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otein Arginine Methyltransferase 1 Methylates Smurf2

        차복식,박예린,황별님,김소영,조익훈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5 Molecules and cells Vol.38 No.8

        Smurf2, a member of the HECT domain E3 ligase family, is well known for its role as a negative regulator of TGF-β signaling by targeting Smads and TGF-β receptor. However, the regulatory mechanism of Smurf2 has not been elucidated. Arginine methylation is a type of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that produces monomethylated or dimethylated arginine residues. In this report, we demonstrated methylation of Smurf2 by PRMT1. In vitro methylation assay showed that Smurf2, not Smurf1, was methylated by PRMT1. Among the type I PRMT family, only PRMT1 showed activity for Smurf2. Transiently expressed Smurf2 was methylated by PRMT1, indicating Smurf2 is a novel substrate of PRMT1. Using deletion constructs, methylation sites were shown to be located within amino acid region 224-298 of Smurf2. In vitro methylation assay following point mutation of putative methylation sites confirmed the presence of Arg232, Arg234, Arg237, and Arg239. Knockdown of PRMT1 resulted in increased Smurf2 expression as well as inhibition of TGF-β-mediated reporter activity. Although it is unclear whether or not increased Smurf2 expression can be directly attributed to lack of methylation of arginine residues, our results suggest that methylation by PRMT1 may regulate Smurf2 stability and control TGF-β signaling.

      • KCI등재후보

        Wnt 신호 전달연구의 최신 지견

        조익훈,김완태,차복식 한국발생생물학회 2007 발생과 생식 Vol.11 No.3

        Wnt 신호전달 과정은 다세포 생물체의 발생 과정에서 세포의 증식이나 분화를 조절하거나 성인 조직에서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Wnt 신호전달의 조절에 이상이 생기면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이 유발되어진다. 최근 들어서 Wnt 신호전달의 이상에 의해 유도될 것이라고 생각되어지는 질병의 수가 많아져서, Wnt 신호전달의 조절에 관심을 갖는 연구자가 많아지고 있다. 많은 리뷰 논문이 출판 되었지만, 대부분의 경우 Wnt 전문가들을 위한 특정 논제를 다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처음으로 Wnt 신호전달을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이 Wnt 신호전달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예가 있다. 본 총설에서는 Wnt 신호전달 과정을 전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Wnt 신호 전달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과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내용들을 이해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