 표지에 대한 정보 확실성을 추론하는 증거성 추론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초등 1-2학년 SLI 10명, 생활연령 일치 일반아동 10명, 언어연령 일치 일반아동 10명의 총 30명이었다. 과제는 일련 사건에 대하여 직접경험 ‘-어’ 표지와 간접경험 ‘-대’ 표지 조건 10문항, 직접경험 ‘-어’ 표지와 간접추론 ‘-나봐’표지 조건 10문항의 20문항이었다. 아동들은 각 조건에서 서로 다른 증거성 표지가 포함된 진술에 대하여 정보 확실성이 더 높다고 판단되는 진술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학령기 SLI아동은 두 조건 모두에서 직접경험 표지 진술을 선택함에 있어 또래 일반아동보다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으나, 동일 언어연령아동과는 유사한 수행을 나타냈다. 또한 세 집단 모두 직접경험표지-간접경험표지 조건보다 직접경험표지-간접추론표지 조건에서 직접경험 표지 진술 선택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론: 학령기 SLI 아동은 문법성 증거성 표지에 대한 증거성 추론에 있어서 또래보다 미숙하며, 증거성 표지 유형에 따라 정보 확실성에 대한 판단의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고, 이와 관련된 언어 능력 뿐아니라 인지 화용적 결함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evidential reasoning for grammatical evidence markers in school-ag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Method: 10 school-age SLI children, 10 age-matched typical development children(CA), 10 language age-matched children(L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vidence reasoning task involved selecting a statement with more trust in a testimony from among two statements containing different grammatical evidence markers for the same event. The task consisted of 20 questions, consisting of 10 questions for direct experience ‘-e’ versus hearsay ‘tay’, and 10 questions for direct experience ‘-e’ versus indirect inference markers ‘nabwa’. The participants chose statements that were more reliable between the two. Results: School-age SLI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poorer performance than CA group in selecting the direct experience ‘-e’ in both conditions but showed similar performance to the LA group. Additionally, in all three groups, the choice of direct experience ‘-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dition of direct experience versus hearsay ‘tay’ than in that of direct experience ‘-e’ verus indirect inference ‘nabwa’. Conclusion: School-age SLI children exhibited less maturity than their peers in comprehending evidential reasoning for grammatical evidence markers, and showed a higher difference in trust in testimony to the type of grammatical evidence markers.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단어재인에서 간섭자극 억제능력

        황민아(Mina Hwang),임종아(JongAh Lim),최경순(Kyungsoon Choi),고선희(Sunhee Ko),최소영(Soyoung Choi),김주형(Joohyoung Kim),전미영(MiYoung Je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여러 연구에서 ADHD 아동들의 반응 억제 결함이 충동성과 과잉행동 및 그에 따른 다양한 행동문제를 야기하는 근본적인 결함이라고 주장하였다(Barkley, 1997; Schachar, Tannock, Marriott, & Logan, 1995). 본 연구에서는 단어재인 과제에서 언어적 간섭자극이 주어졌을 때 ADHD 아동의 억제능력을 일반 아동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3-6학년에 재학 중인 ADHD 아동 11명과 일반 아동 1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아동들은 어휘, 문장따라말하기, 단어재인, 읽기이해에서 정상적인 발달 수준에 있었다. 아동들은 교차-양상 단어재인 간섭과제를 수행하였는데, 아동들은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간섭단어를 무시하고 동시에 시각적으로 제시되는 목표단어를 가능한 빠르게 읽도록 지시받았다. 간섭자극의 유형에 따라 세가지 간섭조건이 구성되었는데, 중복간섭 조건에서는 간섭단어와 목표단어의 목록이 같았고, 비중복간섭 조건에서는 간섭단어와 목표단어의 목록이 달랐고, 무간섭조건에서는 청각적 간섭단어가 제시되지 않았다. 결과: 목표단어의 읽기 반응 시간에 대해서 집단×간섭유형의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의 주효과, 간섭유형의 주효과 및 집단과 간섭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무간섭조건에서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목표단어 읽기 반응시간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았지만, 두 간섭조건에서는 ADHD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하여 목표단어 읽기 반응시간이 유의미하게 느렸다. 논의 및 결론: ADHD 아동들은 일반 아동과 비슷한 수준의 단어재인 능력을 갖고 있더라도 언어적 간섭자극이 주어지는 경우에 간섭자극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서 결과적으로 목표단어의 단어재인이 방해를 받았다. ADHD 아동의 억제 결함이 언어처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Objectives: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primary deficit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DHD) is in response inhibition, resulting in impulsiveness and hyperactivity and causing various behavioral problems (Barkley, 1997; Schachar, Tannock, Marriott, & Logan, 1995).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nhibi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DHD during word recognition while interfering words were presented. Methods: Eleven children with ADHD and 19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ll in grade 3 to 6,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were developmentally within normal range in vocabu¬lary, sentence repetition, word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y performed a cross-modal Stroop-like task of word recognition, where two different words were simulta¬neously presented visually and auditorily.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ad the target word on a computer screen as fast as they could, while ignoring the auditorily presented inter-fering word. Three conditions were constructed based on interference types: interfering words and target words from the same set of words, interfering words and target words from different sets, and no interfering words. Results: Without interference, the ADHD chil¬dren were not different from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reaction time of tar¬get word reading. However, in the two conditions with auditory interference, the ADHD children’s reading time was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ADHD were less effective in inhibiting the interfering words while reading. The influence of inhibition deficit of ADHD children on language processing was discussed.

