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Bacillus cereus를 억제하는 Bacillus subtilis HH28의 항균물질 정제와 특성규명

        차현아 ( Hyun A Cha ),정다은 ( Dawn Chung ),홍성욱 ( Sung Wook Hong ),정건섭 ( Kun Sub Chu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1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2 No.4

        A bacterium producing antimicrobial substance was isolated from cheonggukjang. The bacterium was identified as a strain of Bacillus subtilis by 16S rDNA sequencing and designated as Bacillus subtilis HH28. The antimicrobial substance produced from Bacillus subtilis HH28 was purified by 0-80%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DEAE-sepharose FF column chromatography, and Sephacryl S-200 HR gel chromatography.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antimicrobial substance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3,500 Da using Tricine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direct detection analysis.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B. subtilis HH28 not only inhibited B. cereus, but also Listeria monocytogene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The purified antimicrobial substance was stable at 40-80oC, and between pH 2 and 8.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urified substance was completely destroyed by treatment of protease, proteinase K, and pronase E, indicating that it is proteinaceous.

      • KCI등재후보

        통일교육에 있어 민주시민교육의 중요성과 그 방향설정에 관한 소고

        차현일(Cha Hyunil)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19 북한법연구 Vol.22 No.-

        This study starts on the premise that the ultimate goal of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social integration. On the premise, this study will take a look at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achieving social integration, the ultimate goal of unification. Meanwhil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direction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our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this end,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tic civic education, unifi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The cas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Germany will be reviewed. And this study will analyze the implications of the German case for us. Based on this review,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for integrating the values of the German Beutelsbacher consensus(Konsens) into the field of our unification education. 본 연구는 헌법적 명령인 평화적 통일 과업 완수는 체계 통합 이후의 완전한 사회 통합까지 염두에 두고 준비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그 과정에 민주시민교육이 어떠한 의미와 중요성을 가지는 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향후 통일 과업 완수를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성이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함께 고민해보기 위하여 작성된 것임을 밝혀둔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민주시민교육과 통일, 통일교육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민주시민교육이 통일 완성의 필요조건임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독일은 민주시민교육을 어떻게 준비하고 시행해 왔는지, 특히 보이텔스바흐 협약이 교육적으로 어떻게 구체화되어 있는지를 살펴본 후, 통일 교육의 관점에서 현행 민주시민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기로 한다. 그리고 문제해결을 위한 첫 출발로서 선행되어야 할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설정에 대하여 제언코자 한다.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정책 목적 재설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차현 법무부 2016 統一과 法律 Vol.- No.26

