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학전공 학생들의 융합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진성희,김재희,Jin, Sung-Hee,Kim, Jae Hee 한국공학교육학회 2017 공학교육연구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convergence competence of undergraduate engineering students and analyze its educational effects.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engineering students, 13 experts in engineering education field surveyed the need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nd 829 students from four engineering colleg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area and Honam area were assessed for the level of convergence competency. The educational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needs analysis and the program consisted of four major themes: convergence lecture, convergence competence, convergence practice, and convergence vision.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through the two expert validation tests. A total of 4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election of 10 students from each of the four universities. As a result of pre-post comparison of students' convergence competencies, the average of all competencies increased,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vergence mindset, differentiation mind, commitment, communication, and social value competenc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programs and convergence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탈역사 서술과 공간의 표상 -영화 <군중낙원>을 중심으로

        진성희 ( Sung Hee Ji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3 No.-

        이 글은 특정 시기 타이완의 현대사를 다룬 영화 <군중낙원>의 영화적 서사 구축방식과 탈역사적 서술 양상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군중낙원>은 어떠한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역사적 사건의 의미를 보여준다거나 공식 역사적 담론 속에서 과거를 해석하려 하기 보다는, 그 시대를 살아간 인간들의 고뇌와 아픔에 주목하는 서술적특징을 갖고 있다. 즉 거대 역사 서술적 맥락에서 서사를 구성하거나 리얼리즘적 관점에서 진지함을 견지한 성찰적 태도로 현실을 바라보려는 영화적 태도에서 벗어났다.때문에 이전 시기 타이완 뉴웨이브 영화들과는 다른 면모를 갖게 되었고 역사 서술텍스트로서 탈역사적 논의에 의해 새로운 담론장을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게되었다.그러나 이 영화는 탈역사적 서술을 위한 하나의 방식으로 공창이라는 특수한 공간을 통한 판타지를 창조하려 했다. 뉴청저는 영화 속에서 공창을 국가 권력과 시대 배경하에 억압당한 남성을 위로하는 곳으로 묘사했지만 남성들을 위해 희생되는 여성의 공간으로 그리진 않았다. 따라서 이 영화가 시대와 역사적 비극에 의해 곤경에 처한 보편적인 인간들의 미시적 역사를 복원시키려 했다면, 그 대상은 남성에만 해당되는 것이지 또 다른 약자인 여성은 배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군중낙원>은 영화의 재현에 의해 역사와 시대에 관한 서술이 어떻게 공식 역사적 담론과 집단의 기억을 균열내고 개개인의 서사에 주목하여 어떻게 새로운 역사를 쓸 수 있는지 그 일례를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고 있지만 동시에 남성중심주의적 서술에서는 벗어나지 못했다는 한계를 낳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arrative-building method and the post-historical descriptive aspects of the movie Paradise in Service, which deals with the modern history of Taiwan. Although Paradise in Service tells the history of a certain time period, it focuses on the anguish and agony felt by people who lived during that age rather than on the meaning of historical events or interpretation of the past in terms of official historical discourse. That is, as it avoids looking at the present by composing a narrative in the descriptive historical context and from bearing weight from the viewpoint of realism, it gains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new field of discourse through a post-historical discussion using descriptive historical texts. However, the movie tries to create fantasy through a special type of licensed prostitution as a means of post-historical description. In other words, when this movie tries to reproduce the microscopic history of common people in trouble because of a historical tragedy, it considers only men and excludes “weak” women. Thus, although Paradise in Service has meaning in that it gives an example of how movies can disrupt official historical discourse and group memory and rewrite history by focusing on individuals, it is limited by its male-centrism.

      • KCI등재

        팀기반 온라인 토론의 내용분석을 지원하는 대시보드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진성희 ( Sung-hee Jin ),유미나 ( Mina Yoo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3

