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원어연극(原語演劇) 및 紙芝居 실천사례 연구 - 대면과 비대면 환경에서의 일본어학습효과 비교를 중심으로 -

        蔡京希 ( Chae¸ Kyung-hee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1 일본어교육연구 Vol.- No.55

        본 연구는 일본어 커뮤니케이션 스킬 및 미래 융합인재 육성에 요구되는 핵심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공연예술 콘텐츠 도입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에 따른 교수학습법 공유를 목표로 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비대면 교육 학습자를 위한 언택트 및 콘택트의 경험을 제공하는 온택트 교육환경에서 실천한 일본어 원어연극 및 가미시바이 전공비교과 수업실천 사례연구를 보고하고, e-Learning 환경과 대면 환경에서의 학습효과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9개 조사항목의 평균만족도는 가미시바이가 87.98%(총평점 4.40점)이고, 원어연극은 85.62%(총평점은 4.28점)를 마크했다. ‘흥미와 적절성{1)~4)}’의 평균만족도는 가미시바이 90.45%(총평점 4.52점), 원어연극 84.33%(총평점 4.22점)이다. ‘학습유용성{5)~8)}’의 평균만족도는 가미시바이 85.74%(총평점 4.29점), 원어연극 85.68%(총평점 4.28점)로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동기를 부여함을 알 수 있다. 기타, ‘가미시바이워크숍전반{9)}’ 평균만족도는 87.07%(총평점 4.35점), ‘원어연극워크숍전반{9)}’ 90.50%(총평점 4.53점)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 둘째, 과대표/출연자/관객을 구분하고 참여자 역할별로 파악한 결과,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의 만족도가 역할별로 눈에 띄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비대면·온라인 가미시바이와 원어연극 콘텐츠를 활용한 일본어교육 실천사례를 통해 다수의 긍정적인 의견을 얻을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of performance art contents and to share teaching methods accordingly. It is part of a study to improve Japanese communication skills and key skills critical for fostering future convergence tal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case studies of Japanese Native Language Drama and Kamishibai major extra-curriculum class practice conducted in a 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experience for online and non-face-to-face education learners in the postCOVID- 19 er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of the total 9 survey items was 87.98% for Kamishibai (total score of 4.40) and 85.62% for Native Language Drama (total score of 4.28). Average satisfaction level of ‘Fun and Adequacy {1)~4)}’ for Kamishibai was 90.45% (total score of 4.52 points) and 84.33% (total score of 4.22 points) for Native Language Drama.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of ‘Learning Usability {5)-8)}’ for Kamisibai was 85.74% (total score of 4.29 points) and 85.68% (total score of 4.28 points) for Native Language Drama, indicating that it arouses both interest and motivation in learners.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for Overall Kamishibai Workshop {9)}’ was 87.07% (total score of 4.35 points), and the average sartisfaction level for Overall Native Language Drama {9)}’ was 90.50% (total score of 4.53 points), which shows that the satisfaction level for guest lecturers and actors/representatives was high. Second, the result of a detailed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roles of participants and the division of representatives/actors/students is as follows: A noticeabl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as found. We divided the roles of groups into one group tha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nd the other that did not participate. Third, many positive opinions were obtained through practical case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using non-face-to-face and online Kamishibai and stage performances of Native Language Drama.

      • KCI등재

        학교 교육이 평화통일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채경희 ( Kyunghee Cha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지난 2020년은 6 25 발발 70주년이었다. 이제 평화통일을 위해서 다방면에 걸쳐 준비가 필요한 때이다. 본고에서는 통일의 주역이 될 다음 세대 학생들이 남북통일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먼저 교과서 서술 내용을 분석하고, 통일부와 교육부에서 실시한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보고서’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교과서에서는 통일의 당위성을 주로 경제적 요인에 두고 있었으나 학생들은 경제적 요인을 통일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학생들은 통일 한국의 이미지에 대한 설명을 듣거나 실제 현재 북한의 생활 모습 등을 배우기 원했다. 향후 이러한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교과서를 집필한다면 학생들은 보다 긍정적으로 통일한국을 인식할 것이며 북한에 대한 인식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2020 i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This is the time when various preparations for unification are necessary. In this paper, I analyzed textbook descriptions to see how students of the next generation, who are the protagonists of reunification, perceive unification, and reviewed the survey report on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Education. As a result, in the textbooks,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wrote on the economic factor, but the students understood the economic factor as hindering the unification. On the other hand, students wanted to learn about the real life of unified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future, if textbooks are written reflecting the needs of these students, students will be more positively aware of the unified Korea and expect to improve their perception of North Korea.