      • KCI등재

        2세 말늦은 아동의 의미 범주화 특성: 분류학적 가정을 중심으로

        정미림(Jung, Mirim),황민아(Hwang, Mina),최경순(Choi, Kyungsoo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1

        본 연구는 표현어휘가 부족하다고 알려진 말 늦은 아동이 다양한 의미범주 수준에서 분류학적 가정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4-35개월 말 늦은 아동 20명과 또래 일반아동 26명이었다. 연구과제로서 기본수준 및 상위수준에서 제시된 그림자극을 보고 주제적 관련 그림과 분류적 관련 그림의 두 개 자극 중에서 새단어(novel word) 제시 유무에 따라 어떤 자극을 선택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말 늦은 아동은 기본 범주 및 상위 범주 모두에서 새로운 단어 제시 유무와 상관없이 분류적 관련 자극을 선택하는 정도가 일반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반면, 일반아동의 경우 상위 범주에서 단어가 제시되었을 때 분류적 관련 자극을 선택하는 정도가 단어없는 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 할 때 말 늦은 아동은 또래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어휘습득에 있어서 분류학적 가정을 사용하는 것이 제한되어 있으며, 특히 상위 범주보다 기본범주에서 그러한 제한은 더욱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late-talkers who are known to lack expressive vocabulary apply taxonomic assumptions at various semantic category levels. The participants were 20 late-talkers between 25 and 35 months in age and 26 general peers. At the basic semantic level and the superordinate semantic level, to observes taxonomic assumptions, we examined which stimulus was select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novel word among two stimuli (thematic and taxonomic). Late-talkers were found to be limited in using taxonomic assumptions at both the basic semantic level and the superordinate semantic level,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novel word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general children, when the novel word was presented in the superordinate semantic level, the taxonomic stimulu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wordless condition, so that the taxonomic assumption was applied. Based on these results, late-talkers were found to have limited use of taxonomic assumptions in vocabulary acquisition with regard to their peers, especially at the basic level compared to the superordinate semantic level.

      • KCI등재

        학령기 경계선 지능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배경지식 유무에 따른 추론 능력

        김선경(Sunkyoung, Kim),황민아(Mina, Hwang),최경순(Kyungsoon, Choi)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경계선 지능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배경지식 유무에 따른 상황 추론 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초등 2-3학년 경계선 지능 언어발달지연 아동 10명, 생활연령 일치 일반 아동 10명, 언어연령 일치 일반 아동 10명의 총 3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제는 배경지식 제시 조건 10문항, 배경제식 무제시조건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아동들은 배경지식 제시 조건에서 상황설명 2문장과 관련 배경지식 문장 1문장을 들은 후, 상황에 대한 추론을 수행하였고, 배경지식 무제시 조건은 상황설명 문장 후 배경지식 문장 없이 추론을 수행했다. 연구결과: 경계선 지능 언어발달지연 아동은 배경지식 제시 여부와 관련 없이 두 조건 모두에서 생활연령 일치 아동 뿐 아니라 언어연령 일치 아동과도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나타냈다. 또한 추론 오류유형은 배경지식 제시 유무에 따라, 집단에 따라 양상이 달랐다. 경계선 지능 언어발달지연 아동은 모든 조건에서 생활연령 일치 아동과 언어연령 일치 아동에게는 보이지 않는 ‘무응답’과 ‘이해실패’ 오류유형이 나타났다. 배경지식 무제시 조건에서는 ‘틀린 추론’ 오류가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배경지식 제시 조건에서는 ‘미숙한 추론’이 압도적이었다. 결론: 경계선 지능 언어발달 지연아동은 언어연령 일치 일반 아동보다도 미숙한 추론능력이 관찰되었으며, 명시적으로 정보가 제시되었더라도 관련된 정보의 연결을 기반한 추론에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오류 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추론실패에 대한 원인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situational reasoning ability according to background knowledge of school-age children with delayed borderline intelligence language development. Method: 10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delay in the second or thir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10 chronologically age-matched (CA) children and 10 language age-matched (LA) children were part of the study. The task consisted of 10 items for background knowledge conditions and 10 items for no background knowledge conditions. In the background knowledge condition, children were made to listen to two sentences describing situations and one sentence of background knowledge, and performed inference about the situation. In the no background knowledge condition, the children listened to two sentences of the situation description, and performed inference without the background knowledge sentence. Results: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delay showed significantly poor performances compared to both CA and LA children, in both conditions. However, the type of reasoning error varied depending on the group and conditions. In both conditions,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delay displayed “no-response,” and “failure of understanding” errors, which were not visible in the other groups. Conclusio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nd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were observed to have less proficiency in inference than LA children. It was further confirmed that they had difficulty in inference based on related background information even if it was explicitly presented. Additionally, through error analysis, the causes of their reasoning failure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령기 경계선지능아동의 수수께끼 유머 이해 능력