        학습자의 고차원적 사고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론활동에서 산출되는 학습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시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시보드 개발 관련 선행 연구에서는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도 및 상호작용 중심으로 이루어져 학생들에게 토론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제한점이 있어 왔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토론학습환경에서 학습자가 토론내용에 대한 성찰활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토론내용분석을 지원하는 대시보드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사용성 평가와 사용자의 경험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대시보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산출물 및 도구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설계·개발 연구 방법의 유형 1을 적용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시각화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토론활동의 내용분석을 지원하는 ‘중심단어 대시보드’와 ‘메시지유형 대시보드’를 개발하였고, 대시보드의 주요 사용자인 학습자와 교수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및 사용자 경험 평가를 실시하였다. 중심단어에 대한 사용성 평가 결과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만족감 항목에 가장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경험 평가 결과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참신성’ 항목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자는 교수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의존성’ 항목에 대한 사용자 경험 평균 점수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메시지유형에 대한 사용성 평가 결과 학습자는 만족감, 유용성, 학습용이성, 사용용이성 순으로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교수자는 학습용이성, 사용용이성, 만족감, 유용성 순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경험 평가 결과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효율성’, ‘자극성’ 항목의 등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학습자는 ‘매력성’, ‘명확성’, ‘의존성’ 항목에 대해 평균 점수가 낮게 도출되었다. 두 대시보드에 대한 사용성 평가와 사용자 경험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온라인 토론 내용분석을 지원하는 대시보드의 활용 가능성과 토론 내용 대시보드의 교수설계 관련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ies of analyzing the learning data generated from discussion activities that can enhance the learners’ higher order thinking abilities and visualizing the results of learning analysis are conducted by many researchers. However,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ashboard development have been limited in providing feedback on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because they are focused on discussion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among learners. In this study, we adopted Rickey & Klein(2007)’s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 type 1 and developed two types1) keyword, 2) message typesof dashboard to support the analysis of the discussion contents so that the learners can reflect on the discussion contents in the online discussion learning environment. Also we evaluated user experience by conducting the usability test and the user experience evaluation. As a result of usability test for keyword dashboard, both learners and instructors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user experience evaluation, both the learners and the instructors showed the highest score on the ‘novelty’ and the learners’ user experience score on the ‘dependability’ item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instructors. As a result of usability test for message types dashboard, learners showed higher average score in order of satisfaction, usability, ease of learning, and ease of use. Instructors showed higher average score in ease of learning, ease of use, satisfaction, and usability. As a result of the user experience evaluation, both the learners’ and the instructors’ ‘efficiency’ and ‘stimulation’ showed high scores and relatively, the learners had low scores on ‘attractiveness’, ‘perspicuity’, and ‘depend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usability test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of two dashboards, the possibility of using dashboard to support online discussion contents analysis and implications if instructional design of discussion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프로그램 교육목표 개선을 위한 수행문제분석 및 추진전략 수립

        진성희(Sung-Hee Jin),이명규(Myongkyu Lee),유미나(Mina Yoo),연혜선(Haeseon Yun) 한국공학교육학회 2011 공학교육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formance problems in establishing and improving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PEO) and to set up action strategies for the civil engineering program at the A university. To fulfill the purpose, according to the typical needs analysis model, research problems were defined, current conditions and desired conditions were identified, discrepancies and their reasons were examined, and action strategies were derived. Current conditions and desired condition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A civil engineering program s self study report, conducting surveys and interviews with constituents. After the discrepancies and the reasons were examined, performance problems and field force analysis were conducted to draw short term and long term action strategies to improve PEO. Short term action strategies were to announce PEO to current students, to hold faculty seminars to establish and to improve PEO, to renew the list of constituents regularly, to composite an annual milestone, to define roles of the committees, and to enforce educational opportunity toward industrial advisory board members. For the long term strategies, improvement and documentation of PEO assessment system, collection and analysis of constituents suggestions, establishment of effective accreditation support system, and arrangement of compensation system for the faculties who are in charge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responsibility.

      • KCI등재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사의 교육활동지원에 대한 요구분석

        진성희 ( Sung-hee Jin ),유미나 ( Mina Yoo ),김성욱 ( Sungwook Kim ),임동관 ( Dongkwan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4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교사의 교육활동과 관련하여 교사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학교현장의 문제와 이에 대한 해결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활동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을 위해 서울시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179명이 응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주제분석방법론(thematic analysis)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는 출석관리 전산화 및 자동화, 행정문서 관리 전산화 및 작성 자동화, 학교시설 및 기자재 관리 전산화, 맞춤형 수업활동지원, 학생평가 지원 및 자동화, 교수학습자료 추천 및 관리, 교원연수관리 및 시간강사 채용 전산화, 학생관리 전산화, 행정업무지원 자동화, 상담관리 플랫폼, 수업관리 전산화, 모니터링 및 피드백 자동화, 맞춤형 진로지도 지원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사들의 전체 요구의 74%가 디지털화에 해당하였고, 24%만이 인공지능과 같은 지능형 기술이 요구되는 지능화에 해당했다. 또한, 학교급에 따른 요구차이를 분석한 결과 그 차이는 적었고, 단지 학생평가 및 진로지도 지원에 대한 중등교사의 요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교사의 행정 업무에 대한 디지털화를 실현함으로써 업무 수행 시간 절약을 기대하고, 결과적으로 맞춤형 교육 실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사들의 효율적 업무처리와 증거기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제공 요구에 대한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의 효율적인 활용과 학생 중심의 교육 실현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the challenges encountered by teachers in schools and their solutions through the integration of digital technology.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eachers in the context of the ongoing digital transformation. To understand teachers’ needs for supporting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digital technolog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The responses from 179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have substantial needs for using digital technology to augment their teaching and facilitating activities and to streamline administrative and classroom management tasks. Specifically, there were high demands for the digitalization and automation of tasks such as attendance management, administrative document management, school facilities and equipment management, personalized support for classroom activities, and automation of student assessment processes. Notably, 74% of teachers prioritized digitalization over advanced technologies like artificial intelligence.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wed greater demands for student evaluation and career guidance suppor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tudy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and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These research results offer valuable insights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realization of student-centered paradigm within the educational domain.