      • KCI등재

        타기능결합(他技能結合) 한자(漢字),한자어휘(漢字語彙) 운용력고양(運用力高揚)을 위한 커리큘럼디자인의 제안 -교재개발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채경희 ( Kyung Hee Chae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4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0

        ``커리큘럼디자인``이란 실러버스디자인 결과물로 설정한 교수요목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계획하는 것이며, 코스의 시간적 제약이나 클래스의 사이즈 등의 조건에서 ``실러버스를 어떠한 순서와 방법으로 제시하고 연습해 나아갈 것인가``를 결정하는 작업이다. 그리고 주교재를 선택한다는 것은 코스실러버스의 결정으로 실러버스디자인과 거의 동등하며, 교수순서의 결정은 코스실러버스 배열로서 커리큘럼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연습문제 및 게임, 실물교재, KSPOT테입 사용`` ``한자교재 제작`` 등도 교실활동과 교재교구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이 또한 커리큘럼디자인에 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일본어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전공기초 한자교과목Ⅰ,Ⅱ(일본어 코스)``를 설계하고(<표2>), 언어요소 및 언어기능 전반을 도입한 他技能結合 漢字·漢字語彙 運用力高揚을 위한 커리큘럼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하여 한자의 학습항목을 실천하며(<표3>), 교재개발의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New 스타일 일본어 한자1"의 학습구성표와 "New 스타일 일본어 한자2"의 학습구성표를 제시하였다(<표4><표5>). 단원별 구성은 한자의 형태와 기능에 관련한 한자의 기본적 지식을 중시하는 언어적 실러버스와 JF Can-do의 15가지 토픽을 활용한 내용적 실러버스를 도입하고 "New 스타일 일본어 한자1"의 세부학습항목과 "New 스타일 일본어 한자2"의 세부학습항목을 제시하여 테마별 한자·한자어휘교육이 가능하도록 기획하였다(<표6><표7>). ``カリキュラムデザイン``とは、シラバスデザインの結果物で設定された?授要目を``どのように?えるべきか``を計?することであり、コ?スの時間的制約やクラスサイズなどの?件のもとで、``シラバスをどのような順序や方法で提示し、練習していくべきか``を決める作業である。主?材を決めるのはコ?スシラバスの決定で、シラバスデザインとほぼ同じであり、?授順序の決定はコ?スシラバスの配列で、カリキュラムデザインとも言える。``多?な練習問題及びゲ?ム、生?材、KSPOTテ?プ使用````漢字敎材製作``なども?室活動や?材?具を決めることであり、これもやはりカリキュラムデザインに該?する。本?究では、``大?日本語?攻者を?象とする?攻基礎漢字?科目Ⅰ,Ⅱ(日本語コ?ス)``を設計し(<表2>)、言語要素及び言語機能の全般を導入した他技能結合漢字·漢字語彙運用力高揚のためのカリキュラムデザインを提案するために、漢字の?習項目を??して(<表3>)、?材開???事例中心の?討を?ることで、"Newスタイル日本語漢字1"の?習構成表や"Newスタイル日本語漢字2"の?習構成表を提示した(<表4><表5>)。單元別構成は、漢字の形態や機能に?連した漢字の基本的知識を重視する言語的シラバスやJFCan-doの15のトピックを活用して?容的シラバスを導入した、"Newスタイル日本語漢字1"の細部?習項目や"Newスタイル日本語漢字2"の細部?習項目を提示して、テ?マ別漢字·漢字語彙?育が可能になるように企?した(<表6><表7>)。

      • KCI등재

        브랜디드 러닝을 활용한 일본어교육-한국의 일본어수업 현황보고를 둘러싸고-

        채경희 ( Kyung Hee Chae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4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8

