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iO<sub>2</sub> 나노분말과 수산화알칼리와의 반응으로부터 티탄산 나노튜브의 형성과 나노구조의 전개

        진은주,류도형,허승헌,김창열,황해,Jin, Eun-Ju,Riu, Doh-Hyung,Huh, Seung-Hun,Kim, Chang-Yeoul,Hwang, Hae-Jin 한국분말야금학회 2008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15 No.2

        [ $TiO_2$ ] nanotubes for photocatalytic application have been synthesized by hydrothermal method. $TiO_2$ nanotubes are formed by washing process after reaction in alkalic solution. Nanotubes with different morphology have been fabricated by changing NaOH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time. $TiO_2$ nanoparticles were treated inside NaOH aqueous solution in a Teflon vessel at $110^{\circ}C$ for 20 h, after which they were washed with HCl aqueous solution and deionized water. Nanotube with the most perfect morphology was formed from 0.1 N HCl washing treatment. $TiO_2$ nanotube was also obtained when the precursor was washed with other washing solutions such as $NH_4OH$, NaCl, $K_2SO_4$, and $Na_2SO_3$.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Na^+$ ion combined inside the precursor compound slowly comes out from the structure, leaving nanosheet morphology of $TiO_2$ compounds, which in turn become the nanotube in the presence of hydroxyl ion. To stabilize the sheet morphology, the different type of washing treatment solution might be considered such as amine class compounds.

      • 자율주행자동차 판단능력 등급화 및 신뢰도 향상방안 연구

        진은주,김형준,김종민,박제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5 No.-

        자동차 운전은 ‘연속적인 주행환경에서 운전자가 필요한 정보를 인지하고 판단하여 정확하게 조작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기술은 ‘인식-판단-제어’ 기술이다. 센서와 액추에이터 기술 발전과 더불어 자율주행자동차의 인식기술 및 제어기술이 발전하였으며, 자율주행자동차의 인공지능 시스템에 해당하는 판단기술은 인간수준의 주변 환경 파악 및 운전방법 학습으로 완성도 높은 자율주행을 구현해야 한다. 하지만 인공지능 시스템에 대한 평가방법은 현재까지 표준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판단능력 등급화를 위한 평가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가상주행실험을 위한 HMD와 모션체어를 통해 가상현실로 시나리오를 재현하였으며, UC-Win/Road를 통해 운전자 주행데이터를 수집한 뒤, 이를 분석하여 위험상황에서의 대처행동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류작업을 통해 자율주행자동차 인공지능 시스템의 판단기능 평가기준을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자동차 면허등급 표준화 방향성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자율주행자동차 면허등급 국제 표준화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한국판 UCLA 외로움 척도 3판의 타당화

        진은주,HWANGSAMUEL SUK H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10

        With the permission of the original author, this study translated the UCLA Loneliness Scale version 3 developed and revised by Russell(1996) into Korean language and validated the Korean version. In order to confirm the appropriateness and factor structure of the item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18(male = 120) university undergradute students in the preliminary study and 365(male = 149) in the main study, respectively. In the preliminary stud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two factors consisting of positive items and negative items, and likewise, two factors were obtained from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the main study. Through additional hierarchical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se two factors composed a general factor which reflect the subjective feeling of loneliness. The Cronbach's α of all items was .93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94.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UCLA Loneliness Scal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NYU Loneliness Scale and Differential Loneliness Scale,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Social Orientation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UCLA Loneliness scale is a reliable measure to assess the subjective loneliness in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외로움을 측정하기 위해 Russell(1996)이 개발하고 수정한 UCLA 외로움 척도 3판(UCLA Loneliness Scale version 3)을 원저자의 허락 하에 한국어로 번역해서 타당화하였다. 번역한 문항의 적절성과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4년제 대학 학부생 318명(남자 120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한 후 또 다른 대학생 365명(남자 149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연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정문항과 역문항의 두 개 요인을 얻었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마찬가지로 두 개 요인을 얻었다. 추가적인 위계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 두 요인이 주관적 외로움을 반영하는 하나의 일반요인을 구성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국판 UCLA 외로움 척도 3판의 전체 문항의 Cronbach α 값은 .93 이었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4였다. 다른 척도와의 상관분석 결과 이 척도는 NYU 외로움 척도, 변별적 외로움 척도와 정적상관, 로젠버그 자아존중감 척도, Marlowe-Crowne 사회적 정향성 척도, 사회적 지지척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판 UCLA 외로움 척도 3판이 대학생들의 외로움을 신뢰롭게 측정하는 도구라는 것을 지지하였다.