      • KCI등재

        기울어진 연대: 한국영화에서 조선족 여성의 리얼리티는 어떻게 재구성되는가

        진성희 ( Jin Sunghee ) 중국어문연구회 2018 中國語文論叢 Vol.0 No.90

        This study began with a critical mind that “Missing” (2016) is a film that constructed a multi-layered narrative about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who are the others in the established Korean society. The characters in “Missing,” Korean woman, Jisun and Korean Chinese woman, Hanmae are both women who are subalterns under the global Neoliberalist/capitalist economic system and the traditional conventions of patriarchy. The women endeavored to understand each other’s position as if they mirror the other’s circumstances, and accordingly, they were described as beings who would be able to shoot out a sense of solidarity. However, “Missing” listed the “imag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gain, which has repeatedly been reproduced by Korean films, and consequently, Hanmae remained a character with a limitation, who could not break away from the stereotype of Korean Chinese women. In modern society, stereotype images implying racial, ethnic and national differences have continuously produced, and the conventional behavior in which mainstream people in the society exclude people in a minority group has firmly been maintained. Like this, the public that indiscreetly took specific images and discourses about the other, constructed by a society, without reflection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others and construct a racial hierarchy through a deeply internalized concept. In this context, Hanmae in “Missing” just remained a being with a limitation, who accepted the cultural order, as a Korean Chinese woman and ended up serving as an assistant of a Korean middle-class elite woman, though she could have banded together, reaching out her hand, in terms of the issue in the dimension of gender. Like this, through a ‘slanted’ sense of solidarity in “Missing” formed between compassion and differentiation, we know that it is never easy to reproduce the other’s life and history ethically, which needs close attention.

      • KCI등재

        공과계열 대학생을 위한 맞춤형 테크노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 개발

        진성희(Sung-Hee Jin),김태현() 한국공학교육학회 2010 공학교육연구 Vol.13 No.6

        연구의 목적은 공과계열 대학생들이 미래의 조직에서 테크노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소양을 쌓을 수 있는 맞춤형 테크노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테크노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은 체제적 교수설계 방법론의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다.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해 테크노 리더십 프레임웍이 개발되었고 중요도-수행도 분석법을 활용한 요구분석을 통해 핵심개발 테크노 리더십 역량이 도출되었다. 요구분석 대상은 A대학교 공과계열 대학생 202명과 동일대학과 산학협력관계에 있는 기업체관리자 22명이었다. 도출된 핵심개발 테크노 리더십 역량을 중심으로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의 수준별 테크노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2회에 걸친 전문가 검토의 과정을 통해 수정 ․ 보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stomized technological leadership camp programs in order that engineering students can be techno-leaders in the future. The camp programs were developed by systemic instructional design methodology. A framework of technological leadership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cases analysis, and key competencies on technological leadership were drawn through needs analysis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participants for needs analysis were 202 engineering students in A university and 22 managers and directors in the companies cooperated with A university. Camp programs focused on key competencies on technological leadership were developed: basic course and advanced course. The programs modified through twice experts committee.