        언어교육의 어프로치는 항상 그 시대를 반영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과 공간이 압축된 21세기 고도 정보화사회·디지털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20세기와는 또 다른 능력이 요구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근래, 대면수업과 테크놀러지를 사용한 활동이 동등한 중요성을 가지며 실시되는 브랜디드 러닝이 일반화되고 있다. 브랜디드 러닝은 기존의 학교교육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학습방법이며 장기적 대안이 될 수 있는 방안으로써, 교육혁신을 위해서는 고려할 필요가 있는 토픽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방법론 및 이론이 정립된 연구는 이제 시작단계일 뿐으로, 특히 일본어교육 분야에서 브랜디드 러닝을 다룬 연구는 그다지 눈에 띄지 않고, 학교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브랜디드 러닝의 모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지금의 현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디드 러닝을 활용한 일본어교육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에서의 브랜디드 러닝을 도입한 일본어 수업의 현황보고를 파악하고, 교실 안과 밖의 학습의 장에서 널리 활용가능한 새로운 일본어교육의 전망과 가능성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앞으로의 과제는 새로운 시대의 미디어와 IT기술을 기존의 대면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일본어교육에서의 오프라인 대면수업과 온라인·e-러닝 혼합형인 브랜디드 러닝의 효과적인 실천방안과 전략을 모색하여 한국의 교육실정에 적합한 통합형 실천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言語敎育のアプロ一チは常にその時代を反映していると言える. そして時間と空間が壓縮された21世紀の高度情報化社會·デジタル社會を生きるためには20世紀とはまた違った能力が要求されるのは當然であろう. 近年、對面授業とテクノロジ一を使った活動が同等の重要性を持って行われるブレンディッドラ一ニングが一般化してきている. ブレンディッドラ一ニングは旣存の學校敎育の短所を補完することができる學習方法であり、長期的に代案となりえる方案として、敎育革新のためには考慮する必要があるトピックであるといえる. しかし、具體的な方法論及び理論が定立された硏究はまだ始まったばかりで、日本語敎育分野でのブレンディッドラ一ニングを扱った硏究はあまり多くなく、學校敎育に活用できるブレンディッドラ一ニングのモデルについての硏究が不足しているのが現狀である. 本稿では、ブレンディッドラ一ニングを活用した日本語敎育硏究の一環として、韓國におけるブレンディッドラ一ニングを導入した日本語授業の現況報告を把握し、敎室內外での學習の場で廣く活用できる新たな日本語敎育の展望と可能性について考察を試みた. 今後の課題は、新しい時代のメディアやIT技術を旣存の對面授業に效果的に適用できる、日本語敎育におけるオフラインの對面授業とオンライン·e-ラ一ニング混合型のブレンディッドラ一ニングの效果的な實踐方案や戰略を模索し、韓國の敎育實情にふさわしい統合型實踐モデルを構築することである.

      • KCI등재

        日本語敎育現場におけるBL實踐と その經過から見えるもの -日本語漢字敎育におけるBL授業實踐追跡調査報告から-

        채경희 ( Chae Kyung-hee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8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5

