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체 속 물체의 위치와 운동에 대한 예비교사의 이해

        지영래,송진웅 한국물리학회 2014 새물리 Vol.6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that pre-service physics teachers experienced in solving problems about the position and the motion of an object in a flui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completed by 40 pre-service physics teacher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had difficulty in finding the final position of an object when it had the same density as the fluid. Second, participants gave incorrect explanations when asked about the final positions of objects, which had the same density as the liquid, when the initial positions of the objects were different. Examples of incorrect explanations were the followings: 'if the gravitational force and the buoyancy are the same, the object will stop immediately' or 'the object stops at a specific location.' Third, half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the direction of the buoyancy of the upper liquid was dow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articipants tended to memorize formulae and lacked problem-solving experiences in diverse context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들이 유체 속 물체의 위치와 운동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겪는 개념지식 관련 어려움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사범대학 물리교육 전공 학생 40명에게 4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도가 다른 물체들의 배치에 대한 어려움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예비 교사들이 액체와 밀도가 같은 물체의 최종위치에 대한 어려움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액체와 밀도가 같은 물체의 처음 위치에 따른 최종 위치의 경우, 예비 교사들은 `부력과 중력이 같으면 즉시 정지'하거나 `특정 위치에서 정지' 등의 잘못된 설명을 하였다. 셋째, 예비 교사들의 50\%는 층을 이루는 두 액체 사이에 정지한 물체에서, 위에 위치한 액체에 의한 부력 성분의 방향을 아래로 응답하였다. 이는 부력 공식의 단순 암기에 따른 문제로 추측되며 다양한 문제 상황에 대한 학습이 요구된다.

      • KCI등재

        모디아노의 소설 세계에 나타난 공간의 시학

        지영래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8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63 No.-

        Le point de départ de notre travail était le questionnement suivant : pourquoi les romans de Modiano, qui comptent vingt-sept œuvres depuis son premier roman La Place de l’Étoile (1968) jusqu’à Souvenirs dormants (2017), nous donnent-ils cette impression mystérieuse d’avoir déjà lu le livre que nous ouvrons même pour la première fois ? Pour répondre à cette question, nous avons analysé ses textes et essayé d'y extraire des éléments qui constituent leurs similitudes, en focalisant principalement sur la représentation des lieux. Notre discussion comprend les trois étapes. D’abord, pour trouver les composants de base qui donnent une couleur unique au monde “modianesque”, nous avons étudié la structure narrative en mettant l'accent sur les personnages et les événements dans ses œuvres. Puis, nous avons divisé l'espace dans lequel les héros de Modiano sont actifs en trois parties, tout en tentant de donner une signification appropriée à chacun : (1) Paris comme lieu de souffrance et d'errance, (2) la banlieue et la périphérie de Paris comme espace d'anxiété et d'envie, (3) le Sud et l’étranger comme espace d'indépendance et de libération. Enfin, nous avons examiné la façon dont Modiano décrivait l'espace. Sous le nom du “phénomène de la surimpression”, il a empilé des différents moments de sa vie dans le même espace ou l'atmosphère. Les romans de Modiano sont des romans qui se concentrent sur l'espace. Ses récits sont jalonnés de noms de rue, de lieux, de stations de métros, de cafés et d'hôtels, faisant de la Capitale un terrain d’enquête romanesque. En y mélangeant son autobiographie la plus fidèle avec ses souvenirs imaginatifs, Patrick Modiano fait revenir le lecteur sur sa propre vérité.

      • KCI등재
      • KCI등재

        학교의 변화를 마주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수업 실천에서 나타난 도전과 변화

        지영래,심현표,백종호,박형용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6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science teachers perceive the changes in school systems, including infrastructure and curriculum, in the context of preparing for future education. And the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challenges, and changes of science teachers’ classroom practices were also explore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wo science teachers in a middle school that is trying to innovative on changes compared with general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that their schools had factors that could change the science class in terms of school size and infrastructure, peer teacher culture, and students’ abilities. Second, the enthusiasm of teachers who are trying various ways of teaching and the students’ ability to adapt in a smart learning environment formed a synergistic circle that lowered entry barriers to trying changes. Third, science classes changed to activity-centered classes, and teachers realized that these changes promoted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Fourth, teachers perceived themselves as playing an independent role in curriculum management, and this perception promoted more varied attempts in improving their classes. Through the change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systems of the school and the formation of a culture that shares their challenges and innovations with the voluntary learning community, teachers constantly try to change their classes and schools. The changes of school need t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interaction of teachers, students, and infrastructure. 최근 지능정보화사회가 가져올 급격한 변화에 대비하는 새로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비하여 첨단 정보통신 기기의 도입과 활용이 중심이 되는 스마트 학교 등을 시도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혁신 학교 등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교실 환경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맥락 속에서 이루 어지고 있는 학교의 기반 시설과 교육과정을 비롯한 제도의 변화에 대하여 과학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 그러한 교육 환경의 변화에 대한 인식 속에서 과학교사들의 수업 실천에서는 어떠한 도전과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일반 학교와는 차별화된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중학교의 과학교사 2인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들은 그들이 소속된 학교가 학교의 규모와 기반시설, 동료 교사들의 교사 문화, 학생의 역량 면에서 과학 수업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갖추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다양한 수업 방식을 시도하는 교사의 열정과 ICT 기반 시설에 적응한 학생들이 갖춘 역량이 시너지를 일으켜 선순환의 고리를 형성하면서, 교사들이 새로운 수업을 시도할 수 있는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지속적인 도전을 지원하는 학교 문화가 생성되었다. 셋째, 과학 수업은 활동 중심으로 변화하였 고, 교사들은 이러한 변화가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촉진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스스로 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이 인식은 더다양한 시도를 촉진하였다. 이러한 학교의 학습 환경과 제도의 변화, 자생적 교사 학습 공동체와 같은 도전과 혁신을 공유하는 문화의 형성을 통해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수업을 변화시키는 실천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었다. 이처럼 학교의 변화는 교사, 학생, 기반 시설의 상호작용 맥락 속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변화의 요소들 사이에서 형성된 상승적 상호작용 속에서 변화의 핵심 주체인 교사의 도전과 실천이 지속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작은 질량 측정 실험 보고서에서 나타난 대학생들의 측정과 오차 이해

