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후기 알츠하이머환자의 임상적 특징 : 연하장애와 폐렴

        차태현,김지연 대한연하재활학회 2009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1 No.1

        연하장애(dysphagia)와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은 후기(late-stage)알츠하이머환자의 중요한 증상들이다. 가성구(pseudobulabar)연하장애는 최적의 영양조절이 불가능하여 체중 감소로 이어지며,기본적인 항상성 기전(homeostaticechanismas)의 불균형으로 영양 상태에 악영향을 주어,흡인성 폐렴은 후기 알츠하이머환자 에서 가장 흔한 사망원인이다. 가장 주요한 문제점들은 의식 수준의 감소와 연하장애, 치주병(periodontaldisease),호흡관과 위장관에 삽입되는 여러 가지 관(tubes)들로 인한 흡인성 폐렴에 노출되기 쉽다. 병원과 요양원 등의 기관에도 세균들이 많아 연하장애가 있는 환자들은 더 조심해야 하며,이런 세균들이 입안 또는 관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미리 예방해야 하며,증상이 있을 때는 바로 처치해야 하며,특히 인지기 능이 저하된 알츠하이머환자들의 세균성 침입을 막기 위해 구강과 인두기의 기능을 강화하여,음식물과 침이 기도로 들어가지 않도록 교육과 훈련을 해야 한다.

      • 삼킴과 삶의 질

        차태현 대한연하재활학회 2018 Swallowing Rehabilitation Vol.1 No.1

        삼킴은 음식물이 기도의 흡인 없이 입에서부터 위까지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삼킴 과정은 구강전기, 구강준비 기, 구강 이동기, 인구기, 식도기로 나뉘어져 있다. 정상인들은 정상적인 삼킴과정을 통해 문제없이 음식물을 섭취하고 있다. 하지만, 신경학적, 구조적인 손상 등의 문제로 인해 정상적인 삼킴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삼킴장애는 여러 가지 이유로 정상인, 특히 노인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사람들은 입으로 먹는 즐거움이 없어지며, 사람들과의 관계 가 적어지고, 사회적 고립감과 동시에 삶의 질을 저하된다. 먹는 문제로 인해 타인과의 소통이 문제가 되거나, 스스로에게 짜증을 되는 심리적 증상을 호소하기도 한다. 삼킴기능 평가할 때는 신체적, 생리적인 면뿐만 아니라 개인의 주관적 부분도 함께 평가하여야 한다. 개개인의 흥미도 와 참여도를 높여서 치료 동기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개개인의 음식 및 장소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하여 식사시간을 즐겁게 해주어야 한다. 환자가 본인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을 구분하여 음식물을 최대한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교육 해야 한다. 삼킴재활 전문가는 삼킴과 개인의 삶의 질의 상관성을 인식하여 지속적인 평가와 관리가 필요하다. Cancer of the head and neck is complicated after surgery,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and various levels of dysphagia occur.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strengthens muscle strength of oral pharyngeal muscles and promotes nerve plasticity. However, despite many studies on the positive effects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there is no report that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swallow rehabilitation.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mechanism of muscle fiber mobilization during muscle contraction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mechanism. Imagination training can activate the motor neurons of the brain by practicing the movements psychologically without actual body movements. Imaginary training can therefore complement muscle fiber mobilization problems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wallowing rehabilitation therapy combined with imagination training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nasal dysfunction after nasal T-cell lymphoma diagnosis and radiation therapy. This is a case study. A 68 - year - old male patient was treated with imaginary training and neuromuscular stimulation for 40 minutes from August 23 to September 13, 2017, and medicated for 30 minutes after rehabilitation. Once a day for 70 minutes, and fiv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15 times. After the 5 sessions, the evaluation of swallowing ability and the modified barium swallow test were carried out one time, four times, including the initial evaluation. There was improvement in swallowing ability evaluation and modified barium swallow test. The swallowing ability evaluation result was improved from 31.2 seconds to 15.2 seconds. In addition, self-excretion and pharyngeal pressure were improved. When the food was swallow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and textures, all that was observed in the seven foods disappeared, the aspiration was no longer observed, and the invasion was seen only in the two foods that were observed in the four foods. In particular,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aspiration during swallowing i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course of the test. In the final examination, invasion was observed, but the invasion that was observed after swallowing and after swallowing was clearly reduc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imaginative training and neuromuscular stimulation applied to existing swallowing rehabilitation treatment positively affected the swallowing function of patients with nasal T-cell lymphoma.

