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색과 황색 해가림이 인삼의 생육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

        김금숙,이민정,현동윤,박춘근,박호기,선우,이성우 한국약용작물학회 2007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15 No.3

        청색과 황색의 4중직 폴리에틸렌 차광망을 해가림 피복물로 사용하여 해가림 색상이 4년생 인삼의 생육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색 차광망의 spectral irradiance는 498nm에서, 황색차광망은 606nm에서 최고를 보여 색상에 따라 광질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 청색 차광망은 황색 차광망보다 투광량이 23% 더 많았으며,기온도 0.3 ˚C 더 높았고 여름철 투광량 증가로 인한 기온 상승으로 황색 차광망보다 지상부 생육이 억제되고 고온장해 발생이 심하였다. 3. 황색 차광망은 청색 차광망보다 엽록소 함량이 더 많고 경장 및 엽면적이 더 컸으며, 고온장해 발생율이 낮아 인삼수량은 48% 증가되었다. 4.동체부위의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색상 간에 유의적인차이가 없었으나 지근 및 세근부위의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청색 차광망이 황색 차광망보다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5. PD/PT비율은 지근부위에서만 청색 차광망이 황색 차광망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Rb1/Rg1의 비율은 모든 부위에서 청색 차광망이 황색 차광망보다 높았으나 지근부위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Yield and ginsenoside contents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is affected by light intensity and quality, and the color and the thickness of PE shading net when PE net is utilized for shading materia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ght quality on root yield and ginsenoside contents off-year-old ginseng by using polyethylene shading net with each blue and yellow color, Spectral irradiance under blue and yellow shading net showed the peak at 498 nm and 606 nm, respectively, which made distinct difference in light quality. Heat injury ratio of blue shading net was increased distinctly more than that of yellow shading net in summer season because of higher transmitted quantum (23%)and air temperature (0.3 ˚C) in blue shading net than those of yellow shading net. Chlorophyll content and leaf area under yellow shading net were higher than those of blue shading net, and its heat injury ratio was lower than those of blue. These effects may led to 48% higher increase of root yield under yellow shading net than that under blue shading net. The content of total ginsenoside in taproo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blue and yellow shading net, while the content in lateral and fine roo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lue shading net compared to yellow shading net. PDM ratio of blue shading net showed more significant increase in lateral root than that of yellow shading net. All of Rb1/Rg1 ratio in three parts of root under blue shading net was higher than that of yellow shading ne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atio of lateral root.

      • KCI등재

        흑차(⿊茶)의 역사적 발전과 제다 및 효능에 관한 고찰

        오보 ( Cao B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흑차의 등장 배경과 발전과정을 이해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해 흑차 산지의 역사적, 지리적 특수성 및 흑차의 제다와 효능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흑차의 등장에는 변경의 소수민족과 중국 간의 차마무역이란 역사적, 지리적 원인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흑차가 생산되는 지역들은 과거 차마무역을 위해 변경으로 수출하기 위한 차들이 만들어진 지역들이었다. 이들 지역에서 생산된 차들은 차마고도, 실크로드, 차선고도와 같은 교역로를 통해 중국의 변경지역으로 수출이 되었다. 변경지역의 소수민족들은 그들의 생활방식 및 식관습상 차의 섭취가 필수적이었다. 그들은 중국과의 차마무역을 통해 차를 수급하고자 하였으며 중국은 이를 통해 소수민족들을 통제하려 하였다. 변경지역의 차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성숙 된 찻잎을 원료로 한 흑차 제다기법이 발전할 수 있었다. 미생물발효로 만들어진 흑차는 다른 차류보다 높은 효능을 가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소수민족에 수출되었던 흑차는 오늘날 그 효능에 주목한 현대인들에게도 인기를 끌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Dark tea’ by literature review about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specificity of production sit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e method and healthy efficacy. The sites where dark tea was produced were areas where the tea was made for export to the minority race, nomadic tribes of the border area. This tea was exported to the frontier areas of China through the tea trade routes. Tea was essential for minorities, because of their eating habits as nomadic tribes. And The royal court of China tried to control them through the ‘Tea Horse Trad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dark tea has been developed to meet the demands of the frontier areas. Because dark tea has a high health promotion effectiveness, they become popular with modern people today.

