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사인별 알코올기여도 산출

        천성수,손애리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08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Vol.9 No.1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알코올을 많이 소비하는 국가 중 하나이며(노인철 등, 1997), 세계보건기구(WHO)가 주요 알코올정책의 대상으로 정하고 있는(Peter, 1995) 세 가지 사망원인 중 간질환과 교통사고 사망률이 세계 1위이며, 외적 사망원인 역시 3위이다(천성수, 2001). 음주는 간경변, 간암뿐만 아니라 각종 암, 심혈관질환, 주산기 음주로 인한 신생아결함, 교통사고, 자살, 타살, 폭력, 원치 않는 성경험 등과 같은 2차 행동의 주요위험원인일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비용 또한 막대하다(손애리, 박지은 등, 2006; 천성수 등, 2003). 우리나라의 2001년 현재 위험음주자는 성인인구의 21%(약 630만 명)로 추정된다(보건복지부, 2003). 미국성인의 14.3%가 폭음자(binge drinker)로 조사된 것(Naimi, 2003)과 비교해보면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고도위험음주자는 전체 성인인구의 9.6%(약 290만 명)이며, CAGE(Cutting, Annoyance by Criticism, Guilty feeling, Eye-opener)척도에 의한 알코올 의존자는 11.3%(약 344만 명)에 이른다(보건복지부, 2003). 음주 단일요인에 의한 한국인 사망자수는 1995년에는 29,497명(천성수, 1998), 2000년에는 21,123명으로 추산된다(김광기 등, 2004).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비용의 추정액은 15.5조원(정우진, 2004), 16.7조원(정헌배, 2001), 13.6조원(노인철, 1997)으로 우리나라 GNP에 약 4% 수준에 이르고 있다. 전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남학생 폭음자의 비율이 73.7%, 여학생의 폭음자의 비율이 57.0%이며(천성수 등, 2003), 알코올사용장애자(8점 기준)비율이 65.6%에 이른다(천성수, 손애리, 2005). 이 심각성은 비교를 통해 더욱 분명해지는데 미국대학생에 비해 우리나라 학생들이 폭음자가 될 가능성이 남학생의 경우 3.2배 여학생의 경우 1.9배 더 높다(천성수 등, 2006). 음주행태의 추세를 살펴보면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1998년에 비해 2001년도에 2-30대 남성층과 20대 여성층의 음주율이 증가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3). 알코올은 사망과 질병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Rehm et al., 2007), 보건정책이나 관리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여러 나라에서 알코올사망관련 지표와 인구집단에서 질병 또는 사망이 미치는 영향의 정도와 사회비용 등 질병부담을 측정하는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다(Peter, 1995; Toomey& Wagenaar, 1999; Simpura & Karisson, 2001; Norstrὅm, 2002; Rehm et al, 2007). 우리나라에서도 알코올사망관련 지표의 생산이나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추정 연구(노인철 등, 1997; 천성수, 1998; 정헌배, 2000, 2001; 조진만 등, 2003; 김광기 등, 2004; 정우진등, 2004; 송현종 등, 2005)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의 대부분이 외국, 특히 미국 CDC의 사인별 알코올기여도(Alcohol Attributable Fraction: AAF)를 활용하여 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는 연구는 특정질병 및 사망원인에 있어 알코올이 얼마나 기여하는지에 대한 기여율적용이 매우 상이할 수 밖에 없으며, 한국인들에게 적용되기엔 신뢰성이 매우 부족하고, 다양한 알코올정책수립에 있어서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는데 매우 큰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미국, 유럽, 호주 등에서는 지난 1960년대부터 체계적인 역학조사를 통해 근거중심의 기초자료를 생산하고 있다(Peter, 1995; Toomey & Wagenaar, 1999; Murray et al., 2000; Simpura & Karisson, 2001; Norstrὅm, 2002). 1968년 이후 미국에서는 지속적인 알코올 통제정책으로 교통사고와 간염사망 그리고 음주 문제 비율이 많이 감소되었으며(DeBackey et al., 1995; NHTSA, 1999), 이러한 정책들은 알코올 관련 질환과 사고를 예방하는데 많은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Toomey & Wagenaar, 1999). 우리나라의 경우 사인별 알코올 기여도와 알코올 관련 질병의 알코올기여도의 산출은 음주와 관련된 사망, 질병 등과 같은 폐해를 산출하기 위하여 가장 기본적이고 필요한 지표이나 이에 대한 여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알코올에 대한 전국조사 역시 매우 제한적이다. 우리나라에서 음주율 및 음주행태와 관련된 지표를 생산하고 있는 대표적인 전국조사로는 사회통계조사(통계청, 2003)와 국민건강․영양조사(보건복지부, 2002)를 꼽을 수 있다. 사회통계조사는 4년 주기로 진행되므로 정기성과 역사성은 있으나, 음주에 대한 질문이 음주여부, 음주량, 음주빈도 등만을 조사하므로 자료가 매우 제한적이다(통계청, 2003). 