      • KCI등재

        비위관을 이용하여 섭식하는 뇌졸중 환자들의 연하장애에 대한 전기자극치료와 전통적 연하재활치료의 비교

        차태현,유은영,오덕원,신숙연,우희순,오종치 대한작업치료학회 200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6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위관을 한 뇌졸중환자의 연하장애 치료에 대한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와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방법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비위관을 통하여 영양섭취를 하고 있는 뇌졸중환자 중 연하장애가 있는 3명의 환자였다. 본 연구는 개별 실험 연구방법 중 대상자 간 다중기초선을 이용한 교차 연구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치료는 혀 운동, 삼키기 법, 머리 및 목 자세 프로그램, 감각 자극, 음식물 조절을 포함하는 30분간의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 그리고 전통적인 치료와 VitalStim을 이용한 30분간의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방법이 었으며, 이를 무작위 순서로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하루에 각 1회씩 기초선을 포함하여 총 14 회기 시행하였다. 각 치료 회기마다 Mann연하기능척도를 사용하여 각 대상자의 연하 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치료 기간 전후에 비디오 투시검사와 연하장애 결과 및 중증도 평가척도를 통해 연하기능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MASA의 평균 점수는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 그리고 전통적인 방법과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경우에서 모두 기초선 과정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치료 방법 간에 차이는 없었다. DOSS 점수는 치료 기간 전에 비해 치료 기간 후에 더 증가되었다. 결론 : 비위관을 한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에 치료에 있어서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와 전기자극치료는 연하 능력과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두 치료 방법 간의 효과 차이는 결론내릴 수 없었다. 향후에는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키고 장기간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combined therapy (traditional therapy plus electrical stimulation) and traditional therapy only in three dysphagic stroke patients using a nasogastric tube. Methods : A single-subject, alternating-treatment design with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individuals was employed in this study. Each subject alternately participated in daily traditional rehabilitation therapy including tongue exercise, swallowing control, postural control of the head and neck, sensory stimulation, and control of food only viscosity and traditional therapy plus electrical stimulation sessions. The outcomes were measured using MASA (Mann Assessment of Swallowing Ability), which were collected during all sessions of the study, and DOSS (Dysphagia Outcome and Severity Scale), which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phase. 14 session measurements were made during the baseline and treatment phases. Results : The mean scores of the MASA for the two methods were increased in the treatment phase over the baselin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The score of the DOSS was increased after the treatment phase. Conclusion : The findings suggest that electrical stimulation and traditional rehabilitation therapy are beneficial in improving the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using a nasogastric tube. The results of this study failed to determine clearly which treatment method was more effective. More case-control studies with greater sample sizes and longer interventions are required in the future in order to determine the clinical benefits of various treatment methods for stroke patients using a nasogastric tube.

      • KCI등재후보

        선천성질환으로 인한 사지마비환자의 고급보조공학 적용 사례보고

        차태현,유인규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09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1 No.2

        서론 :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척수성 근 위축증 환자에게 고급보조공학을 적용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고급보조공학 적용의 확대와 관심을 높이는데 있다. 본론 : 대학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선천성 척수성 근위축증 2형(SMA type II)인 중증장애인에게 고급보조공학 기기인 동공인식보조기기(TM 2)를 이용한 사례를 보고하였다. 기본적인 의사소통뿐 아니라 보호자의 도움을 받지 못하면 스스로 전혀 할 수 없었던 활동영역이 보조공학기기의 적용으로 확대되면서, 전반적인 의사소통 및 일상생활활동의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결론 : 척수성 근 위축증 환자는 모든 일상생활과 기타활동에 전적으로 보호자에게 의존해야 하지만, 고급보조공학의 사용으로 여러 가지 활동을 스스로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고급보조공학의 적절한 적용은 다른 중증장애인에게도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troduc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ase study with spinal muscular dystrophy-typeⅡ patient by applying assistive technology in an attempt to extend the coverage of assistive technology and raise awareness of high tech assistive technology. Body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diagnosed with spinal muscular dystrophy-typeⅡ patient who were treated in university hospital. For the subject, we carried out applying the TM 2 model of assistive technology. As a result of checking their pre-and post-confidence with their own performance, they expressed better confidence after assistive technology was applied.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high tech assistive technology influence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positive changing of life with physical impairment person.