      • KCI등재

        고문헌에 나타난 전주음식문화 콘텐츠 구조 및 특징

        차진아,경희,송영애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2024 공존의 인간학 Vol.- No.11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value by analyz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Jeonju cuisine culture in historical documents.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historical documents from ancient times to the early 1900s, including content about Jeonju area cuisine. The extracted keywords through content analysis were ‘place name,’ ‘food specialties,’ ‘food specialties,’ and ‘cooking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total of 32 keywords, including Wansanju and Jeonju, were extracted from six documents related to the ‘place name’ category, including Samguksagi. A total of 88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six documents, including Sejong Sillok Jiriji, in the ‘specialty products’ category. A total of 35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five documents, including Seongsobubugo, in the ‘food ingredients’ category. A total of 52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seven documents, including Sanlimjeongyeok, in the ‘cooking methods’ category. In total, 207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24 historical documents. It was also found that honey, ginger, lacquer, pomegranate were major specialty products. Unique cooking methods called Jeonju-sik or Jeonjubang(全州方) such as jeubjang, jeubjangnuruk, ginger powder, ginger porridge, and ginger taffy were also found. In 18th century documents, jeubjang of Jeonju style was mentioned in Sanlimgyeongje(山 林經濟), Chimjeubjeoga(沈汁葅茄) in Gosasibijib(攷事十二集)", jeubjangnuruk and jeubjang in Nongjeonghoeyo(農政會要), jeubjang in Ojuyeonmunjangjeo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jeubjang, ginger powder (gangyu) and ginger porridge in Imwonsibyukji jeongjoji(臨元十六地 正祖地) and ginger taffy in Imhapilgi.

      • KCI등재

        미래순이익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 횡단면적 모형과 재무 분석가 예측 비교를 중심으로

        박성희,정석윤,상권 한국상업교육학회 2015 상업교육연구 Vol.29 No.1

        f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미국 연구에서 소개된 횡단면 자료를 이용한 미래 이익예측 모형의 유용 성을 국내 자본시장에서 검증하는 데 있다. 국내자본시장과 같이 재부 분석가의 이익예측이 미국과 같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대체적인 방법으로 모형에 따라 도출된 이익이 대체적으로 활 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Hou et al.(2012) 에서 제시한 이익예측 모형을 이용하여 차기(t+1)와 차차기(t+2)의 이익 예측 치를 구한 다음, 국내 재무 분석가의 이익예측 치와 비교하여 유용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국내자 본시장에서도 횡단면적 모형을 활용한 이익예측이 높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유용할 수 있 음을 확인하였으며 둘째, 횡단면 모형을 이용하여 구한 차기(t+1)의 이익 예측 치는 재무 분석가의 차기(t+1) 예측보다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편의가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차차기(t+2)의 이익 예측 모형에 나온 미래 이익예측 치는 정확도와 편의 면에서 재무 분석가의 차차기(t+2) 예측치 보다 우 월함을 보여 주었다. 셋째, 비 기대이익에 대한 이익 반응 계수를 비교해 본 결과, 모형을 통한 이 익 예측치를 사용한 비 기대이익에 대한 이익반응 계수가 재무 분석가의 예측치를 사용한 비 기대 이익에 대한 반응 계수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을 이용한 예측치가 국내 자본시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2년 또는 3년 후의 중·장기 이익예측정보를 필요로 하는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We utilize the cross-sectional earnings model to predict future earnings of firms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Following Hou et al. (2012), We generate one- and two-year-ahead future earnings from the cross-sectional model using a few of accounting variables to forecast future earnings for Korean firms.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consists of non-financial public firms in the Korean stock market from 2002 to 2010.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based forecasts vs. analysts’ forecasts in terms of accuracy and bias. We find that the model-based forecasts are less accurate than analysts forecasts but they are less biased than analysts forecasts for one-year horizon. For two-year horizon, the model-based forecasts are more accurate and less biased than analysts’ forecasts. We also find a higher level of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for the model-based forecasts than analysts forecasts in the association framework. This empirical evidence suggests that the model-based earnings forecasts are useful proxies for market expectations of future earnings.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earnings forecasts from the cross-sectional model can be useful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where analyst coverage is limited.