        Up to the present 2016, the number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is almost 30,000. Their successful settlement in South Korea has very important connotation from a reunification perspective. Because it is a sort of preliminary examination on reunification. Thus, government has supported their settlement by the law; Act on the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Despite these efforts, a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fail to adapt themselves to environmental change in South Korea. For example some of them moved to third countries, others even came back North Korea. These types of incidents have some reachers questioning whether the policy will lead to a successful settlement. For one thing whatever the reason may be, there are some problems and the policy needs improvements in their effectiveness. An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to find a solution and it is time to discuss. We must consider the problem in its entirety, such as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eacuse the purpose of policy is not just about consideration social minorities, but preliminary examination on reunification. But it is stipulated in the statute that the objectives of this law are to support 'rapid settlement'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Under the provisions of this purpose, the policy maker such as Ministry of Unification neglect their constitutional duty to social integ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This study analyzes settlement assistance policies and programs in order to suggest more effective assistance. And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change the purpose of policy from 'rapid settlement' support to 'social integration' support. 2016년 3월 현재까지 누적된 국내입국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약 2만 9천여 명이고, 곧 3만 명 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 정착은 한반도 통일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에 정부는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이하, 정착지원법) 등을 통하여 이들의 성공적인 사회적응을 위해 많은 지원을 해오고 있다. 그럼에도 북한이탈주민의 상당수는 남한 사회에의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외국으로 재이주하거나 심지어 북한으로 재입국하는 경우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부 지원이 선주민 중 저소득층과 소외계층에 비해 과도하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고, 기초생계비 지원과 같은 정착지원제도가 오히려 복지의존성을 심화시켜 자립정착을 방해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그 이유가 무엇이든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현행 북한이탈주민 지원 정책에 문제가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 지원 정책의 전환기를 맞아 이에 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보다 효과적인 지원 체계의 확립을 위한 논의의 과정에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원 정책이 이주민 등 소수자에 대한 배려 관점을 넘어 헌법적 명령인 한반도 통일을 이루어 내기 위한 거시적 정책 수행 체계 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한반도의 통일은 재통일(Reunification)이다. 원래 완전히 통합되어 있다가 분리된 것을 다시 통합시키는 작업인 만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원 정책의 궁극적 목적은 완전한 통합이어야 한다. 그러나 현 정책의 법적 기본 토대를 이루는 정착지원법의 목적 규정은 ‘통합’이 아닌 ‘정착’ 지원에 머물고 있다. 이러한 목적 규정 하에서 정책의 핵심 수행자인 통일부는 장기적 안목에서의 통합을 위해 필요한 다른 정책행위자들과의 협업 내지는 네트워크 생태계 마련에 소홀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정착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현행의 제도를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정책목적의 설정이 신속한 정착 지원에서 사회통합 지원으로 바뀌어야 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The Usefulness of Immunocytochemistry of CD56 in Determining Malignancy from Indeterminate Thyroid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

        차현,표주연,홍순원 대한병리학회 2018 Journal of Path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Vol.52 No.6

        Background: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 serves as a safe, economical tool in evaluating thyroid nodules. However, about 30% of the samples are categorized as indeterminate. Hence, many immunocytochemistry markers have been studied, but there has not been a single outstanding marker. We studied the efficacy of CD56 with human bone marrow endothelial cell marker-1 (HBME-1) in diagnosis in the Bethesda System for Reporting Thyroid Cytopathology (TBSRTC) category III. Methods: We reviewed ThinPrep liquid-based cytology (LBC) samples with Papanicolaou stain from July 1 to December 31, 2016 (2,195 cases) and selected TBSRTC category III cases (n = 363). Twenty-six cases were histologically confirmed as benign (six cases, 23%) or malignant (20 cases, 77%); we stained 26 LBC slides with HBME-1 and CD56 through the cell transfer method. For evaluation of reactivity of immunocytochemistry, we chose atypical follicular cell clusters. Results: CD56 was not reactive in 18 of 20 cases (90%) of malignant nodules and showed cytoplasmic positivity in five of six cases (83%) of benign nodules. CD56 showed high sensitivity (90.0%) and relatively low specificity (83.3%) in detecting malignancy (p = .004). HBME-1 was reactive in 17 of 20 cases (85%) of malignant nodules and was not reactive in five of six cases (83%) of benign nodules. HBME-1 showed slightly lower sensitivity (85.0%) than CD56. The specificity in detecting malignancy by HBME-1 was similar to that of CD56 (83.3%, p = .008). CD56 and HBME-1 tests combined showed lower sensitivity (75.0% vs 90%) and higher specificity (93.8% vs 83.3%) in detecting malignancy compared to using CD56 alone. Conclusions: Using CD56 alone showed relatively low specificity despite high sensitivity for detecting malignancy. Combining CD56 with HBME-1 could increase the specificity. Thus, we suggest that CD56 could be a useful preoperative marker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TBSRTC category III samples.

