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색, 공간 주파수, 자극의 형태가 색채 유도 현상에 미치는 효과

        차한님,송재선,정우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5 No.4

        자극을 구성하는 색, 공간 주파수 그리고 자극의 형태가 색채 유도 현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두 개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유도 색과 검사 색의 종류에 따른 색채 유도 현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된 자극은 동심원 형태의 S-cone 패턴 자극과 L-cone 패턴 자극이었다. 실험 1의 결과 유도 색이 S-cone 패턴일 때와 L-cone 패턴일 때 모두 색채 유도 현상이 나타났으며 자극이 S-cone 패턴일 때 유도 색이 보라색인 경우 색채 유도 현상이 강하게 지각되었다. 검사 색도 색채 유도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공간 주파수 정보와 자극의 형태가 색채 유도 현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자극의 형태는 원, 직선, 호의 세 가지가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자극의 형태와 관계없이 공간 주파수가 높을수록 색채유도현상이 강하게 지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색채 유도 현상의 발생이 시각정보처리의 초기 단계와 관련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lor, spatial frequency and shape on chromatic induction. In experiment 1, the effects of inducing colors and test colors were examined. Stimuli were S-cone patterns and L-cone patterns of concentric circles. The result of experiment 1 showed that chromatic induction occurred both with S-cone and L-cone patterns. In particular, chromatic induction was strong when inducing colors in the S-cone patterns were purple. Test colors also affected chromatic induction. In experiments 2, the effect of spatial frequency and shape of the stimulus were tested. Three types of shape were used as stimuli; concentric circle like in experiment 1, straight line and arc. The result of experiment 2 showed that, if spatial frequency was higher chromatic induction was strong in all shape of stimuli. These results imply that chromatic induction is concerned with early stage of visual information process.

      • 추가된 분절이 네온 색 확산 현상에 미치는 효과

        정우현,차한님 忠北大學校 社會大 社會科學硏究所 2012 사회과학연구 Vol.29 No.1

        추가된 분절의 색과 길이가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우현과 이일우(2010)의 연구에서 사용된 네온 색 확산 자극의 일부를 변형하여 배경이 회색인 자극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추가된 분절의 색은 세 수준으로 흰색, 녹색, 검은색이었다. 추가된 분절의 길이는 네 수준으로 구성되었으며 시각(visual angle)으로는 각각 0.05º, 0.66º, 1.32º, 1.93º 이었다. 무작위로 선별된 두 개의 자 과제 수행결과 추가된 분절의 색이 검은색이면 네온 색 확산이 약해지 고 추가된 분절의 색이 흰색이거나 녹색이면 네온 색 확산이 강하게 지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배경의 밝기와 추가된 분절의 밝기가 네온 색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실험 결과 추가된 분 절의 길이가 시각 1º보다 길면 네온 색 확산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연결성이 위배되는 경우에 주관적 윤곽이 뚜렷해짐과 동시에 색 확 산이 감소하는데 분절의 추가는 연결성의 위배되는 조건과 일치한다. 본 연구 결과는 네온 색 확산 자극의 연결성이 위배되었다고 지각되기 위해서는 추가되는 분절이 어느 정도의 길이를 유지해야하며 이 기준 이 약 1º 정도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점선과 주변자극의 추가가 caf$\grave{e}$ wall 착시에 미치는 효과

        정우현,차한님,Jung, Woo-Hyun,Cha, Han-Nim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4

        점선의 추가와 주변 자극의 추가가 caf$\grave{e}$ wall 착시에서 지각된 착시량과 착시에 대한 확신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흰 색과 검은 색 벽돌이 나열된 세 줄의 벽돌층의 수평 경계에 흰색 벽돌과 검은색 벽돌의 중간 밝기를 가지는 회색 선분(모르타르:mortar)과 벽돌과 반대 밝기의 점선을 추가하였을 때 착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사용한 자극에 벽돌 층을 추가하여 주변자극의 추가에 따라 caf$\grave{e}$ wall 착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회색 경계선에 점선을 추가하는 것은 착시 지각의 확신도에는 가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착시량에서는 가산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벽돌 층의 추가는 지각된 착시량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착시지각의 확신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시각피질의 방위 선별적 세포의 반응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how additional dotted lines and peripheral stimulus to the caf$\grave{e}$ wall illusion affect on the degree of perceived tilt (amount of illusion) and confidency of illusionary perception. The experiment 1 tested the effects of adding mortar (solid line) and bright contrast dotted lines to the borderline of 3 layers of blocks, which are consisted of black and white blocks. On the experiment 2, effects of adding peripheral stimulus on caf$\grave{e}$ wall illusion were tested. The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adding dotted line on the borderline mortar between blocks has additive effects on confidency of illusory perception. However, no effect on perceived amount of illusion was noted.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eriment 2, adding blocks did increase amount, but not confidency of illusory percep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erception of caf$\grave{e}$ wall illusion is related with response of orientation selective neurons.

