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진교훈(Chin Kyo-Hu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09 동서사상 Vol.7 No.-

        이 논문은 인간배아의 도덕적 지위와 인간배아의 실험 및 복제의 윤리적 문제점들을 파헤쳐 보고, 이어서 다른 나라들은 인간배아 실험 및 복제에 대하여 어떤 정책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끝으로 우리가 왜 인간배아의 생명을 보호하지 않으면 안 되며, 더 나아가 어떻게 우리가 인간생명의 존엄성을 보전할 수 있을 것인가를 규명해 보려고 한다. 인간배아의 도덕적 지위는 인간배아는 그 창출 순간부터 완전한 인간의 지위가 부여된다. 따라서 자궁에 착상되기 전의 인간배아도 성인(成人)과 도덕적으로 동등한 존재이다. 그러므로 또한 체외수정을 통해서 만들어진 배아와 체세포핵이식을 통해서 만들어진 배아, 즉 복제배아도 정상적으로 수정된 배아와 마찬가지로 생명권과 도덕적 지위를 인정해 주어야 할 것이다.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적 문제점은 인간배아는 이미 생명을 지닌 온전한 생명체이고 완전한 인간으로 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인간배아를 실험도구로 사용한다는 것은 분명히 성장한 인간을 실험도구로 이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간생명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만행이다. 따라서 인간배아복제도 일종의 인간복제이므로 배아를 손상시키는 모든 실험은 금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is a critical study on the research concerning the cloning of the human embryonic stem cell in the view point of the bioethics. The moral position of the human embryo has the full personhood just like a person. Therefore the embryo through the I.V.F and the cloned human embryo has also the full personhood. Consequently the research on the cloning human embryonic stem cell which bring on breaking the life of the embryo, i.e. person should be prohibited.

      • KCI등재
      • KCI등재

        인격주의생명윤리학의 기초로서 인간의 존엄성

        진교훈(Chin, Kyo Hun)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1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 No.1

        In this paper I intend to proceed as follows: first of all, we shall understand how every human being is a person(persona; not personality in the meaning of experimental psychology), and therefore we should respect every human being. And then we shall move on to see how we can say that every human being has ontological the status of person. But many people have prejudiced opinion on man and have misunderstood the true meaning of the person. Therefore we have to argue the causes of misunderstandings of the person and we criticize the equivocal meanings of person. In the discussion of those we ask for the status of the person. Someone assert that the status of a person of human being depends on the potentiality, continuity and capability. But all kinds of human being including embryo, the patient in the vegetable state etc. have deficiencies and are really incomplete. Every human being is unconditionally a person, because every human being is born as Imago Dei, though every human being are incomplete. But we can understand( not explain) the person only, when we are loving a human being. because the person present in loving. Consequently to conserve the dignity of human being is the Fundament of the Bioethics of Personalism.

      • KCI등재

        의학적 인간학과 심리분석(정신분석)의 관계

        진교훈(CHIN Kyo-Hun) 한국생명윤리학회 2001 생명윤리 Vol.2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anthropology and psychoanalysis is to evoke physicians what true medicine for patient care is, and why the physicians should consider the medical anthropology, especially bio-ethics. Physicians should take into account anthropological consideration in medical theory and practice. However, physicians treat patients as mechanic organisms because contemporary medicine concentrates almost on materialism and scientism which are based on the law of causality. In this context, we should approach medical anthropology through studying depth psychology and philosophical anthropology. According to depth psychology, physicians should think over patient's psychological background because the outbreak of disease could come from patient's life history and the defects of Self. Above all, physicians should know that psychosomatic diseases are related to malignant regression. Therefore, we can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contemporary medicine through psychosomatic treatment. I think, physicians themselves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psychological treatment and psychosomatics. In other words, physician's personality is very important element in medical treatment. We should know that patient is not a object but a subject, and that physicians and patients are i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s. So, physicians should respect patient's personality in the course of medical treatment. In conclusion, we could understand the person through psychoanalytical thinking and treatment.

      • 종교와 효

        진교훈(Kyo-Hun Chi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0 종교문화학보 Vol.7 No.-

        이기주의와 배금사상은 현대사회에 만연하고 있고, 심지어 종교집단조차도 집단이기주의와 황금만능주의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 결과 가정의 안정과 질서의 근간(根幹)인 효가 경시되고 있다. 이것은 곧 사람다움을 포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오늘날 당면하고 있는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가정제도와 혼인제도의 근원인 효를 고구(考究)하지 않을 수 없다. 효는 가정의 근본 질서 이지만, 합리적인 사고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고, 인간의 이성과 인간의 의지와 더불어 인간의 정서, 특히 인정(人情)이 함께 작용하는 全人的인 이해를 통해서만 비로소 이해될 수 있다. 이 발표는 Ⅱ.에서 종교와 효의 관계를, Ⅲ.에서 가정의 질서와 효를, Ⅳ.에서 가정과 인격도야를, Ⅴ.에서 가정윤리와 효를. Ⅵ.에서 맺는 말로 진행됩니다. The filial piety, i.e. hsiao(孝) is the constant norm and the basis of all virtue not only in Confucian Ethics but also in Jewish-Christian Ethics and in Islamic Ethics. In the world of our activities conditions are constantly changing. But even so the standard or norm of those activities may not change, for what changes must find its standard in an unchanging norm. It is filial piety, the relationships of father and son, which provides this norm. Th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d. the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are at the very core of such ethics, unlike the individual oriented rational ethics in the English speaking world. I think that filial piety is the fundamental, unconditional, unchangeable norm of our actions as the foundation of ethics, and filial piety is also an utterance of charity. human-heartedness(jen) and the root of the religious principles and rules, and an appearance of the Natural Law. This paper is consisted of the 6 parts : introduction, the relations of religion and Filial Piety, orders of family and Filial Piety, family and personality(full humanity)-education, family-ethics and Filial Piety, conclusions.