      • 정상 노인의 연하장애

        차태현,최성창,윤태형 대한연하재활학회 2010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2 No.1

        서론 :연하 장애는 신경학적 질환자뿐만 아니라 정상 노인의 일반적인 노화과정 가운데서도 발생할 수 있다. 연령의 증가로 인해 머리와 목의 구조적,생리학적 변화 및 삼킴 관련 근육들의 약화가 진행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정상 노인의 노화 과정에 따라 나타나는 연하장애와 삼킴 관련 구조들의 변화를 이해하고 적절한 전략을 제시하여,이들의 삼킴 기능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론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지난 2000년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2% 에 이르러 고령화 사회에 들어섰으며,오는 2019년에는 이 비율이 14%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이런 환경에서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뇌졸중,파킨슨병,알츠하이머병의 이차적인 합병증 으로 연하장애가 발생하고 있으며,정상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연령이 증가하면서 머리와 목의 구조 적,생리학적 변화가 나타나 삼킬 때 필요한 여러 가지 신체적인 변화가 생겨 노화연하장애라고 하는 삼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정상 노인들에게서 나타나는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에서 기인한 연하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세 조절,감각자극,혀 운동,다양한 삼킴 기법을 훈련하여 음식물이 기도로 흡인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결론 :고령자들의 ‘노화연하장애’를 인식하고 폐렴,영양실조 등의 이차적인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체계적인 교 육과 관리법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삼킴곤란자의 식이단계와 SWAL-QOL 척도를 통한 삶의 질과의 상관성

        차태현,정민예,정보인,이택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8 No.4

        목적 : 본 연구는 McHorney 등에 의해 2002 년에 개발된 Swallowing-Quality Of Life(SWAL-QOL)을 이용하여 식이단계가 향상된 환자의 삶의 질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대상은 16개 기관에서 삼킴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5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4주 뒤에 삼킴 식이단계가 향상된 21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식이상태 변화 후 11개 하위항목의 평균점수와 총점이 상승하여 삶의 질이 높아졌으며, 1차와 2차 SWALQOL의 설문결과 모든 하위항목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SWAL-QOL 하위항목인‘삼킴 능력’은‘삼킴곤란에대한 걱정’,‘ 먹는데 대한걱정과 관심’,‘ 발음능력’,‘ 삼킴 실패로 인한두려움’,‘ 정신 건강’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식이단계 향상 폭은‘삼킴 실패로 인한 두려움’,‘ 사회생활’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이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SWAL-QOL 총점은‘삼킴 곤란에 대한 걱정’,‘ 먹는데 대한 걱정과 관심’,‘ 삼킴 능력’,‘ 삼킬 수 있는 음식에 대한 지식’,‘ 발음 능력’,‘ 삼킴 실패로 인한 두려움’,‘ 정신건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유병기간’과SWAL-QOL 총점은음의상관관계를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물리적, 생리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실시하던 기존의 삼킴 재활치료 방법을 정신사회적인 측면으로 바라보고 환자들의 삶의 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식이 단계가 상승하면서 삼킴 곤란자의 삶의 질 또한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독거노인의 치매 위험인자 보유상태가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

