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균관대학교 사범교육정책을 위한 학생만족도 조사연구

        진영은,유길한,이훈병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2002 敎育硏究 Vol.1 No.1

        본 연구는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본 대학의 사범교육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만족도 영역은 3영역으로 전체적 만족, 직업개발 만족, 그리고 교육발전 만족영역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전체 만족도에서는 대학의 다른 사람에 대한 추천, 발전가능성, 가치관의 정립, 그리고 기회비용의 가치에 대한 만족감에는 다소 높은 만족도를, 직업개발 만족영역에서는 직업을 얻을 가능성, 직업을 얻을 능력, 그리고 전문가가 될 가능성에서는 높은 만족도를, 교육발전 만족영역에서는 전공영역에 대한 이해와 전공의 필요성에서 다소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성별간 차이검증에는 각 영역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학년과 전공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2001년 사범대학 학생만족도 결과분석을 통해 볼 때 사범대학의 사범교육정책은 ① 학교교육과정 및 학교교육의 신뢰성문제, ② 학과간 특성있는 교육정책의 부재, 그리고 ③ 학생들의 취업문제에 대한 행정지원 문제 등이 지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효과적인 사범교육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첫째, 사범대학 학생들의 만족도를 제고해야 한다. 둘째, 사범대학 학생들의 직업 능력 개발을 위해 실험(현장)실습의 기회를 강화해야한다. 셋째, 학생들의 취업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넷째, 학교교육과정의 개편과 교육의 신뢰성 회복이다. 다섯째, 계열간 특성에 따른 사범교육정책의 운영이 필요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의 발전은 물론 학생들의 교육적 능력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교육정책을 운영하고자 하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Stakeholder in Teacher's college concerns about th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merit the attention of becoming a teacher. This study converts the quality problem of Teacher college primarily into questionnaire to find the differences in standards, especially by use of quantitative measure(T-test, ANOVA). So, the purpose of the study obtains policy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in Sung Kyun Kwan University. This study is comprised of three sections of student satisfaction: One is overall satisfaction for school of education quality; Another is career developmental satisfaction; The other is Educational development satisfaction in the school of education. First, the overall satisfaction is made up of the followings: 1) Recommendation of their university. 2)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eir university. 3) Personal self-satisfaction. 4) Stepping store for self-realization. 5) Opportunity cost of university life. 6) Time value of university life. 7) Choice for university life. Second, the career developmental satisfaction consist of the followings: 1) Possibility of obtaining a job. 2) Opportunity for internship. 3) Preparation for a hopeful job. 4) Possibility of getting a job. 5) Preparation for a professional. Third, the educational development satisfaction is comprised of the followings: 1) Understanding of major area. 2) Knowledge acquiring skills. 3) Interdisciplinary study. 4) Intellectual stimulation. 5) Necessary for my major. 6) Satisfaction of university curriculum. 7) Trustiness of university education. The findings of analysis indicate the problems of Teacher education, which are reliability problem of university education and curriculum, distinguishable curriculum design among the departments of school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job opportunity. As results, this study have som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The first implication is need of educational program reform for obtain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Another, the implication is need of attached secondary school for future- teacher's internship. The third implication is need of recovery of university curriculum innovation. This study is an alternative to the status quo, which is not always applicable, it may be adapted to similar situation elsewhere.

      • KCI등재

        유아교육 연구에서 Vygotsky 이론의 스캐폴딩(scaffolding)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고찰

        진영은,서향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 연구에서 Vygotsky 이론의 스캐폴딩(scaffolding)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국내 유아교육 분야의 스캐폴딩에 관한 일반대학원의 석・박사 학위논문과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등재 학술지 논문 총 68편의 연구물들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포괄적으로 조망하고 향후 과제를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유아교육 분야에서 스캐폴딩의 개념은 은유적 특성으로 인해 해석과 접근방법이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연구자들마다 다른 기준으로 스캐폴딩의 개념을 정의하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스캐폴딩의 교육 효과를 검증하고 스캐폴딩의 유형을 비교 분석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탐색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유아기에 적합한 호혜적 스캐폴딩(reciprocal scaffolding)의 특성을 직접적으로 해명하기 보다는 몇 가지 도움이나, 지원체계, 교수전략 등으로 단순화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 스캐폴딩의 개념을 언어적 유형과 행동적 표현에 제한하여 해석하고 있다는 점, 호혜적 스캐폴딩을 위한 교사의 역할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오해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향후 과제로는 호혜적 스캐폴딩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명확히 규명하는 연구, 스캐폴딩이 이루어지는 맥락을 다원적 관계에서 해석하는 연구, 질적 연구 방법의 사용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trends of research on Vygotsky’s scaffolding theor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68 research outcomes including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scaffolding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ublished by general graduate schools in Korea and academic dissertations registered at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through the analysis, reviewed research trends in Korea comprehensively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task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domestic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ncept of scaffolding has been changed variously depending on interpretation and approach due to its metaphoric characteristic. Each researcher defined and studied the concept of scaffolding based on different criteria, and more of related studies test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scaffolding and looked for efficient method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caffolding types. However, these studies had limitations in that they simplified scaffolding into some benefits, support system or teaching strategy rather than explaining directly the characteristics of reciprocal scaffolding suitable for young children, that the concept of scaffolding was limited to verbal types and behavioral expressions, and that teachers’ roles for reciprocal scaffolding were not suggested clearly and therefore they might be misunderstood. For future task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research for clarifying teachers’ roles for reciprocal scaffolding, for analyzing the context of scaffolding in multi‐dimensional relations, and for the us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KCI등재
      • KCI등재