      • KCI등재

        통일비용과 재원 마련 그리고 통일세에 관한 법적 쟁점 검토

        차현 법무부 통일법무과 2011 統一과 法律 Vol.- No.5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must be a supreme task in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Nevertheless, the estimation of reunification cost is striking fear into our mind imprudently. The reason we must approach reunification cost earnestly is not considering the pros and cons but maximizing net profit of reunification. This principle must not be forgotten. The contemplation what the cost of reunification concretely and how it must arrange should be made such aspect. A key theme of this study is an extension of the consideration like this. Therefore, first, this study research the case of the German. After that, Korea's financial resources and reunification cost shall be analogized. Furthermore, among the specific measure of the financial resources, the necessity of legislation for reunification-tax shall be reviewed. Also reunification-tax in the legislative process should be reviewed legal issues concretely. A recent studies present that the costs of reunification is estimated from dozens of trillion won to the astronomical cost of 6000 trillion w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cost and maximum cost is hard to accept from a common-sense point of view. That's why the calculation structure of reunification cost have a problem itself. After all, it does not make any sense which one is more credible. Significantly, the most urgent thing is a debate of the financial resources for a reunification: how to cover significant sums of money expected to reach thousands of trillion won. The conclusion of study about these financial resources reach that we must review all options positively. Early on, reunification cost must be needed intensively. So, it is important to minimize impact of reunification cost. In this respect, we must prepare for reunification steadily from now on. Therefore, among many ways of raising fund, this study will deal with the following aspects of the question: the need of legislation about the reunification-tax, and the legal issue that can be problem to legislative process. It is clear from numerous studies of the German case that the reunification tax is inevitable. If so, do the following steps: a choice between preparing reunification for a long time and bearing a large hemorrhage after reunification. Course, if you are rational decision makers, you will choose the former. Therefore, the reunification-tax shall be reviewed seriously as the tax legislation from now on. In addition, the study should be made within the scope of constitution, such as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통일은 헌법 정신에 비추어 볼 때, 지상과제임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최근의 통일 관련논의들은 통일에 대한 막연한 통일비용 추정치에 근거하여 통일에 대한 공포심을 조장하는 경향이 있다. 통일에 있어 우리가 진지하게 그러한 비용 문제들에 접근해야 하는 이유는 이해득실을 따지 위함이 아니라, 통일의 순편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통일의 비용에 대한 고찰과 그 재원마련에 대한 고민은 반드시 그러한 측면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 본 소논문의 핵심 주제는 그와 같은 고민의 연장선에 있다. 본고에서는 독일의 사례를 통하여 남북한의 통일비용과 재원마련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그 구체적 재원마련의 방안 중 지난 이명박 대통령의 8·15 경축사에서 언급된 ‘통일세’의 입법 필요성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 또한 통일세 입법과정에서 검토되어야 할 법적 쟁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통일 비용 추정치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은 작게는 수 십 조원에서 많게는 6천조에 육박하는 천문학적인 비용들을 제시하고 있다. 같은 기관의 발표라 할지라도 최소 비용과 최대비용 차이에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든 차이가 나타나는데 그것은 통일 비용의 산출 구조자체의 문제이기도 하다. 결국 어떤 자료가 더 신빙성이 있는가 하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다. 중요한 것은 대략 수천 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막대한 자금을 무엇으로 충당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그것은 매우 시급한 일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재원마련 방법들에 대한 검토는 결론적으로 특정 방안 선택의 문제가 아닌 활용가능한 모든 방안들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함에 이른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요한 것은 초기에 집중적으로 필요하게 될 통일 비용의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고, 그것만을 위해서도 지금부터 꾸준한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의에서는 그러한 여러 가지 재원마련에 관한 방법들 중에서 구체적으로 ‘통일세’의 입법 필요성과 입법 과정에서 문제될 수 있는 법적 쟁점들에 대하여 검토하기로 한다. 독일의 사례와 그 간 수많은 연구 결과들이 말해주듯이, 그것이 통일세의 모습이든 국채발행의 모습이든 ‘조세’는 통일비용 담당의 큰 축이며 조세인상은 통일 비용의 지불에 있어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문제는 조금씩 장기간 준비하느냐 통일이 발생했을 때 큰 출혈을 감당해야하는가 사이의 선택이 된다. 합리적 의사결정자라면 당연히 전자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그런 이유에서 우리는 조세 입법으로써의 통일세를 진지하게 검토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한 검토는 조세법률주의와 같은 헌법적 범위 안에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