        함민주,차태현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8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치매 위험인자 보유상태가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요인임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143명을 대상으로 치매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한 간이 설문지, 노인우울척도, 치 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무학과 초졸 이하 의 학력, 연령, 우울상태, 흡연, 여가활동, 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예방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서는 인지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인지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생활습관의 변화와 다각적인 관리방 안을 모색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among elderly living alon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ementia risk factors. We conducted a simple questionnaire, GDS-K and MMSE-DS tests to investigate the risk of dementia among 143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ere education, age, depression status, smoking, leisure activities, and gender. In order to develop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dementia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t is necessary to change lifestyle and provide various management methods to identify risk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 cognitive function and to help cognitive health.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사의 가정 기반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임영명,차태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5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가 거주하고 있는 가정환경에서 작업치료사가 실시하는 가정 기반 중재의 방 법과 효과에 대하여 국외 연구들을 중심으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자료 검색을 위해 MEDLINE, CINAHL,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관련된 연구를 검색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총 13편이었으며, 분석 대상에 포함된 연구를 바탕으로 비뚤림 평가와 PICO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결과 : 분석 대상에 포함된 13편의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사가 가정 기반 중재에 참여하고 있었다. 가정 기 반 중재에서 작업치료사는 단독으로 개입하는 중재 혹은 다학제 재활 팀에 구성되어 중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작업치료사는 가정환경을 배경으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의미 있는 활동 그리고 목표활동을 선정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가정 기반 중재에서 작업치료사는 대부분 활동 및 참여영역을 촉진시키기 위해 대상 자 중심의 중재 방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가정 기반 중재를 적용 하기 위해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 In this study, a systematic review of overseas literature of the methods and effects of home-based interventions conduc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home environment of the stroke patients was applied. Methods: Data searches were conducted using the MEDLINE, CINAHL, and Pubmed databases. A total of 13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Based on the research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data were extracted and analyzed systematically by applying a Risk of bias assessment and the PICO method. Results: In the 13 studies included in the analysis,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involved in home-based interventions. Occupational therapists in home-based interventions consisted of individual intervention and multidisciplinary rehabilitation teams. The occupational therapist has a role in selecting and improving the daily living, meaningful activities, and goal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ir home environment. Conclusion: In the home-based intervention of stroke patients, occupational therapists are mostly applying client-centered intervention to facilitate activity and particip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evidence for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applying home-based intervention appropriate for domestic circumstances.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수면의 질과 우울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현옥,차태현,이재신,유두한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2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수면의 질과 우울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전 소재 재활병원에 입원 또는 통원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백분율과 빈도분석으로 확인하였고, 수면의 질, 우울정도, 삶의 질은 기술통계 와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우울과 수면장애 유무에 따라 그룹 으로 나누어 t검정을 시행하였다. 또한 삶의 질에 대한 잠재적인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회귀 분석을 통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수면의 질, 우울정도, 삶의 질의 상관성을 확인하였고, 변수 간 인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위계적 다중회귀분 석 결과, 모형1에서는 성별과 치료형태(R ²=.15), 모형 2에서는 치료형태와 우울정도(R ²=.33), 모형3에서 는 성별, 우울정도, 불면, 수면의 질(R ²=.37)이 유의한 요소들로 삶에 질에 대한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수면의 질, 우울정도, 삶의 질에 대한 요인 간의 상관성과 유의한 인과관계를 확인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신체적, 정신적, 심리사회적 요인 등이 포함 된 중재자료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sleep and level of depression of stroke patients on their quality of lif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55 stroke patients hospitalized or visiting as outpatients in the rehabilitation hospitals located in Daejeo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rough percentage and frequency analysis, and the average scores for the quality of sleep, depression level, and quality of life were confirm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depressed and non-depressed groups and sleep disorder group and non-sleep disorder groups,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he correlation of unobserved variables with quality of life was analyzed, and the causality of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was analyz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ausality among the quality of sleep, level of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as confirmed, an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the causality between variables, a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was shown between gender and patterns-of-care (R ²=.15) in Model 1; patterns-of-care and level of depression (R ²=.33) in Model 2; and gender, level of depression, loss of sleep, and quality of sleep (R ²=.37) in Model 3. Conclusion: Correlation and causality among factors was confirmed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quality of sleep, level of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could be understood.

      • KCI등재

        임상 작업치료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심재훈,차태현,오덕원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3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작업치료사들의 임파워먼트, 직무특성, 직무몰입 그리고 직무만족의 특성과 상호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경력 1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4개의 부분으로 총 6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문항, 임파워먼트 12문항, 직무만족 20문항, 조직몰입 15문항)를 이용하여 수집된 임상 작업치료사의 특성별 임파워먼트의 차이, 그리고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 정도는 59.24였고 임파워먼트 요소로서는 의미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의 차이는 성별, 교육수준, 근무형태, 총 근무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은 임파워먼트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임상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가 증가할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 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관계되며, 이는 일부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치료사의 직무 관련 스트레스와 만족도 뿐만 아니라 의료 서비스 향상 전략을 연구하는데 있어서의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