        5・18 자살자 유가족의 사회적 고통과 말하기

        진영은,김명희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2 감성연구 Vol.- No.25

        이 연구는 자살 연구 및 국가범죄 피해자 연구에서 주변적이고 부차적인 존재로 다루어졌던 5・18 자살자 유가족의 생애경험과 사회적 고통에 대한 탐색적 연구다. 5・18 자살자 유가족은 자살자 유가족의 보편적인 사회적 고통과 국가범죄 유가족의 고유한 사회적 고통을 함께 담지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질적연구방법론 중 하나인 생애사 재구성 방법론을 활용하여 5・18 자살자 유가족의 존재론적 특성과 사회적 고통의 재생산 기제를 포착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5・18 자살자 유가족은 ‘피해생존자’이자 ‘목격자’, 나아가 ‘증언자’라는 존재론적 위상을 드러냈다. 나아가 국가폭력으로 고통의 책임이 가족에게 전가되고 사사화됨으로써 가족 차원에서 피해가 재생산되는 재희생자의 과정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증언의 역동성을 동시에 드러내 보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첫째, 고통의 은폐와 가족화된 피해, 둘째, 돌봄의 젠더화와 피해의 재생산, 셋째, 죽음의 책임전가와 사인(死因)을 둘러싼 싸움, 넷째, 권리의 의료화와 특권집단이라는 시선, 다섯째, 설명된 죽음과 5・18 자살자 유가족의 말하기로 요약될 수 있다. 무엇보다 이 연구는 생애사 재구성 방법론에 입각해 지난 42년 동안 한 번도 주목받지 않고 말해지지 않았던 5・18 자살자 유가족이 처한 삶의 조건과 고통의 재생산 과정에 심도 있게 다가서고자 한 최초의 질적 접근이라는 가치를 갖는다. 이러한 과정 중심적 접근법은 고통을 수치화하고 계량화하는 데 치중된 기존의 접근법과 달리 고통의 연속성과 재생산 기제를 드러냄으로써 그 인과 과정을 설명하고 사회화하기 위한 방법론적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할갈등, 간호조직문화, 간호사-의사협력관계가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진영은,박효진,이윤미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23 중환자간호학회지 Vol.16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job embeddedness by examining role conflict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th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degree of job embeddednes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 : Participants are 148 nurses from two hospitals in the intensive care unit. Collected data a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s,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articipants’ job embeddedness are role conflict (β=-.19, p =.015), innovation-oriented culture (β=.26, p =.003),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β=.24, p =.002).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for job embeddedness is 44.5% (F=15.06, p =.001). Conclusion : This study identifies role conflict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as important factors affecting job embeddedness.

      • KCI등재

        중학교 교육과정의 전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진영은 한국교육과정학회 1993 교육과정연구 Vol.11 No.-

        An Ethnographic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Researcher : Chin, Young Eun Ethnographers : Kim. Bong Seok Kim, Seong Hee Lee, Hye Lim Park, Dong Seong Kim, Seon Ah Han. Seon The study i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in the live middle school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qualitatively the current Fifth Curriculum through ethnographic method. The more specific questions of this study are 1) to describe school education plan and teacher's instructional plan and to define the means of them, and 2) to describ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lanned curriculum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developed curriculum in the live classroom situation. and 3) to define the problems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the classrooms and the causes of the problems. Three middle school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ix ethnographers conducted the field works from April. 1992 to July, 1992.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narrative obsevations, participant obse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education plans were partly consistent with the planned curriculum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But the teachers considered the instructional plans as a formal work in order to follow the ruling school's directions. Secondly, the cognitive domain of the objectives were more emphasized than the affective or the psychomotor domain of the objectives. Some content which was apperared frequently in the examinations was emphasized and the other content was disregarded. Mostteachers used lecture as an instructional method. Thirdly, this study found that the teachers did not understand fully the planned curriculum. The content of the textbook was difficult and the amount of the content was too much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 The references and the teaching material for teachers were not developed en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also found the need of communicaion between the curriculum planner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teachers in the live classroom situation.

