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알베르 까뮈와 불교

        채숙희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6 프랑스문화연구 Vol.13 No.-

        알베르 까뮈와 불교채숙희 알베르 까뮈와 불교 채숙희 알베르 까뮈의 작품 세계와 불교사상은 서로 유사성을 보인다. 까뮈의 “부조리” 사상과 붓다의 가르침인 “4성제” 사이에 공통적인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고, 까뮈의 “저항”의 모랄과 불교의 “8정도” 사이에도 유사성이 있다. 한편, 이방인에서는 ‘명상 소설’이라고 부를 수 있을 흥미로운 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세계의 다정한 무관심에 자신을 여는” 뫼르소의 태도 속에서 그리고 왕국과 적국의 쟈닌느가 체험하는 우주와의 합일 속에서 우리는 불교의 “무아”사상과의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다. 작품 이방인 위에 떠도는 특이한 분위기; 無의 감정, 주인공의 경건한 무관심과 침묵, 자연과 하나되는 천상적 행복감 등은 모두 불교적 세계를 느끼게 해준다. 고통의 진리를 설하고 있는 4성제에서와 마찬가지로, 까뮈의 부조리 계열 작품의 인물들은 인간에게 가해진 부당한 고통으로 절규한다. 고통은 비항구성(impermanence)에서 비롯되며, 불교의 無明과 까뮈의 부조리는 모두 ‘나’를 항구적 존재라고 믿는 데에서 온다. 부조리 작품의 주인공들에게서 우리는 불교적 명상에서 볼 수 있는 ‘명철한 무관심’을 발견한다. 표리의 “예스와 노우사이“에서 화자는 “생에 대한 갈증이 꺼져버린 상태”를 무관심이라고 동시에 부르고 있고, “잃어버린 천국의 단순함과 투명함을 받아들이는” “명상의 투명한 평화”를 느낀다고 말하고 있다. 까뮈 인간의 경건한 무관심은 이와같이 불교 명상 상태에서 느끼는 無我와 무집착의 상태와 접근된다. 어머니의 부동성을 닮아가는 감옥 속의 뫼르소의 부동성은 그 한 예이다. 부조리에 대한 치료로서 까뮈가 제시한 저항의 모랄은 붓다가 고통에 대한 치료법으로 제시한 “8정도”와 많은 공통점을 가진다. 그 중 “正見”은 부조리인간이 가져야하는 “명철성에 대한 욕구”와 유사하다: 시지프는 “자기의 바위로 되돌아오면서 자기의 운명이 된 일련의 행동을 명상한다.” 8정도 중의 하나인 “완전한 의지”와 “완전한 노력”은 “휴식을 모르는” 저항인의 태도와 같다. “正言”은 저항인이 어두운 길 속에서 견지하고자하는 특질이기도 하다. “보편적 거짓을 더 두텁게 하지 않기 위해 저항인이 견지하고자하는 것은 분명한 언어“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사르트르가 지적한 바 “침묵의 소설”인 이방인은 그대로 ‘명상의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말을 하면서, (즉 글을 쓰면서) 어떻게 침묵을 유지할 것인가”라는 사르트르의 질문에서 우리는 이미, 이방인이 침묵의 소설이면서 곧 명상의 소설임을 확인한다. 작가 스스로도 이미 “부조리 작품은(그 자체로서 침묵인) 가능한가?”라고 자문하고 있는 데에서 우리는 이러한 노력과 경향을 볼 수 있다. 명철한 무관심과 단순함 속에 사는 사람에게는 모든 것이 투명한 그의 의식 속에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순수한 수동성인 이 의식은 바로 명상하는 사람의 의식이다. 말로 표현하면서 (글로 쓰면서) 침묵을 지키는 데 성공하고 있는 이 놀라운 작품은 그리하여 ‘명상 소설’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의 전달 증거성