      • 제 2 부 한국인의 효사상 : 한국의 가정위기극복과 효도교육의 부활

        진교훈 ( Kyo Hun Chi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4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3 No.-

        가정은 혼인과 혼인의 결실인 출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한국의 출산율은 세계에서 가장 낮을 뿐만 아니라, 또한 독거노인을 비롯한 ‘1인 가구’의 급증으로 말미암아 인간의 생명과 사회의 근간인 가정이 해체의 위기를 맞고 있다. 피임, 이혼, 동성연애와 동성결혼, 혼인을 하지 않는 동거, 만혼, 성문란(性紊亂) 등이 우리 사회에 만연하고 있다. 지금 우리는 출산감소가 사회의 재앙이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럼으로 우리가 근본적으로 가정공동체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정의 질서와만행(萬行)의 근본인 효도를 재건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발표는 먼저 한국의 가정위기의 실태를 혼인율과 이혼율, 그리고 출산율급감과 일인가구 증대에서 살펴본다. 이러한 가정위기의 근본원인은 가정공동체의 의의와 혼인의 신성성에 대한 몰이해와 효사상의 망각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우리는 가정의 질서와 효의 의미를 다시 천착해보려고 한다. 먼저그리스도교윤리에서 본 가정의 질서와 효의 관계를 살펴본다. 그리스도교에서도 가정에서 사랑과 정의의 온전한 융합이 효로 들어난다. 그래서 사람을 창조하신 하느님은 인간에게 10계명을 내리시고 사람으로 하여금 사람다운 사람이 되도록 “네 부모를 공경하라”라는 효도를 계명으로 주신 것이다. “아버지에 대한 효행은 잊히지 않으니. 네 죄를 상쇄할 여지를 마련해 주리라.”(집회서 3.14)는 구약성경 말씀은 효도가 우리의 삶의 근간임을 일깨워준다. 그다음 우리는 동양윤리에서 본 가정의 질서와 효의 관계를 살펴본다, 『효경』에서는 효는 인간의 천성이라고 보며, 논어에서는 효도가 인의 근본이 됨을 일깨워준다. 그 어느 때보다 효교육이 요청되고 있는 이때에 효의 의미를 바르게 이해하고 우리 모두가 효교육에 대한 막중한 책임을 지고 있음을 우리는 성찰해야 할 것이다. 효도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가정교육에서 효가치의 중요성을 일깨워주어야 할 것이며, 둘째로, 초등, 중·고등 각급 학교와 군의 교육과정과 각 종교의 사회교육에서 가정공동체의 의의와 효교육에 대한 프로그람을 확충하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끝으로 국가에서 효교육을 위한 지원을 제도적으로 확립시켜야 할 것이다. 우리 모두는 사회 안전의 중심이 가정보호에 있고, 가정보호의 근간이 효교육이 되도록 우리 모두는 분발해야 할 것이다. A family is realized by the marriage and the procreation. The family in Korea is at the crisis of the dissolution of family, the basis of life and society, because of not only the lowest birthrate in the world but also the rapid increasing number of the ‘one person household’ and the solitary old person. The divorce, homosexuality,marriage of the same sex, the living together without marriage, sexual disorder, late marriage, etc. are prevalent in our society. We are living nowadays in the age of which the decrease of procreation becomes the disaster of the society. Therefore, we have to rehabilitate the filial piety, the root of every human conduct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family community. This presentation looks into firstly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risis of the family in the rate of the marriage and the divorce, and the decrease of procreation in Korea.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family crisis are derived from the misunderstanding of the true meaning and the holiness of the marriage, and the forgetfulness of the filial piety. Therefore, we would like to see again for the order of the family and the meaning of the filial piety. At first we see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order of family and the filial piety in the Christianity. The wholly harmony of love and justice reveals also as the filial piety in the Christianity. So, the God who creates man, gives man the Ten Commandment and gives man the filial piety, “Respect your father andmother”, as the Commandment in order to become the humane being. This Commandment makes us aware of that the filial piety is the basis of our life. Next, we look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order of family and the filial piety in the Oriental ethical thoughts. The filial piety is man’s nature according to the book of Filial Piety, and the Analects of the Confuciusmakes us aware of that the filial piety is the basis of the benevolence( perfect virtue). At this time when the education of the filial piety is asked for, we should reflect on that we understand rightly the meaning of the filial piety and we all take responsibility for the education of filial piety. For the upbringing the filial duty, firstly, we shouldmak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worth of filial piety in the home training, secondly, we should endeavor to understand the truemeaning of the family community and to expand the program for the filial piety in the curriculum of every school, the primary, middle, high school and the army. Thirdly, the government shall establish the system for the education of the filial piety. We all should endeavor to protect family to become the basis of the safety of society and to become the filial piety for the basis of the family protecti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