      • 1930年代모더니즘 論爭에 대한 -考察

        진영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5 牛岩斯黎 Vol.5 No.-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제의 문단 탄압이 극에 달하자 문단의 주 류를 이루었던 카프진영은 위축되어 쇠퇴기에 접어 들었다. 카프진영 은 새로운 문학 비평 방법론을 모색하였으나 문학비평을 더욱 위축시 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와중에 시문학파, 모더니즘계열 등의 대항적 의미의 문학논의가 표면화 된다. 넓은 의미에서 김기림을 중심으로 한 이들은 주로 20년대 감상적 낭만주의 문학과 20년대 후기 계급문학의 편내용주의에 대한 반작용 으로 생겨난 것이었다. 그러나 전대문학의 시론을 부정하고 기술,기교 를 중시한 결과, 형식에 치중하는 과오를 노정하게 된다. 이러한 경향 으로 인해 기교주의로 몰리어 비판받게 되었고 기교주의 논쟁을 야기 시켰다. 이 논쟁에서 김기림은 기본적으로 문학을 이원론으로 보고, 형식우위의 논리에서 자신의 논리를 수정하여 시대정신(현실)과 기술 (기교)의 조화를 주장하는 전체시론으로 발전하게 된다. 임화 역시 내 용과 형식의 이원론에서 변증법적인 통일을 주장, 내용우위의 논리를 개진한다. 표면적으로는 이 두 논리가 많은 상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내면적으로는 상호 절충적인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후 임화는 어느 정도 김기림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그 후 이상과 박태원의 소설을 중심으로 최재서, 김기림, 안회남- 백철, 임화, 한효 등의 모더니즘 논쟁이 있었다. 이 논쟁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모더니즘에 대한 평가기준의 상이 함을 그대로 노출시킨 것이었다. 그것은 첫째, 현실에 대한 적극성 결 여, 둘째, 모랄의 결여, 셋째, 반영론적 원리에 입각한 이념부재 등이 다. 이러한 평가기준의 상이함은 당시 전형기적 문단의 특수한 상황 에도 있겠지만, 이 논쟁의 반대론자들이 리얼리즘계열이었기 때문에 그들의 논리에서 모더니즘 소설을 볼 때, 소설 형식이 보이는 의미론 적 구조가 자연 <리얼리즘>에 귀결될 수 밖에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 다. 임화 등 카프계열 비평가들은 다음 해 다시 이 모더니즘 소설들의 의의를 재평가하는 집착과 의욕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그 문학들의 퇴폐성과 개인주의적 모습이 긍정되고 계승되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보인다. 그러나 임화의 이런 모더니즘 부정에도 불구하고 이 논쟁은 모더니즘 소설도 현실과 전혀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모더니즘 소 설도 하나의 역사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인정받게 된 계기가 되었다. 위에서 논의된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관계를 통해 볼 때 1930년대 문단은 리얼리즘/모더니즘의 대립구조로만 이루어져 있는 것이 아니 라 표면상 상호대립구조 속에서도 서로의 이론을 보완해 가며 일정한 문학적 성과들을 이루어 나간 시기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과제

        진영은,이진욱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No.1

        이 논문의 목적은 최근 7차 교육과정에서 학교교육과정의 핵심개념으로 주목받고 있는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국내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석박사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일선 학교현장에서 보고된 운영보고서 등 총 128편의 연구물을 분석하여 국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과제를 모색하였다.분석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자기주도학습의 개념이 불명확한 상태로 연구자들마다 서로 다른 기준으로 자기주도학습을 규정하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점,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자기주도학습과 관련된 학습자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와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교수방법을 탐색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연구들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자기주도학습을 직접 해명하기 보다는 몇 가지 능력이나 기술, 기법 등으로 단순화시키는 한계가 있다는 점, 그리고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교사의 역할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오해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 등이 한계로 지적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기주도학습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연구, 교사의 역할을 분명하게 규명하는 연구, 그리고 질적연구 방법의 사용 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