        안혜리(Hyeri, Ahn),황민아(Mina, Hwang),최경순(Kyungsoon, Choi)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경계선지능아동의 상위언어능력을 살펴보고자 함에 있었다. 이를 위하여 학령기에 활발하게 사용되는 수수께끼 유머를 통하여 학령기 경계선지능 아동의 상위언어능력을 반영하는 유머이해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생활연령 8-9세 학령기 경계선 지능아동 10명, 생활연령 일치 일반 아동 10명 및 언어연령 일치 일반아동 10명의 총 30명이었다. 연구과제로서 초등 저학년 아동 수준의 수수께끼 유머 이해 과제 25문항을 제작하여 실시하였다. 아동들은 수수께끼 유머 질문에 대해 3개 보기 중에서 적절한 수수께끼 답을 찾는 과제를 수행을 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학령기 경계선 지능아동은 만점에 가까운 수행을 보인 생활연령 일치 일반아동 뿐만 아니라, 언어연령 일치 아동보다도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에 근거할 때 학령기 경계선지능아동은 또래 일반아동은 물론 언어연령이 유사한 더 어린 아동에 비하여서도 유머이해능력이 저조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수행은 이들 상위언어능력 결함과 관련되어 있음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umor comprehension abilities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IF) children of school age.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 of school age through riddles, a type of humor that is actively used at that stage of development. Method: The subjects included 10 children with BIF from 8-9 years old, 10 normal children who were the same age as the BIF children, and 10 normal children whose language age was matched with that of the BIF children. To measure the humor comprehension level of the children, they were asked to perform 25 riddle-solving tasks and provide the correct answers. Resul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IF children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not only the same-age normal children but also the language age-matched on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BIF children of school age had lower humor comprehension abilities than their peers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younger children of a similar language age,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ir poor metalinguistic abilities.

      • KCI등재

        언어발달지체를 동반한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특성 비교

        고정희(Junghui, Ko),황민아(Mina, Hwang),최경순(Kyungsoon, Choi)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를 동반한 말소리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이 단순언어장애아동,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및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언어연령 5세 1개월에서 5세 11개월에 있는 언어발달지체 동반한 말소리장애 아동 9명, 단순언어장애 8명,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10명, 일반아동 10명의 총 37명 아동이었다. 아동들은 음절분리, 음절탈락, 음절대치, 음소변별, 음소대치의 음운인식과제를 각 8문항씩 총 40문항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음운인식과제 총점에서 일반아동 수행이 유의미하게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순수 말소리장애가 높았다.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이 가장 낮았으나 단순언어장애아동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음운인식 과제유형에 따른 집단별 수행을 살펴본 결과 음절분리와 음절탈락에서만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은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보다 저조한 능력을 보였다. 결론: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는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유사한 음운인식패턴을 보이며, 순수 말소리장애보다는 저조한 음운인식능력을 보이고 있으나, 그 차이는 음운인식과제 유형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ied by language impairments compared to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children with a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and general children. Method: The subjects included 9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ied by language impairments, 8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10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and 10 general children(a total of 37). All children performed a total of 40 tasks, 8 phoneme discriminations, 8 phoneme substitutions, 8 syllable isolations, 8 syllable deletions, and 8 syllable substitutions. Results: the performance of the general children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the total score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t a significant level, followed by those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The score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ied by language impairment were the low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erformance from that of children with SLI.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formance of each group according to the type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ied by language impairments showed poorer ability than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in syllable separation and syllable deletio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ied by language impairments showed a similar phonological awareness pattern to children with SLI, and showed poorer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ies than pure speech sound disorders, but the difference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