      • KCI등재

        남북한 ICT 리터러시 교육 비교 연구

        진성희(Sung-hee Jin) 한국통일전략학회 2006 통일전략 Vol.6 No.2

        주요선진국들을 비롯한 세계 각국은 ICT 리터러시를 현대인이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이라고 인식하고 각 국민의 ICT 리터러시 신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남한 또한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된 정보화 촉진 방안 및 교육 정보화 정책에 따라 정보 인프라 측면뿐만 아니라 국민의 정보화 수준 또한 세계에서 우수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비해 북한은 하드웨어 분야와 함께 정보화 수준에서 비교적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남북한 간의 정보 격차(digital divide)는 막대한 통일비용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통일 전부터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문제이다. 남북한 간의 정보격차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한 분야로서 남북한 ICT 리터러시 교육 목표 및 교육현황을 교육과정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한의 경우 교육과정 상에 초·중등 단계에서 ICT 리터러시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북한의 경우 초등은 아예 다루고 있지도 않고 있으며 중등에서도 컴퓨터 이해 및 조작 기능 위주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남북한 ICT 리터러시 교육 수준 간에는 상당한 격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북한 간의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남한에서 무조건 지원하는 방식이 아니라 남북한 모두 win-win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모색해야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정보격차 해소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남북한 ICT 리터러시 교육이 같은 방향을 지향 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남한의 북한 ICT 리터러시교육 전문가를 양성하여 이들이 북한의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 및 여건을 조성하도록 한다. 셋째, 일본, 러시아,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동포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북한이 정보화에 대한 마인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Most countries of the world including main developed countries consider ICT literacy as the basic competence of people today and make an effort to execute ICT literacy education. South Korea has an excellent reputation for ICT infrastructure established and the level of people' s information literacy promoted by Informatization Promotion Plan and Education Informatization Policy that was launched at the late of 1980. Whereases, North Korea lags behind South Korea both in hardware and informatization. Digital divid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ould be possible to make to pay a big amount of unification cost, so that is a problem to try to be solved before unification. ICT literacy education goals and status of North and South Korea were analyzed in order to check exactly the digital divid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all the difference in ICT literacy edu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South Korea, the curriculum related to ICT literacy contained all component of ICT literacy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ages. In North Korea, there was no the curriculum related to ICT literacy in primary school and the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had some contents related to computer understanding and operating. Win-win strategies have to accepted to solve the digital divide. Therefore, the following three solutions of digital divide were suggested: First, ICT literacy edu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have to perform toward the same goals. Second, experts about ICT literacy education of Noth Korea have to be trained in South Korea. They can establish the system or environment to support to ICT education of North Korea. Lastly, the opportunities to be able to be changed Informatizational thoughts of North Korea have to be set with Korean residents in Japan, China, Russia.

      • KCI등재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에서 대시보드 유형과 학습자 특성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진성희 ( Sung-hee Jin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S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은 면대면 활동에 비해 많은 교육적 강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이라는 자율적·독립적인 학습환경에서 비동시적으로 토론이 이루어지다 보니 학습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여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해 주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대시보드 관련 선행연구들은 개발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고 그 교육적 효과를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라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가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라 토론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2018학년도 2학기 H대학교의 ‘평생교육과 창의성’ 두 분반에 수강한 54명의 학습자들이었다. 독립변인은 대시보드 유형과 사회비교동기, 온라인커뮤니케이션 도구에 대한 인식, 자기성찰수준이었고 종속변인으로는 참여도, 상호작용, 학습성과, 사회적 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이었다. 28명의 A집단에게는 참여도 대시보드를 제공하였고 26명으로 구성된 B집단에게는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제공하였다. 사전 검사를 통해 두 집단의 동질성이 확인되었고 2회에 걸친 온라인 토론활동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차 토론에서는 두 집단 간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상호작용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차 토론에서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제공 받은 B집단이 실제 온라인 토론에 더 많이 참여하고 상호작용 빈도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시보드 유형별 학습자들의 온라인 토론학습에 대한 학습성과, 사회적 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모두 제공받은 집단이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된 상호작용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자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자기성찰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학습성과와 인지된 상호작용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대시보드유형과 학습자 특성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온라인 토론활동에서 대시보드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synchronous discussions take place in an autonomous and independent learning environment, so learners need more engagement and effort. As a way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to support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provide a dashboard form by analyz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Research on dashboards for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focuses mostly on development, and there were few studies that analyzed the educational effects according to learner‘s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s on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er's discussion activities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were 54 learners. Independent variables were dashboard type, social comparison motivation, perception of online communication tools, and self-reflection. Dependent variables were participation, interaction, learning outcome,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Group A with 28 learners provided a participatory dashboard and group B of 26 learners provided a participation and an interaction dashboards.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as confirmed through pre-test,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rough two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and post-test results.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of the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irst discussion, but the group B receiving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 in the second discussion, participated more in the actual online discussion, it was also found to have a lot of interactions. The participants who received both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level of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higher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self - reflection level perceived more positively about learning outcomes and perceived interactions with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than the low group.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dashboard type and learner characteristics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use of dashboards in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