      • KCI등재

        경영자 예측치의 목표설정과 이익조정

        이현경(Hyun Kyung, Lee),김미옥(Mi Ok, Kim),상권(Sang Kwon, Cha),정형록(Hyung Rok, Ju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20 국제회계연구 Vol.0 No.90

        본 연구는 당기의 경영자 예측치 달성과 이익조정과의 관계를 통한 차기 이익조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경영자 예측치는 목표설정 지표로서 당기성과를 차기성과의 하한치로 간주하는 톱니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당기성과가 경영자 예측치를 달성한 경우 차기 경영자 예측치를 증가시키는 정도보다 당기성과가 경영자 예측치에 미달한 경우 차기 경영자 예측치를 감소시키는 정도가 작게 나타나는 비대칭적 톱니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익조정뿐만 아니라 목표설정과정에서 나타나는 비대칭적 톱니현상 또한 목표설정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연구의 이익예측치를 달성하기 위한 상향 이익조정의 결과가 아니라 비대칭적 목표설정 과정에 따라 이익조정 유인과 차기의 목표설정 행태가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톱니효과가 나타나는 기업에서 차기에 하향의 이익조정이 나타나 지속해서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유인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경영자의 목표설정 행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행동학적 요인들에 대해서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목표를 모두 달성하지 못한 경우와 경영자 예측치를 연속해서 달성하지 못한 경우에 차기에 양의 이익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investigate the next earnings managemen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meet or beat th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MEF) and earnings management during the current period. We employ the management sales and earnings forecast during 2005 to 2017. We find that the management forecast is a target setting indicator, which considers the current performance to be the base of the next performance. Specifically, we provide existence of asymmetric target ratcheting after missing current target, the magnitude of the next target decrease after missing current target is smaller than those of the next target increase after achieving current target. These results imply that asymmetric target ratcheting as well as earnings management have influence on the ratchet effect. In addition, companies with ratchet effect have shown a downward earnings management in the next year, suggesting that firms have incentive to achieve the target, continuously.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behavioral factors that may affect target setting. It appears that corporate has incentive to engage positive earnings management after missing both sales and operating earnings targets or missing the target consecutively.

      • KCI등재

        기업의 배당 여부와 조세회피의 관련성

        상권,김동필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배당 여부가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에 목적이 있다. 배당기업은 이미 배당의 재원이 되는 이익을 충분히 창출하여 세 부담이 크기 때문에 조세회피의 유인이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배당기업은 배당으로 인해 유출된 기업의 잉여금을 조세회피를 통해 현금흐름을 확보하는 세무 계획을 수립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배당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면, 배당은 기업의 사적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정보의 비대칭성을 완화하고 대리인비용을 낮추는 기제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즉, 대리인문제로 인해 발생한 기업의 조세회피를 배당이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예단하기 어려운 배당과 조세회피의 관계에 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2011년부터 2020년까지의 KOSPI와 KOSDAQ 시장을 대상으로 유효세율로 측정한 조세회피 수준을 활용, 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배당 여부는 차기 유효세율과 1% 수준에서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였다. 이는 배당기업이 미배당기업과 비교하여 조세회피에 적극적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배당이 가지는 전통적인 신호 효과의 관점에서의 접근보다는 배당기업이 미배당기업에 배당의 재원이 되는 과세소득의 발생 가능성이 크고, 이를 낮추고자 조세회피가 더욱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둘째, 배당 여부와 차기 유효세율의 관계는 KOSPI 시장보다는 KOSDAQ 시장에서 더욱 강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배당기업에서의 적극적인 조세회피는 KOSDAQ 시장에서 더 적극적임을 의미한다. 셋째, 이러한 결과는 조세회피의 산정 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꾸준히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배당에 관한 선행연구를 확대함과 동시에 조세회피에 미치는 요인으로써 배당이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한 결과로 의미가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예방접종 피해보상 인과관계 범위에 대한 법리적 검토 - 판례의 인과관계 추단 법리를 중심으로 -

        성안(車城安) 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2023 사회보장법연구 Vol.12 No.2