국민건강․영양조사는 1995년 이후 3년마다 진행되는 전국조사로서 정기성과 역사성, 그리고 다른 보건행태와 건강수준과 비교할 수 있는 점에서 장점이 있으나, 역시 질문의 항목이 음주여부, 음주시작연령, 음주빈도, 음주량, 과음빈도, 금주의지, CAGE 등에 의한 의존정도, 절주방법, 금주기간 및 이유 등을 조사하기 때문에 이 역시 국가 알코올조사로서 매우 미흡하다(보건복지부, 2002b). 최근 정부는 파랑새플랜을 발표하여 국가 절주사업에 대한 중장기 비전을 갖추게 되었다(보건복지부, 2006). 이 계획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먼저 우리나라의 음주관련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하며, 관련지표를 정확히 생산하기 위해 역학적 조사와 사망자료의 정밀 분석을 통해 모든 지표의 근간이 되는 한국인의 사인별 알코올기여도가 산출되고 이를 이용하여 음주로 인한 알코올에 대한 폐해를 추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나 아직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알코올로 인한 폐해지표 생산에가 근간이 되는 사인별 알코올기여도 (Alcohol-Attributable Fractions)를 생산하여 향후 알코올로 인한 질병과 사망을 예방하거나 관리하는 계획을 수립 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Alcohol use is associated with a number of adverse health and social consequences-including physical injury, alcohol-impaired driving, psychological problems and anti-social behavior. Heavy drinking in Korea is a major public health concern, but it has been largely ignored for a while (Chun and Sohn 2005). We don’t have enough epidemologic data-set on between risk for alcohol related diseases or mortality and both alcohol consumption and drinking patterns. So we usually use the other countries’ alcohol-attributable fractions of deaths. Having the original Korean Alcohol-Attributable Fraction (AAF) data is the most urgent task on the alcohol research field in Korea.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evalence of alcohol consumption and related health problems and to estimate Alcohol-Attributable Fractions (AAF) of alcohol-related diseases. The design of this study is the Cross-sectional study to assess the association with prior and current alcohol use and persons who had alcohol related disease to estimate the Korean AAFs. The Korean national samples were selected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ata-set which based on the population census in 2005. 950 households were selected randomly. We let the interviewers have ‘face-to-face interview plus sealed envelope’ with every adult family members in the household which was selected randomly from the August 10th to 25th, 2007. Percentage of non-drinkers was 51, and 49 percentage was drinker. • Alcohol-attributable fractions of most of cancers are slightly high, intestinal neoplasm 35%, liver neoplasm 25%, and stomach neoplasm 22%. And AAF of cardiomyopathy is 19%, anemia 15%, cerebral apoplexy 9%, and other cerebral-vascular diseases 10%. Drinkers are 4 times more likely to have other respiratory system disease than non-drinker, 2 times more likely to have prostatitis. Alcohol-attributable fraction of pneumonia is 17%, other respiratory system disease 61%, prostatitis 37%, other genitourinary system disease 35%, and glaucoma & cataract 15%. In conclusion, our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alcohol consumption is responsible for premature adult morbidity and mortal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방송오락매체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

        천성수,Grace Percoheles,김주리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08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Vol.9 No.2