      • KCI우수등재

        초소형전기차 사용자만족도 구성요인 선정을 위한 기반연구

        진은주(Jin, Eunju),서임기(Seo, Imki),김종민(Kim, Jongmin),박제(Park, Jejin) 대한토목학회 202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1 No.5

        최근 국내 초소형전기차 도입이 증가하면서, 관련 시장 활성화를 위한 초소형전기차 사용자만족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만족도 구성요인을 기반으로 초소형전기차를 활용한 공공서비스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① ‘초소형전기차 사용자만족도 구성요인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계층화(AHP) 분석’과, ② 초소형전기차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 및 교통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전 자료수집을 위한‘초소형전기차 이미지 설문조사’, ③ 실제 초소형전기차를 운행한 이용자의 사용자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초소형전기차 운전자 사용자만족도 설문조사’순서로 수행하였다. 계층화(AHP) 분석에서는 ‘사용자 이용 데이터’, ‘차량 이동 데이터’, ‘충전서비스 데이터’순으로 사용자들이 중요하게 여긴다는 결과를 얻었다. 초소형전기차 이미지 설문조사에서는 사용자들이 초소형전기차를 오토바이와 비교했을 때 ‘안전성’, ‘내구성’, ‘승차감’, ‘디자인’, ‘유지관리비’, ‘친환경성’측면에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초소형전기차 운전자 사용자만족도 설문조사에서는 초소형전기차를 사용하는 것이 업무수행능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며, 초소형전기차의 차량크기로 인해 도로에서의 불이익을 받은 경험이 있었고, 옥외 광고용으로 초소형전기차 군집 주행 시 홍보효과가 컸지만 안전성 측면에서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만족도 구조방정식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며, 선제적으로 공공분야에서의 초소형전기차 활용업무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 R&D를 발굴하고, 새로운 공공 이동지원 서비스 발굴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introduction of micro-electric vehicles in Korea, interest in micro-electric vehicle user satisfaction is increasing to revitalize related markets. In this paper, a basic study was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public services using micro-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constituent factors of user satisfaction. The survey includes: ①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for selecting the priority factors of user satisfaction of micro-electric vehicles’, ② ‘A survey of micro-electric vehicles image’ to collect data in advance for providing users’ preferences and transportation services for micro-electric vehicles, ③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ser satisfaction level of users who actually operated micro-electric vehicles, the order of "user satisfaction survey of micro-electric vehicle drivers’ was conducted. I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it was found that users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order of ‘user utilization data’, ‘vehicle movement data’, and ‘charging service data’. In the micro-electric vehicle image survey, users perceived micro-electric vehicles more positively in terms of “safety”, ‘durability’, ‘Ride comfort’, ‘design’, ‘MOOE (Maintenance and other operating expense)’, and ‘environment-friendly’ when comparing micro-electric vehicles with electric motorcycles. In the surve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micro-electric vehicle drivers, the use of micro-electric vehicle did not directly affect work performance efficiency, and there was an experience of being disadvantaged on the road due to the size of the micro-electric vehicle, and driving in a cluster of micro-electric vehicle for outdoor advertisements. The city"s public relations effect was great, but it was concerned about safety.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lan to build a user satisfac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preemptively discover feedback R&D for micro-electric vehicle utilization services in the public field, and actively seek to discover new public mobility support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