        채숙희 한국어의미학회 2015 한국어 의미학 Vol.50 No.-

        Sookhee Chae. 2015. Reported Evidentiality in Korean. Korean Semantics, 50.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ported evidentials in the Korean language and to clarify their characteristics. -Damyeo/ -damyeonseo1, -damyeo/-damyeonseo2, -dana, -dani2, and -daji2 are identified as reported evidentials in Korean in that they are grammaticalized as endings which are used to mark reported information. They are used both as hearsay evidentials for reported information with no reference to those it was reported by and as quotative evidentials for reported information with an overt reference to the quoted source. They do not just refer to data acquired through someone else's report, but express speakers' attitude towards information such as dissatisfaction and unreliability. The Korean language has several forms which are i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into reported evidentials such as -dae, -danda, -dabnida, -dani, and -dabnikka. It is these forms which function as the unmarked reported evidentials in that they simply refer to reported information without denoting any attitudes towards reported information.

      • KCI등재

        "Patrick modiano와 환상의 글쓰기" : 『이름 모르는 여자들des inconnues』을 중심으로

        채숙희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3 교사교육연구 Vol.42 No.-

        Nous avons e´tudi e´, dans Les Inconnues de Patrick Modiano, I'absence de l'identit e´des personnages. L' e´criture nous montre que ceux-ci, tout en existant comme personnages r e´els, prennent l'allure d'un fant o ^ me. Nous y trouvons d'abord la hantise de nom. Les e ^ tres y sont souvent sans noms ou sous des noms faux. La narratrice-personnage principal-n'est jamais appel e´e par son nom et on ne le saura pas jusqu'au bout du r e´cit. Cet aspect fantastique de I'oeuvre vient de I'emploi du 'discours indirecte libre' et de la pr e´sence des r e ^ ves intervenus brusquement au cours de la narration. Nous avons trouv e´e´galement la double structure de I'oeuvre; sous le niveau du d e´veloppement du r e´cit, il appara i ^ t un autre itin e´raire qui est plus fantastique et plus onirique; ce sera l'itin e´raire du d e´sir ou du libido que semble poursuivre l'h e´roine. Toutes les espaces et les d e´cors qui se repr e´sentent comme r e´els ne sont en effet r e´v e´l e´s que comme ceux o u ` se r e´alisent son d e´sir. En fait, les personnages sans identit e´semblent signifier les e ^ tres qui pourraient e ^ tre lib e´r e´s des divers jougs de la condition tragique de I'homme : nom, naissance, famille etc..

      • KCI등재

        가스똥 바슐라르의 물질 상상력과 불교

        채숙희 釜山大學校 師範大學 1999 교사교육연구 Vol.41 No.-

        La re^verie bachelardienne qui est aussi l'imagination mate´rielle, se re´ve`le comme un e´tat d'a^me ou` le sujet se retrouve uni avec le monde. En lisant tout au long des oeuvres de Bachlelard concernant l'imagination, nous sommes persuade´s que sa Poe´tique de la re^verie n'est rien d'autre que la poe´tique du bonheur. Et ce bonheur est interpre´te´ comme la be´atide ou` le re^veur contemple le monde dans la solitude et la tranquilite´. C'est "le Cogito de la traquillite" selon l'auteur de la Poe´tique de la re^verie. Nous remarquons donc que la re^verie bachelardienne n'est rien d'autre que l'e´tat de l'union entre le sujet et de l'objet que nous retrouvons souvent dans la philosophie orientale telle le bouddhisme ou le daoi''sme. La disparition du sujet au moment de la re^verie et le vide du sujet contemplant nous font supposer comme les points analogues avec la pense´e de non-moi ou de Vide du bouddisme. La re^verie de la mort que l'image de l'eau entraine dans son imagination mate´rielle, peut e^tre interpre´te´e comme le retour au Grand-Tout qui peut intpre´te´ a` son tour -selon C.G.Jung-comme le de´sir inconscient de la Vie de renai··tre re´ge´ne´re´e. Les deux grands arche´types, l'enfance et l'anima dont parle Bachelard dans sa Poe´tique de Ia reverie, nous pemettent aussi de te´moigner de cette analogie entre les deux pense´es ; l'imagination mate´rielle de Bachelard et le bouddhisme. Nous avons e´tudie´s surtout les sutras de Diamant et celui de Bannyabaramil afin d'examiner la pense´e du Vide et du non-moi.