      • KCI등재

        점선과 주변자극의 추가가 cafe wall 착시에 미치는 효과

        정우현 ( Woo Hyun Jung ),차한님 ( Han Nim Cha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4

        점선의 추가와 주변 자극의 추가가 cafe wall 착시에서 지각된 착시량과 착시에 대한 확신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흰 색과 검은 색 벽돌이 나열된 세 줄의 벽돌층의 수평 경계에 흰색 벽돌과 검은색 벽돌의 중간 밝기를 가지는 회색 선분(모르타르:mortar)과 벽돌과 반대밝기의 점선을 추가하였을 때 착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사용한 자극에 벽돌 층을 추가하여 주변자극의 추가에 따라 cafe wall 착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회색경계선에 점선을 추가하는 것은 착시 지각의 확신도에는 가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착시량에서는 가산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벽돌 층의 추가는 지각된 착시량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착시지각의 확신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시각피질의 방위선별적 세포의 반응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how additional dotted lines and peripheral stimulus to the cafe wall illusion affect on the degree of perceived tilt (amount of illusion) and confidency of illusionary perception. The experiment 1 tested the effects of adding mortar (solid line) and bright contrast dotted lines to the borderline of 3 layers of blocks, which are consisted of black and white blocks. On the experiment 2, effects of adding peripheral stimulus on cafe wall illusion were tested. The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adding dotted line on the borderline mortar between blocks has additive effects on confidency of illusory perception. However, no effect on perceived amount of illusion was noted.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eriment 2, adding blocks did increase amount, but not confidency of illusory percep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erception of cafe wall illusion is related with response of orientation selective neurons.

      • KCI등재
      • KCI등재

        양안 부등 정보가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

        정우현(Jung Woo Hyun),차한님(Cha,Han Nim) 한국인지과학회 2011 인지과학 Vol.22 No.3

        양안 부등 정보가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두 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자극으로는 Redies와 Spillmann(1981)의 연구에서 사용된 네온 색 확산 자극에 유도 선분과 분절을 추가하여 변형시킨 자극을 사용하였다. 실험1은 선분을 바깥 분절, 가운데 분절, 안쪽 분절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분절의 양안 부등 정보를 달리하였을 때 네온 색 확산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2에서는 다른 깊이 평면에 추가된 분절이 네온색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모든 분절이 동일한 평면에 놓일 때 가장 선명하게 색 확산이 지각 되었으며 색 분절이 다른 분절들보다 가까이 있는 경우나 멀리 있는 경우에는 색 확산이 약화되었다. 분절을 추가한 경우에는 추가된 분절이 네온 색 확산 평면보다 앞쪽이든 뒤쪽이든 상관없이 네온 색 확산이 감소하지만 안쪽 분절이 추가된 경우보다 바깥쪽 분절이 추가되었을 때 네온 색 확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네온 색 확산 현상이 깊이 정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는 있지만 깊이처리 이전 단계의 정보처리에 더 크게 영향 받음을 시사한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binocular disparity information on Neon color spreading (NCS). The stimuli was the modification of Ehrenstein figure used by Redies and Spillmann(1981); inner and outer segments were achromatic and middle segments was chromatic. In experiment 1, the effect of binocular disparity was tested in each segment that were divided inner, middle and outer segments. In experiment 2, the impact of added segments that were put in different depth place were tes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gments on same place were, the clearer the NCS wa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effect of color segment in front or in behind was not appeared. The case of added segments, regardless of added segments were placed either front or behind, the NCS was reduced. But the effect of added outer segments was more affect then added inner segments. This results were suggested that NCS could be affected by depth information but more affected by stage of before depth proce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