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에 따른 서울시 생활인구 변화와 동별 반응 차이 분석

        진주혜,성병찬,Jin, Juhae,Seong, Byeongchan 한국통계학회 2020 응용통계연구 Vol.33 No.6

        New infectious diseases have broken out repeatedly across the world over the last 20 years; COVID-19 is causing drastic changes and damage to daily lives. Furthermore, as there is no denying that new epidemics will appear in the future, there is a continuous need to develop measures aimed towards responding to economic damage. Against this backdrop, the living population is an important indicator that shows changes in citizens' life patterns. This study analyzes time-based and socio-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y detecting and classifying changes in everyday life caused by COVID-19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loating population. k-shape Clustering is used to classify living population data of each of the 424 dong's in Seoul measured by the hour; then by applying interven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each cluster's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change in the living population occurring in the aftermath of COVID-19 are scrutinized.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each cluster's obvious characteristics in changes of population flows before and after the confirmation of coronavirus patients and distinguishes groups that reacted sensitively to the intervention times on the basis of COVID-related incidents from those that did not. 최근 20년간 세계적으로 새로운 전염병이 반복해서 등장해왔으며 코로나-19에 들어서는 일상에까지 큰 변화와 피해를 주고 있다. 이에 더해 앞으로도 새로운 전염병의 등장을 간과할 수 없게 되면서 경제 타격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발굴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활인구는 시민들의 생활 패턴 변화를 드러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19에 의한 일상의 변화를 유동인구 관점에서 감지 및 분류하여 시간적 및 사회환경적 특징을 분석한다. 시간 단위로 측정된 서울시 424개 행정동별 생활인구 데이터를 분류하기 위해 k-shape clustering을 사용하였고, 이후에는 각 군집에 개입분석, One-way ANOVA 등을 적용하여 코로나-19 진행 여파에 따른 군집별 특성 및 생활인구 변화 양상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국내 코로나 환자 발생 전후의 인구 유출입 변동에 있어 각 군집별로 뚜렷한 특징을 확인하였으며, 코로나-19 관련 사건을 바탕으로 지정한 개입 시점에 대해서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군집과 그렇지 않은 군집을 구분할 수 있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정신질환자의 억제 경험: 현상학적 연구

        진주혜 ( Ju Hye Jin ),유진희 ( Jin Hee Yoo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3 정신간호학회지 Vol.22 No.4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eanings of Korean patients` experiences of being restrained in psychiatric ward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N=6) and analyzed based o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Results: Four bodily themes of being restrained were evident: wounded body after being shocked, dented body with scarred dignity, powerless body, and reflexive body dealing with the chaotic mind. Meaning dimensions such as time, space, language, emotions, and perception were also applied and explained by the bodily themes. Conclusion: Psychiatric patients` bodies, under physical restraint, were not silent and simply belonging to the situation, rather were embodied as a part of their existential world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nurses can better hear and understand the bodily voices of being restrained when caring for patients in mental health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