      • KCI등재

        Marguerite Duras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

        채숙희 한국 프랑스어문교육학회 1994 프랑스어문교육 Vol.2 No.-

        "Le feminin" dans l'oeuvre de Duras est etroitement lie aux autres elements qui constituent l'ecriture de Duras, par exemple aux themes tels 'le desir', 'le blanc' ou 'le monde mythique' etc. Dans l'univers de Duras ou l'auteur tente sans cesse de realiser l'accomplissement total du desir, tout en refusant d'accepter l'ordre etabli par l'institution, 'le feminin' n'est rien d'autre que ce sujet revolte qui se met a la quete du grand secret de l'Etre. Nous avons mis l'accent surtout sur la figure de 'la mere, et, de 'la mendiante' qui sont les figures mythiques par excellence. Chez ces deux personnages-la, nous avons decele la douleur et la rrvolte dont la portee arrive a la dimension a la fois mythique et mysterieux. L'etude de ces personnages-la, nous fait constater que chez Duras, le sex feminin puisse etre le sex privilegie par rapport a celui de masculin, car la figure de la mere se presente parfois comme "un prophete qui crie dans le desir." Dans la litterature de Duras qui est en effect un mythe modeme, 'le feminin' occupe la place de la du heros.

      • KCI등재

        고급학습자의 일상대화에서의 종결어미 사용 양상 연구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채숙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어 교육 Vol.23 No.4

        This paper examines patterns of final endings in daily conversation produced by Chines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In order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final ending usage, daily conversation of Chinese advanced learners is recorded and analyzed in comparison with daily conversation of native Korean speakers. The result is that the Chinese advanced learners are overusing '-어요' with the overwhelming percentage of 78.4%, although they denote similar percentage in their usage of final endings. In case of the final endings which represent specific sentence types, they are overusing exclamative endings. In aspects of relative honorifics, they are using ‘해요’ type dominantly while the native Korean speakers prefer ‘해’ type. As for colloquial tendency, the Chinese advanced learners are using colloquial final endings in high rates. When the usage pattern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more concerns need to be given to making the learners use various final endings rather than use typical colloquial final endings.

      • KCI등재

        인용동사로 쓰이는 ‘이러다’, ‘그러다’ 연구

        채숙희 국어학회 2010 국어학 Vol.0 No.58

        구어에서 지시동사 ‘그러다’와 ‘이러다’는 대표적인 인용 포괄동사 ‘하다’보다 높은 출현빈도를 보이며 인용동사로 널리 쓰이고 있다. 본고에서는 전형적인 인용동사와의 비교를 통해 이들이 인용동사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인용동사로서 이들의 특징을 포괄동사 ‘하다’와 같이 다른 여러 인용동사를 대신하여 쓰일 수 있는 데에서 찾았다. 이들은 대치 가능한 인용동사의 범주가 발화동사와 심리동사라는 점, 그리고 사유 인용보다는 발화 인용의 비중이 크다는 점에서 ‘하다’와 공통적이지만, 구어성이 강하다는 점, 그리고 피인용문과의 긴밀도가 낮다는 점에서 ‘하다’와 차이를 보인다. ‘그러다’의 경우 ‘이러다’에 비해 ‘하다’와 가까운 면모를 보이는데, 인용표지의 선택과 인용의 방식에 있어서 특히 그러하다. 본고에서는 ‘이러다’와 ‘그러다’의 차이에 대해서도 본격적으로 검토해 보았는데, 그 결과 ‘이러다’는 ‘그러다’에 비해 직접인용적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들의 지시 대상과도 관련된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러다’는 피인용문을, ‘그러다’는 발화행위 자체를 지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합하는 인용표지에 있어서도 이들은 차이를 보인다.