        대법원은 예방접종 부작용 피해보상에서 예방접종과 피해보상 사이의 인과관계를 추단하기 위한 3가지 요건으로, ① 시간적 밀접성, ② 의학이론, 경험칙상 추론 가능성, ③ 원인불명이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닐 것을 요구하고 있다. 예방접종 피해보상에서 요구되는 인과관계 추단 요건은 과학, 의학의 한계로 인한 입증곤란을 내세우는 것 외에 예방접종의 장려 필요성, 불가피한 부작용에 대한 사회보장제도로서 예방접종 피해보상 제도의 필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기존에 산업재해에서 업무상 질병에 대한 입증책임을 완화하는 것과 매우 유사한 면이 있다. 업무상 질병에서의 인과관계 논의에서, 여러 원인이 경합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유력한 상대적 원인과의 인과관계만 인정해서는 안 되고 공동원인으로 작용하는 원인들도 인과관계를 인정할 필요성이 있다. 질병의 악화 형태의 백신 부작용에 대한 피해보상을 인정해야 하고, 기존 질병, 소인 등의 존재만으로 기계적으로 백신과의 인과관계를 부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미국의 백신코트 법원의 인과관계 추단을 위한 인정요건은 예방접종 피해보상에서 인과관계 추단에 관한 한국 법원의 판례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3번째 추단 요건 관련하여 미국과 달리 그 입증책임이 정부가 아닌 환자 측에 부여된 것은 문제가 있다. 미국 백신 피해보상 프로그램(VICP)의 심리절차에서 전문가 의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리적 기준은 한국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인과관계 추단 요건이 가장 문제되는 유형으로 이상반응관리지침의 인과성 판단 범주 중 4-1, 4-2 범주가 있다. 예방접종 피해보상전문위원회는 자연과학적, 의학적으로 판단되는 이상반응 신고에 대한 인과성 판정기준을, 인과관계 추단에 관한 판례법리를 적용하여 규범적으로 판단되어야 할 피해보상 판정기준에도 획일적으로 똑같이 적용하고 있다. 판례상 인과관계 추단 법리의 적용에 소극적인 이러한 경향은 예방접종 피해보상전문위원회의 구성원들이 규범적 인과관계 판단에 익숙한 법률가가 아니라 대부분 의료전문가로 구성된 것에 기인하는 면이 있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이상반응 신고에 대한 인과성 판정기준과 피해보상에서의 인과성 판단기준을 분리하고, 예방접종 피해보상전문위원회 구성원의 절반 이상을 법조인과 시민사회단체가 추천한 비의료인으로 채우는 것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예방접종 피해보상의 범위는 인과관계와도 밀접한 관계를 갖는데, 연령, 장애등급 등을 고려한 보다 세분화된 보상액 기준 마련, 비현실적으로 적은 간병비, 장제비의 증액, 불명확한 비급여 진료비 지급 기준의 개선 등을 통한 피해보상 범위의 단기적 개선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예방접종 피해보상의 사회보장제도로서의 성격을 강화하여 연금구조로 재편하는 등의 근본적 변화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대학-지역사회 연계 지역공동체 활동 네트워크의 확장과정 분석과 정책적 함의

        진영(車振榮),하현상(河顯相) 한국공공관리학회 2021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5 No.2

        오늘날 지역혁신의 모델로 대학-지역사회 연계모델이 많은 주목을 받으면서 어떻게 지역사회와 대학이 관계망을 만들어 가야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대학과 지역사회 주민들이 추진한 지역공동체 프로젝트의 네트워크 변화를 분석하여 지역발전과 상생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K 대학교 학생들과 인근의 지역주민이 함께 진행한 공동체 프로젝트에서 행위자들이 어떠한 네트워크 구조와 행태 변화를 보이는지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2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오면서 전체 행위자 중 학생 비율이 낮아지고 주민들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구성원의 다양성도 높아졌다. 또한 후반부에 들어 네트워크 빈도도 높아지면서 강화되었다. 네트워크 구조는 전반부에서 프로젝트 팀별로 구분되는 이질적 형태가 나타났으나, 후반부에서는 통합적인 형태로 변화하였다. 특히 전반부 네트워크에서는 연계를 형성하고 간단한 정보・의견 전달이 주된 기능이었으나, 후반부 네트워크에서는 실제 자원의 교환・지원 등이 이루어졌다. 두 단계 모두에서 학생들은 높은 자원의존성을 가짐에 따라 적극적인 태도로 네트워크의 확장을 위해 노력하였지만 후반부에 유대감이 형성되고 프로젝트에 대한 공통의 목표와 가치를 공유하면서 주민들이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구조적 공백(structural hole)으로서 역할을 하게 되었다. 후반부 네트워크에서는 구조적 공백에 위치하는 여러 행위자들이 자원에 대한 높은 통제력과 권한을 가지게 됨에도 불구하고, 협력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적극적으로 자원을 공유하였으며 네트워크가 확장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연구는 대학-지역사회 연계 공동체 프로젝트의 네트워크 변화를 객관적으로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그리고 대학-지역사회 연계 공동체 프로젝트를 활성화시켜서 지역상생 발전의 마중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이질성이 강한 조직에서는 정기적 세미나와 같은 공식적 네트워킹이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고 목표와 가치를 공유하는 기회를 다양하게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을 확인시켜주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