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수학 학업 성취도 성장에 대한 사교육의 효과

        차동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growth is different across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s by using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 with the data of Korea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To estimate the net effect of private education, the following control variables were considered; in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effective teaching, effort and perseveranc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self study hours, time management, peer relation, teacher-students' relation, time spent on reading, household income.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t effect of private education on achievement growth across achievement levels. For example, there are positiv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among higher and lower achievement groups. But for students of the middle level, personal study hours is more effective than private education for achievement growth. The most effective factor for achievement growth during middle school years is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in middle school needs to focus on the value of mathematics and the enjoyment of mathematics. This study illuminates the necessity of various systematic school tutoring programs for students of low-income group to help them improve the achievement growth.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수학 학업 성취도 성장에 대한 사교육의 효과를 학생의 성취 수준별로 살펴봄으로써 사교육의 효과가 학생의 성취 수준에 따라 다른지를 검토하고 추가적으로 학생의 성취도 성장을 위해 학교 수학 수업에서 강조되어야 할 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최종 분석 학교 수 113개교와 5017명의 학생을 포함하고 있으며 2수준 다층 성장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사교육은 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라서 다른 효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상위권과 하위권 학생들에게 사교육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중위권 학생에게는 사교육 보다는 개인공부시간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에 대한 내재적 동기는 사교육보다도 학생의 성취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학 수업에서 가장 강조되어야 할 점은 수학에 대한 가치와 수학에 대한 흥미를 학생들이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 KCI등재

        권력 개념의 발전과 규범적 긴장: 교육적 지향의 탐색

        차동춘 한국교육정치학회 2015 敎育政治學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권력 담론의 개념적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교육적 행위를 위한 규범적 지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대적 권력 개념으로 1차원, 2차원, 3차원적 권력, 구조주의적 권력, 그리고 Foucault의 후기구조주의적 권력 담론에 대해 살펴보고, 각 권력 개념들 간의 교육적 규범 지향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Habermas의 의사소통적 합리성 개념을 도입해 권력 개념들 간의 규범적 차이에 대한 접목을 시도하고 교육적 기획을 위한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1) 권력 개념의 발전은 인간의 자유와 행동을 제한하는 사회적 경계들을 벗기는 과정이었으며, 그렇지만 2) 교육적 행위를 위한 규범적 지향에 있어서 근대적 권력과 후기구조주의적 권력 개념 간의 차이점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아울러, 3) 이러한 차이는 절차론적 의무론적 담론윤리인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 개념을 통한 해결을 시도해 볼 수 있었다. 연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의 권력연구, 미시정치학, 교육정책연구, 리더쉽에 대한 함의를 도출해 보았다.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ical processes of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power and the possibility of locating a normative ideal for a critical education. This study first outlines and analyzes modern discourses of power such as pluralist, elitist, radical, and structural conceptions of power, and then contrasts them with the Foucaultian discourse of post-structural concept of power. This study argues that an apparent unresolved normative contradiction exists between modern conceptions of power and that of the post-structuralist in their normative implications on educational projects. In order to excavate the normative and practical ideals of the post-structural conception of power and place it in line with critical perspectives of education, this study introduces Habermasian procedural and deontological discourse ethics. By doing so, this study suggests that Foucaultian idea of power along with those modern power concepts can help Habermasian discourse ethics happen creating ideal speech situations in our educational public sphere, promoting freedom and emancipation of those participating agent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several implications on future empirical studies of power, micropolitics of education, sociology of educational policy, and moral leadership.

      • KCI등재

        대학입시 영어에 내재된 사회적 가치들 : 한국과 일본 영어읽기 텍스트의 비교담론분석

        차동춘(Cha Dongchun),나장함(Na Jangham),오경미(O Kyung-Mi) 한국영어학학회 2005 영어학연구 Vol.- No.19

        This study has examined social and epistemological values embedded in the texts of English test items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of two countries: Korea and Japan. For this study five English tests (2001-2005) from each country were selected as data samples. Initially in the analysis stage, three researchers independently identified twenty-five values emerging from the sample texts using qualitative coding approach. Through a series of coding seminars, the researchers then reduced them to three coding frameworks with six values (orientations) for further analysis. The frameworks were composed of social values (collectivism, individualism, reflective communitarianism), epistemological values (universalism, relativism), and critical voice. With the coding frameworks, we recoded the sample texts and employed statistical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Korean test items represented more collectivist bearing than those of Japa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other hand, whil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illustrated, Japanese test items embodied more reflective communitarian stance in qualitative terms. Simultaneously, while universalism did not differentiate among test items of both countries statistically, relativism was significantly prominent in Japanese test items. Critical voice was only qualitatively significant in Korean test items. With the findings, some suggestions were discussed to increase value awareness in English testing theory and practice.

      •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의 성과: 학교폭력과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일반학교와 비교연구

        차동춘(Dong-Chun Cha)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敎科敎育硏究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학교 운영이 초중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의 향상과 학교폭력 경감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지 일반학교와 비교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학교폭력, 기초학력자료, 교과향상도 자료가 공시된 2013년도 인터넷 학교알리미(www.schoolinfo.go.kr) 사이트를 통해 특성화고, 예체능계고, 분교, 또는 신설학교의 이유로 학력자료가 공시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수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통계방법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학교폭력 비율이 더 높거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 면에서도 혁신학교는 일반학교에 비해 기초학력 수준이나 교과향상도에 있어서 저조하거나 차이를 드러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혁신학교 일반화 과정에 참고할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novative schools on student achievement and school violence by comparing it with the data of general schools.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internet school information system(www.schoolinfo.go.kr) in 2013. School violence data, basic achievement scores (Korean, Math, English), and subject achievement improvement scores from the system are used for the analysis. Data from a total of 1,214 elementary schools including 94 innovative schools, 583 middle schools including 73 innovative schools, and 289 high schools including 18 innovative schools are analyzed for a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innovative schools tend to present either higher rates in school violence than general schools or no difference between them, and innovative schools tend to show either lower scores in both basic academic scores and achievement improvement scores than those of general schools or no difference between them.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for the process of generalization of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 KCI등재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교육텍스트 분석: 한국과 대만 대학입시 영어지문을 중심으로