      • KCI등재

        여성 알코올의존자의 연령별 심리적 특성 -MMPI를 중심으로-

        채숙희,신재정,김석산 한국여성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2 No.3

        여성 알코올의존자들이 남성 알코올의존자들에 비해 정신병리가 더 심각하고 더 많은 심리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여성 알코올의존의 경우, 젊은 여성들과 중년기 여성들의 심리적 특성이 다르다고 보고되고 있고, 실제 임상 장면에서도 젊은 여성 알코올의존자들의 경우 독특한 특성을 보이고 있으나, 여성 알코올의존자들의 연령별 특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국내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 알코올의존자들의 연령별 심리적 특성을 탐색적으로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DSM-Ⅳ에 의해 알코올의존으로 진단된 여성 171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다면적 인성검사(MMPI), Beck의 우울척도(BDI), Beck의 불안척도(BAI)였다. MMPI는 13개의 소척도 외에 알코올의존을 측정하는 주정중독 척도(MAC)와 15개의 한국판 내용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MMPI 하위척도 중 거짓말 척도(L), 반사회성 척도(Pd)에서 연령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우울증 척도(D)와 경조증 척도(Ma)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연령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MMPI 내용척도에서는 적대감 척도(ANG)와 반사회성 척도(ASP)에서 연령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낮은 자존감(LSE)과 가족갈등(FAM)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연령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結果의 ‘-라고’와 目的의 ‘-자고’에 對하여

        채숙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9 No.3

        本稿에서는 結果의 의미를 나타내는 ‘-라고’와 目的의 의미를 나타내는 ‘-자고’를 하나의 語尾로 파악하는 근거를 제시하고, 이들이 보이는 統辭․意味的 特性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들을 間接引用構文의 被引用文에 引用標識 ‘고’가 결합한 형식이 아닌 하나의 어미로 파악하는 근거로는 引用動詞의 補語가 아니라는 점, 具體的인 聽者를 대상으로 한 發話가 이루어졌다고 보기 힘든 점, 形容詞가 先行節 敍述語로 쓰이는 점, ‘그렇게’로 대신할 수 없으며 疑問文에서 ‘뭐라고’나 ‘어떻게’에 대응하지도 않는 점, ‘고’ 省略이 불가능하다는 점, ‘-다라고, -냐라고, -라라고, -자라고’와 같은 連鎖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들었다. ‘-라고’의 統辭․意味的 特性으로는 同一 主語 制約을 받지 않고 先行節에 時制 先語末語尾가 쓰일 수 없으며 後行節에 命令文이 쓰일 수 없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자고’의 統辭․意味的 特性으로는 同一 主語 制約을 받는 점, 先行節에 時制 先語末語尾가 쓰일 수 없는 점, 後行節에 命令文과 請誘文이 쓰일 수 없는 점, 後行節로 쓰이는 疑問文이 주로 수사의문문이라는 점을 보였다. This study argues that ‘-lago’ functions as an ending which expresses result and ‘-jago’ functions as an ending which expresses purpose. Their syntactic, semantic characteristics are also suggested. ‘-lago’ and ‘-jago’ can be analyzed as simple combination of final ending of the quote and quotative markers. But they are single endings which express result and purpose respectively. The clauses which they combine are not complements of quotative verbs. Any specific speeches which are given to actual hearers cannot be found. Adjectives which cannot be used in imperative and propositive can come before ‘-lago’ and ‘-jago’. The clauses which they combine cannot be substituted by ‘geureohge’ and by question words such as ‘mwolago’, ‘eotteohge’. ‘Go’ of ‘-lago’ and ‘-jago’ cannot be deleted and sequences like ‘-dalago’ and ‘-jalago’ are impossible. ‘-lago’ as a conjunctive ending denote characteristics like the following; the subject of the first clause need not to be same as that of the second clause. The second clause cannot be imperative. Among prefinal endings for tense, neither ‘-ess-’ nor ‘-gess-’ comes before ‘-lago’. Characteristics of ‘-jago’ are like the following; the subject of the first clause should be same as that of the second clause. The second clause cannot be either imperative or propositive. Neither ‘-ess-’ nor ‘-gess-’ comes before ‘-lago’. The second clauses which are interrogatives tend to be rhetorical qu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