        本論文では、日本語漢字敎育におけるBL授業實踐の事例報告及びそのBL授業實踐の追跡調査の結果を報告した。2017年度の前期に行った授業實踐アンケ一ト調査と後期に行ったその追跡調査をもとに、評價用日本語漢字アプリの滿足度評價やアプリコンテンツの滿足度アンケ一ト調査の結果を報告し、その評價用日本語漢字アプリの授業實踐とその經過から見えるものを分析した上で、それに伴った改善要求事項やその對策を提示した。 評價用日本語漢字アプリの滿足度に關する評價を分析した結果、1)2017年度前期に行ったAクラスの調査では、①滿足度が高いのは評價用ペ一パ一使用時で18名、評價用アプリ活用時は13名とのデ一タが得られた。②評價用ペ一パ一使用時の長所への回答は32件あり、短所への回答は7件である。③評價用アプリ活用時の長所への回答は28件あり、短所への回答は34件である。2)2017年度後期に行ったABクラスの調査では、①滿足度が高いのは評價用ペ一パ一使用時で47名、評價用アプリ活用時は10名とのデ一タが得られた。②評價用ペ一パ一使用時の長所への回答は65件あり、短所への回答は27件である。③評價用アプリ活用時の長所への回答は55件あり、短所への回答は63件である。アプリコンテンツの滿足度に關するアンケ一ト調査を分析した結果、1)2017年度前期に行ったAクラスのアンケ一トの調査では、滿足度尺度5点滿点に對して3.5点を獲得し、滿足以上との回答が50%、普通以上との回答は90%となった。2)2017年度後期に行ったABクラスのアンケ一トの調査結果は、滿足度尺度5点滿点に對して3.0点を獲得し、滿足以上との回答が25%、普通以上との回答は75%となる。この調査では、BL授業實踐の追跡調査を通して、クラスをめぐる授業環境によって滿足度が變わってくることも分かった。 In this thesis, we report the case report on practical implementation of BL classes in Japanese kanji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follow-up survey of that class.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in the first semester of fiscal 2017 and the follow-up survey conducted in the latter term, we report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rating of the Japanese kanji app for evaluation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We analyzed the class practice of Japanese kanji app for Japanese and its appearance and presented the requirements and countermeasures for improvemen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valuation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Japanese Kanji app for evaluation are as follow: 1) in A class survey conducted in the first term of 2017, ① satisfaction was high when using evaluation papers of 18 people, using application for evaluation: at the time we got data of 13 people. ② there are 32 responses to the advantages when using evaluation papers, and 7 answers to disadvantages. ③ there are 28 responses to the advantages when using the evaluation application, and 34 answers to the disadvantages. 2) According to the AB class survey conducted in the latter half of 2017, ① data showing satisfaction was high for 47 people when using evaluation paper and 10 persons for evaluation application. ② there are 65 answers to the advantages when using evaluation papers, and 27 answers to disadvantages. ③ there are 55 answers to the advantages when using the evaluation application, and 63 answers to disadvantag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pplication contents, 1) In the survey of the A class questionnaire conducted in the first term of 2017, 3.5 points against the full scale of 5 points were acquired, 50% answered that they were satisfied, 90 % answered that it was ordinary or more 2) The results of the AB class questionnaire conducted in the latter half of 2017 were 3.0 points against the full score of 5 points scale, 25% answered that they were satisfied, 75% answered that it was more than normal. In this survey, through tracking survey of BL class practice, we also foun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can depend on the surroundings around the class.

      • KCI등재후보

        한국의 일본어교육 현장에 있어서의 한자지도의 현황과 과제 -획순,총획수를 중심으로-

        채경희 ( Kyung Hee Chae ) 한국일어교육학회 2009 일본어교육연구 Vol.16 No.-

        필순이 자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거론되면서 일본의 문부과학성은 필순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교육한자 1006字에 한하여 필순지도에 관한 지침을 정하게 되었다. 한국은 필순관련 지침이 없고 교과서별 제시필순이 통일되어 있지 않아 학습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필순과 관련된 학습자의 혼동을 막기 위해서는 필순을 통일하여 동일한 구성부분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 쓰도록 정리하는 것이 학습지도상 효과적이고 능률적이라 하겠다. 필순학습은 바르고 정확하고 능률적인 한자쓰기에 도움이 되며 총획수는 漢字字典을 활용하는 데에 꼭 필요한 한자의 기초지식이다. 본고에서는 <중학교 일본어교육 학습대상한자 114字 선정시안>과 小學校과정 학습대상한자인 교육한자 1006字를 중심으로 효과적인 漢字筆順·總畵數의 체계적 지도법을 연구하기 위한 분석을 시도하며 획순·총획수의 학습방안과 유관한 자종 및 자체, 서체와 관련하여 대상한자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筆順が字形に影響を與えるという事實が議論されると、日本の文部科學省は筆順敎育の必要性を强調し、敎育漢字1006字に限って、筆順指導に關する指針を策定するに至った。韓國は筆順關連の指針がなく、敎科書ごとに提示されている筆順が統一されておらず、學習に混亂を招いている。筆順に關する學習者の混同を防ぐためには、筆順を統一し、同一の構成部分を一定の順序に從って書くように整理するのが、學習指導上、效果的で能率的だと言える。筆順學習は正しく、正確に、且つ能率的に漢字を書くための助けになり、また、總畵數は漢字字典を活用する際に必要となる、漢字の基礎知識である。本稿では、<中學校日本語敎育學習對象漢字114字選定試案>と小學校課程學習對象漢字である敎育漢字1006字を中心に、效果的な漢字筆順·總畵數の體系的な指導法を姸究するための分析を試み、筆順·總畵數の學習方案と關係のある字種及び字體、書體と關連づけ、對象漢字を分析した結果を示した。