        이 글은 문헌 연구로 방송오락매체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음주에 대한 인식과 문화가 관대하다. 이 글의 핵심은 미디어에서 송출되는 영상물들이 관대한 음주에 대한 인식과 문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송출된 영상들이 음주에 대한 인식과 문화에 다시 영향을 미치며, 아울러 국민들의 음주에 영향을 칠 것이라는데 있다. 미국의 모든 TV프로그램의 71%가 음주와 관련된 묘사기 있으며, 77%는 술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Christensen, Henriksen와 Roberts, 2000). 음주의 긍정적 측면이 40%이며, 부정적 측면은 10%이다(Long 등, 2002). TV상에서 음주장면은 다른 어떤 음료보다 더 자주 등장하며, TV 세상 안에서는 문제로서 대두 되거나 문제로 여겨지지 않는다. 즉 TV상에서는 술 취함으로 야기되는 문제들이 거의 없으며, 술 취한 운전자들이 내는 자동차 사고로 아무도 죽지 않는다. 단지 몇몇 알코올 중독자들이 의지력 없어 술을 끊지 못하며, 비루함과 애처로운 성격 묘사만 TV에서 그려진다(Brown와 McDonald, 1995). 이러한 묘사들은 아직 음주에 관한 신념이 확고하지 않은 청소년들과 술을 문화적 표준으로 보는 성인들에게 있어서 TV는 이러한 일들을 보급하여 영향을 받게 한다(Tudor, 1979). 학자들은 TV가 방영된 이래로 술 소비량이 증가되었으며, 현실세계에서 술 마시는 빈도를 극적으로 왜곡하고 있다(Brown와 McDonald, 1995)고 주장한다. 미국의 경우 1950년~1963년에는 TV 상에서 알코올은 모든 음료 사용의 절반 이하(48%)로 포함되었으나, 이후 1982까지 62%까지 증가되었으며, 1984년에는 74%까지 증가 되었다. 1984년에 실생활에서는 알코올의 사용은 모든 다른 사용음료의 16%에 불과하였다(Breed와 De Foe, 1981, 1984; Wallack 등, 1987). 이 글에서 방송오락 매체의 관찰범위는 영화와 드라마에 초점이 있으나 뮤직비디오와 인터넷, 그리고 주류광고의 부분도 부분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미디어가 음주에 영향을 미친다는 배경이론, 즉 배양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을 음주와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미디어에 나타난 음주, 음주관련행동 등에 대한 실태를 장르별로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경우를 단순 비교 열거하고 있으며, 제4장에서는 미디어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연구에 대한 부분을 고찰하면서, 제5장에서는 제언과 결론을 맺고 있다. This article considers the influence of Mass Media Entertainment on the drinking habits of the national population through referenced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e influence of the Mass Media to the concept and culture of alcohol drinking. Through the research made in advanced countries and actual research from Korea, we may draw a few conclusions. First, the frequency of exposure on drinking scenes can influence the motivation and impulse of a person towards alcohol consumption. The longer the time that a person is exposed on drinking scenes, the more he is likely to drink. Women and teenagers have the higher tendency towards this. Second, media shows that drinking is socially desirable and attractive, so the women and teenagers want to participate in it this way. The TV programs which teenagers enjoy show that drinking is beautiful. Third, Korean Mass Media shows dangerously unrealistic drinking patterns and because of that, it leads to a distorted and harmful drinking culture. Fourth, drinking is described as a way of escaping from present realities and to promote social relationships and to manage crisis situations. Their concept of solving problems in a positive way becomes less realistic and useful. Fifth, besides TV shows and movies, internet and music videos also promote juvenile drinking.We cannot conclude that Korean Mass Media shows more drinking scenes than other countries, but there are more serious situations here, with binge drinking and a dangerously distorted drinking culture than just drinking frequency and ti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