        나장함,차동춘,오경미 한국교육개발원 2005 한국교육 Vol.32 No.2

        This study explored the English test texts i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of Korea and Taiwan from a constructivist epistemological perspective. Three English tests from years 2001-2003 were selected as sample data from each country for analysis. At the entry stage of the analysis, three researchers independently examined the test texts based on constructivist perspectives by employing a qualitative coding approach. Through a series of coding seminars, the researchers then narrowed the features down to three coding frameworks. The three frameworks have been composed of 1) interaction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and the test takers is interactive or not), 2) diversity (whether the text recognize the social diversities and/or the individual differences), and lastly 3) proximity of the topical knowledge (whether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opical knowledge is appropriate for the test takers to approach). The findings have indicated that the Korean test texts have represented more interactive features than those of Taiwan. In addition, the Korean test texts illustrated that the text writers have more tolerance toward the social diversities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than those of Taiwan. However, from the year of 2002, the Taiwanese test texts have started to demonstrate some level of interaction and diversity features. For the final framework, the Korean test texts have employed more approachable topical knowledge than those of Taiwan. Based upon the findings,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increase value awareness of the test designers and administrators in the field. 본 연구는 한국과 대만의 대학입시 영어시험 지문들을 구성주의적인 인식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자들은 영어시험지문을 분석하는데 있어 세가지의 분석틀(지문과 피평가자와의 상호작용 정도, 차이에 대한 개방성 정도, 지문 소재가 내포한 지식의 영역)을 사용하였으며, 최근 3개년(2001-2003)의 영어지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한국의 영어지문이 대만에 비하여 총체적으로 구성주의적인 특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만의 경우는 2001년 이후부터 지문의 형태와 내용이 지속적으로 구성주의적인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수능영어 지문의 지식영역(소재)에 있어서는 상당히 구성주의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차이에 대한 개방성, 상호작용의 정도에 있어서는 구성주의적인 지향이 지배적인 것으로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교육과정 각론 및 교육학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 구성주의적인 패러다임이 평가 지문의 선별과 조직에 반영되어야 함을 지적하고, 한국과 대만 모두 구성주의에 입각한 평가지문 구성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향후 보다 발전된 연구를 위해 고려해야할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A Comparison of Generalizability Theory and Many Facet Rasch Measurement in an Analysis of Mathematics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

        이문수,차동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수학 창의력 문제 해결 검사에서 수행형 문항 채점의 신뢰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반화가능도 이론과 다국면 라쉬모형을 이용하여 채점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방법 모두 각 국면의 분산에 있어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분산을 다루는 방법은 다르게 나타났다. 일반화가능도 이론과 다국면 라쉬모형 모두 피험자와 문항의 상호작용 분산은 크게 나타났으며 채점자 국면과 채점자와 관련된 상호작용의 분산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고려한 5개의 문항, 4명의 채점자, 4개의 채점 영역을 모두 교차시켜 채점한 각 피험자의 점수 신뢰도는 G-계수 0.58, phi 계수 0.49였으며, 검사의 최적화된 신뢰도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 10개의 문항이 필요함이 D-연구 결과 제안되었다. 마지막으로 논의 부분에서는 연구 상황에 따라 일반화가능도 이론과 다국면 라쉬모형을 구분하여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escribes the use of Generalizability Theory (GT) and Many-Facet Rasch Measurement (MFRM) to evaluate and improve the rating procedure in a mathematics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se two methods agree about the relative degrees of variation among the facets but slightly differ on how to account for the sources of variation. For both the GT and MFRM results, the variance component for the Person by Item interaction is relatively large, indicating significant variability. Results from both methods also indicated that variance due to rater and interactions related with rater were relatively low. The reliability of the mean rating for each examinee based on five items, four raters and four rating criteria using a fully crossed design was 0.58(G-coefficient) and 0.49(phi coefficient). We found the guidelines from the Decision study (D-study) to obtain a more optimal reliability coefficients, it needed at least ten item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a particular study, GT or MFRM may be the appropriate measurement technique to use.

      • KCI등재

        Qualitative analysis of informal curricular texts about multiculturalism in Korea: Two cases of government sponsored public service advertising

        나장함,차동춘,김희주 한국교육개발원 2016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13 No.2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s how the multicultural family is represented and how multiculturalism is practiced in the Korean media. In order to identify the government’s assumptions regarding multiculturalism, this study investigates two cases of government-sponsored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SAs) about multiculturalism. Since PSAs are mainly designed to deliver and educate a certain message to the general public for the purpose of changing public opinion and raising awareness of social issues, they are a form of informal curricular texts. Because PSAs are composed of meaningful themes, symbols, images, narrations, and subtitles in a highly concise manner, analyzing PSAs with qualitative text analysis is ideal for verifying and demonstrating the rigor of qualitative study. Critical multiculturalist lenses are used in the analytical process, with careful attention paid to every detailed element of the two advertisements throughout the processes. Analysis of each case is divided into two parts: description of the advertisement and text analysis. Precise descriptions of the advertisement are provided explicitly so that readers may check the validity of the critical analysis. In doing so, this study transparently provides the processes and results of analysis with detailed critiques of PSAs. The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current practices and discusses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 PSA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