      • KCI등재

        日本語漢字敎育におけるブレンデッドラ一ニングの 授業實踐報告 -日本語漢字アプリコンテンツの滿足度に關する調査結果を中心に-

        채경희 ( Chae Kyung-hee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7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1

        本稿では、評價用日本語漢字アプリの開發及び滿足度に關するアンケ一ト調査の結果を報告した。アンケ一トの調査結果は滿足度尺度5点滿点に對して3.5点を獲得した。滿足以上との回答が50%で、普通以上との回答は82%となっており、調査結果は有意味であると解釋できる。評價用日本語漢字アプリの滿足度に關する評價を分析した結果、1)滿足度が高いのは評價用ペ一パ一使用時で18名、評價用アプリ使用時は13名とのデ一タが出た。2)評價用ペ一パ一使用時の長所への回答は28件あり、短所への回答は7件である。3)評價用アプリ使用時の長所への回答は28件あり、短所への回答は34件である。さらに、評價用學習補助資料で開發した日本語漢字アプリを活用して授業實踐を行った結果を學習者や敎授者の側面から報告し、最後に、評價用日本語漢字アプリの、1)活用內容 2)活用效果 3)改善要求事項を提示した。 これまで報告された多くの硏究結果は、BLを導入した效果を提示し、現在の若い世代はTリテラシ一が高く、樣?なコンテンツを使いこなせるだろうと結論づけているが、今回の實踐結果からは必ずしもそうとは思えない意外な結果が出た。日本語漢字學習では、未だにペ一パ一の使用に慣れており、アプリ活用に關しても長所より短所にこだわる予想外の結果が得られ、このことから、アプリ開發時の問題構成にも、さらに興味を誘發する工夫が必要になるという課題も浮かび上がった。このような、新技術を取り入れた授業を好むとは思えない結果が出たことを考慮し、日本語漢字の授業ではペ一パ一やアプリの活用評價を適切にブレンドした適切な授業設計を思案すべきであろう。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port the results of development of Japanese Kanji app for evalu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of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questionnaire survey result of the Japanese Kanji app gained 3.5 points for a perfect score of 5. More than 50% of the surveyed said they were satisfied, 82% said that they were satisfied more than normal,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interpreted as significant. In the survey of the satisfaction level evaluation result of the Japanese Kanji app for evaluation, 1) satisfaction scores were high with 18 persons when using evaluation paper and 13 persons when using evaluation application. 2) 28 persons answered to the advantages when using evaluation papers, and 7 persons answered to disadvantages. 3) 28 persons answered to the advantages when using the evaluation application, and 34 persons answered to disadvantages. In addition, This paper reported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class using the Japanese kanji app developed as the learning support materials for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learner and the professor, and finally, This paper presented 1) content of utilization 2) effect of utilization 3) requirements for improvement of the Japanese kanji application for evaluation. Many of the research results reported so far have put up with he effect of introducing BL and concluded that thanks to IT literacy the current young generations can master various kinds of contents. But this paper got the unexpected results. In learning Japanese kanji, learners are still used to using paper and sticking to the shortcomings more than advantages of application utilization. From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question item configuration is very important. Considering that the learners do not like the class incorporating the new technology in the Japanese kanji class, This paper suggests an appropriate lesson design that appropriately blends paper and application evaluation.

