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떤 정토를 꿈꾸는가?

        지혜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91 No.-

        The concept of the Pure Land, the Buddhist utopia, has been changed throughout various eras and locations. The term usually means a land purified by the power of Bodhisattvas or Buddhas and usually refers to the ideal world in next life. However, the Vimalakirti Sutra argues that Pure Land is here and now. This is because the Pure Land depends on a sentient being's mind. The Vimalakirti Sutra suggests three forms of Pure Land: the Pure Land by the mind; the Pure Land by practice; and the Pure Land here and now. These three forms offer the idea of Pure Land in Korean engaged Buddhism (Chamyeo Bulgyo). Minjung Buddhism(Minjung Bulgyo) inherits the Pure Land ideas and establishes the Pure Land as the equal society that would abolish classes and unify Korea. The forms of the Pure Land reflect the issues of Korean society at each time. Minjung Buddhists fought for their Pure Land and partially achieved it. Later, engaged Buddhism-the successor of Minjung Buddhism-changed the notion of the ideal world. After Korean society accomplished democratization, the Pure Land became a more popular form. This approach to the Pure Land stresses each individual’s peace and happiness as well as connections based on the philosophy of dependent-arising. In the case of Minjung Buddhism and engaged Buddhism, we can see variations in the Pure Land teachings of Vimalakirti Sutra throughout various eras and locations. This example suggests that we can set up a new form of Pure Land to solve contemporary issues in our time. What kind of Pure Land should we pursue to solve our major issues? 정토 또는 이상세계에 대한 갈망은 어느 시대에나 있어 왔으며, 시대적 상황에따라 조금씩 변해왔다. 다른 경전들과 달리 유마경에서는 사바세계와 대비되는정토가 아닌 사바세계에서 실현 가능한 사바정토를 주장한다. 『유마경』의 정토는유심정토, 수행정토, 사바정토로 이는 이후 한국의 사회참여 불교 운동들의 정토개념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다. 민중불교는 사바정토를 지향하는『유마경』의 태도를 계승하며, 당시 시대 상황에 응답하여 계급 불평등이 사라진 평등주의, 분단 상황을 극복한 통일된 국가 등을 정토의 모습으로 보고, 이를 이루기 위한 투쟁을 했다. 민주화 이후, 민중불교의계승자라 할 수 있는 참여불교는 평화로운 사회,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세상을 정토로 보고, 개인의 수행과 다양한 사회참여 활동을 하고 있다. 『유마경』, 민중불교, 참여불교의 사바정토를 검토해보았을 때 정토의 모습, 맑은 사회의 모습은 유심정토, 수행정토, 사바정토라는 공통의 틀을 가지고 있으나그 구체적 내용은 모두 다르다. 그렇기에 앞으로 신기술이 만들어낼 세상에서 지향해야 할 정토의 모습은 지금 당면한 문제들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달려있다. 그에 따라 실천 방식도 달라지고, 실현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道ㆍ佛 수행론의 차이

        지혜경(Jee Hyekyu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05 道敎文化硏究 Vol.23 No.-

        도가의 태식법과 불교의 수식관은 외형적 형태는 유사해보이지만, 그 행위가 향하는 목적, 내용에는 차이가 있다. 도가의 태식법과 위진시대의 불교의 수행론에서는 서로간의 합류가 되는 부분이 분명존재 했었으며, 공통적으로 사용했던 개념이 존재했었다. 그러나 지의의 육묘법문을 통해서 불교의 수식관을 다시 살펴보면 도ㆍ불 간의 유사성은 외형적 유사성일 뿐이며, 상호교섭에 초점을 맞추었던 시대적 상황에 의한 것뿐이다. 외형적으로 볼 때 도ㆍ불의 수행론은 모두 호흡에 집중하여 마음을 안정시켜 명상상태로 이른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태식법은 숨을 멈추고 氣를 보존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반면 수식관은 들숨과 날숨의 흐름 속에서 생멸변화를 관찰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처럼 수행에 있어서 중시하는 점이 다른 이유는 이들에게 깔려있는 사상의 차이 때문이다. 도가는 도라는 본체ㆍ근원에 의해 만물이 생성되고 그러한 본체인 도와의 합일을 최고의 경지로 보는 반면, 불교는 생멸 변화의 관찰을 통해 이 세상의 영원성에 대한 부정을 통해 이 세상의 굴레를 벗어나는 해탈을 최고의 경지라 생각한다. 비록 격의불교시대에 도ㆍ불의 경지를 공통적으로 ‘無爲’라고 표현하였다 하더라도 그 내면에 깔린 의미에는 이러한 차이가 있다. 지의의 수식관에 이르면 이 둘 간의 차이는 더욱 분명히 드러난다. 지의는 10문이라는 자신만의 범주를 사용하여 수식관의 여섯 가지 모습을 재조명한다. 이 과정에서 수식관은 실상을 관하는 수식관이 되었으며, 수식관 수행으로 이를 수 있는 경지는 단지 개인의 깨달음만을 추구하는 아라한의 경지가 아닌 보살의 경지로까지 확대되었다. 지의의 이러한 노력은 도가의 본체론과 爲我주의와 확연히 대비되는 불교의 空의 실상론과 利他의 특징을 더욱 부각하게 되었다. Taixi-fa and ?n?p?na-sati have a superficial resemblance but they are distinctive in their purposes and contents. Externally, both of them concentrate on breathing and sunk in meditation. However, the point of Taixi-fa is to hold the breath-called biqi[閉氣]- and that of ?n?p?na-sati is to concentrate on the flow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This variance in the focal of each ascetic exercise arrives from their different fundamentals. Tao is the substance of Taoism, because everything is created by Tao, becoming the one united with Tao is the highest state.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process from appearance to disappearance, Buddhism denies the immutable substance leading to the nirvana, is the highest state. Even though they both use the concept of wuwei[無爲],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each religion also exists. In the aspect of ?n?p?na-sati of Chiyi[智?], the difference becomes more clear. Chiyi reviews six forms of ?n?p?na-sati dividing into ten categories. Hereby ?n?p?na-sati becomes the real vipa?yan? of sunyata and attains the perfect state of bodhi-sattva, not arhat. Due to this endeavor in Chiyi, Taoism and Buddhism show very salie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their fundamental ideas.

      • KCI등재

        알루미늄 5052 합금의 산화피막 성장 및 내식성 연구

        지혜,정찬영,Ji, Hyejeong,Jeong, Chanyoung 한국표면공학회 2018 한국표면공학회지 Vol.51 No.6

        Anodization techniques are widely used in the area of surface treatment of aluminum alloys because of its simplicity, low-cost and good corrosion resista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rties (porosity and thickness) of anodic aluminum oxide (AAO) and its corrosion behavior. Aluminum 5052 alloy was anodized in 0.3 M oxalic acid at $0^{\circ}C$. The anodizing of aluminum 5052 was performed at 20 V, 40 V and 60 V for various durations. The corrosion behavior was studied in 3.5 wt % NaCl using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method. Results showed that the pore diameter and thickness increased as voltage and anodization time increased. The relatively thick oxide film revealed a lower corrosion current density and a higher corrosion potential valu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