      • KCI등재

        북한 장마당세대의 의식 특성 비교 연구

        채경희(Kyung-Hee 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사회학적 관심의 대상이 된 장마당세대가 많은 사회학적 범주들인 계급, 학생, 민족, 젠더 등을 넘어서 실제세대를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장마당세대의 정치의식, 교육의식, 사회의식, 준법의식, 교육의식을 기성세대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6년 11월부터 12월 말까지 국내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5년 이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200부의 설문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고,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이상에서 장마당세대의 주요의식들을 기성세대와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장마당세대의 정치의식, 사회의식, 준법의식, 교육의식은 기성세대에 비해 낮으며, 경제의식은 기성세대에 비해 높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장마당세대의 교육의식과 준법의식은 기성세대와는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장마당세대는 객관적 세대위치로서 청소년기에 ‘고난의 행군’과 ‘공교육의 붕괴’를 경험하였다. 기성세대와 다른 장마당세대의 세대위치는 기성세대와는 다른 세대의식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공교육을 제대로 받은’ 기성세대에 비해 ‘공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장마당세대는 전반적으로 기성세대에 비해 의식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특성을 가진다. 이렇듯 장마당세대는 기성세대와 다른 세대의식을 갖는 집단으로 하나의 세대로 구성될 가능성을 가진다. This study poses a question on whether the Jangmadang Generation, which has been the focus of the sociological interest, can form an actual generation by transcending the social classes, status of students, ethnicity, and gender, etc.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uthor compared the consciousness of the Jangmadang Generation in terms of politics, education, society, compliance with law, and education with their preceding generation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the North Korean defectors who defected within the past five years over the perio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6.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using SPSS 20.0, in order to show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perform frequency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nsciousness of the Jangmadang Generation in politics, society, compliance, and education was lower, while the economic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earlier generations. As their objective generational status, the Jangmadang Generation had experienced the "March of Ordeal" and "Collapse of Public Education" while they were still teenagers. Such a difference in their generational statu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different consciousness as a generation compared to the earlier generations. Compared to the earlier generations who received "proper public education," the Jangmadang Generation, who did not receive "decent public education" shows a generally lower level of consciousness compared to the earlier generations. As such, the Jangmadang Generation has the potential to form a separate generation with a different generation consciousness from that of earlier generations.

      • KCI등재

        탈북청소년의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채경희(Kyung-Hee 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1

        본 연구는 국내 입국탈북자들 중, 청소년 탈북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탈북청소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인 탈북청소년들은 한국 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상황을 낯설어하고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한국 사회 적응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탈북청소년 213명을 대상으로 2017년 06월 14일부터 24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탈북청소년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탈북청소년 사회적 지지유형인 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은 탈북청소년의 문제해결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탈북청소년의 사회적지지 4가지 유형과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통해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한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나 자기개발훈련 등의 실천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Given that the ratio of adolescent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s increasing, it is the right time to study the present situation of juvenile North Korean defectors. North Korean adolescents tend to find themselves in an uncomfortable situation as they experience unfamiliar lives in South Korea, and act passively in various situations. A proper resolution of such problems in this situation will help them adapt smoothly to South Korean socie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based on a survey on 213 North Korean teens which was performed for 24 days beginning on June 14 2017. The study results show that emotional, material, informational, and evaluative support for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which is a type of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esteem, and self-esteem in tur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In addition, self-esteem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types of social suppor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This study suggested a practical plan to improve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for their smooth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through social support and improved self-esteem of North Korean adolescents, such as program development or self - development training.

      • KCI등재

        블렌디드 일본어교육현장에서의 교수자의 역할

        채경희 ( Kyung Hee Chae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5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2

        블렌디드 러닝은 2000년대 초반부터 영어권 학계와 기업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개념으로 학습자의 수행성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교수 설계 전략 및 미디어 개발 방식 등을 적절히 혼합하는 것을 말한다. 학습자의 학습 및 만족도 고양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면서 의학 등 이과 분야에서부터 기술 실기 분야, 어학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블렌디드 러닝이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렌디드 전략을 도입한 일본과 대만, 한국의 일본어교육 현장에서 실천하는 교수자의 역할과 관련된 연구사례를 고찰.분석하고, 한국의 블렌디드 일본어교육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교수자의 역할 및 역량을 제시하여 교실수업의 지도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그 결과, 블렌디드 러닝에서 요구되는 교사의 역할을 교수설계자 및 학습촉진자, 기술지원자, 평가자의 4개의 카테고리로 나누고, 그 하위항목으로서 11개의 세부역할을 정의하였으며, 11개 세부역할의 하위항목에 또 다시 세부역량을 제시하였다. Blended learning began to be used in the early 2000s by the English related institutions and industry. It refers to proper mixing of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and media development practic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learners. As this concept proved its effectiveness in student learning and learner satisfaction improvement, it is adopted in various fields ranging from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to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will review and analyze how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is being practiced by the Japanese language teachers in Japan, Taiwan and South Korea . At the same time this study, by presenting what kind of roles and competences can be implemented in the actual Japanese education in Korea,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classroom leadership. As a result, the role of the teacher, which is required by blended learning,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of teaching designers, learning facilitators, technical supporters, and evaluators. Eleven detail roles are defined as their sub categories and more detailed competency is also presented under these 11 ro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