        지영래,조헌국 한국물리학회 2019 새물리 Vol.69 No.5

        This study analyzed the measurement skill and error in report in a small-mass experiment conducted by 25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at experiment involved the measurement of a basic inquiry function. The experiment reports contained the principles of measurement tool development, measurement value notation, error factor analysis, and so on.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qualitatively explained the principles of the tools for measuring a small mass, but they did not present numerical models, rather, they presented them analytically. Second, the students pointed out that the number of trials being small was the cause of random errors, and their use of significant figures was not well developed. Third, the factors affecting systemic errors identified by the students were more specific than those identified as affecting random errors, and systematic errors were often confused with random errors. Fourth, students had difficulty in judging the reliability of measured values, and the rationale that they us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values was not scientific. 본 연구는 사범대학 물리교육 전공 학부생 25명이 수행한 작은 질량 측정 실험 보고서에 제시된 측정과오차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작은 질량 측정 실험은 기초 탐구 기능 중 측정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측정도구 개발 원리, 측정값 표기, 오차 요인 분석 등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도록 고안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작은 질량 측정 도구 개발 원리를 정성적으로 설명했으나 수치적 모형을바탕으로 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우연 오차의 원인으로 측정 횟수가 적음을 지적하였지만 실제 수행에서 측정 횟수가 5회 미만이었고 측정값의 유효 숫자 처리에 미숙하였다. 셋째, 우연오차보다 계통오차 요인을 구체적이며 더 많이 제시하였지만, 오차 요인을 계통오차와 우연오차로분류하는 것을 혼동하였다. 넷째, 학생들은 측정값의 신뢰 여부 판단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측정값의신뢰에 대한 근거가 과학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 KCI등재

        열역학 과정에서 계의 에너지 변화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해 분석

        지영래,송진웅 한국물리학회 2018 새물리 Vol.68 No.4

        본 연구는 열역학 과정에서의 계의 에너지 변화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해를 분석하고 물리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사범대학 학부생 34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총 7개의 반구조화된 문항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외력이 작용한 계의 에너지 변화에 대한 설명과 열역학에서의 일과 계의 정의를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학생들은 계의 에너지 변화를 일, 부피 변화, 열전달, 평균운동에너지 등으로 설명하였으나, 같은 물리량을 통한 설명의 시도도 학생들의 해석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왔다. 둘째, 학생들은 계의 에너지 변화를 일을 통한 에너지 전달을 중심으로 설명했으나, 경계에 힘이 작용하고 그 경계가 이동해야 한다는 열역학에서의 일의 정의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열린계, 닫힌계, 고립계, 단열계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였으며 외부와의 상호작용 여부를 기준으로 계를 분류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열역학의 교수학습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energy change of the system undergoing a thermodynamic proces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physics teaching an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ponses of 7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o 34 undergraduate students. First, students explained the energy change of the system caused by work, volume change, heat transfer, average kinetic energy, etc. However, attempts to explain the changes by using the same physical quantities led to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students. Second, students explained the energy change of the system mainly through energy transfer caused by work, but they did not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work in thermodynamics; i.e., that a force must exist on the boundary and the boundary must move. Third, students did no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open, closed, isolated, and adiabatic systems and tended to classify systems based on whether they interacted with the outsi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for the teaching and the learning of thermodynamics are presented.

      • KCI등재

        역학의 보존법칙 문제풀이 과정에서 나타난 대학생들의 계에 대한 이해의 특징 분석

        지영래,정용욱,송진웅 한국물리학회 2016 새물리 Vol.66 No.4

        Recently, the notion of a system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in scientific inquiry. This study analyze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link between a system and the law of conservation through a written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had difficulty in classifying the system and used limited keywords to define the system. Second, many participants answered that a prerequisite for the law of conservation is an external force, but they rarely mentioned any additional prerequisites for the law of conservation. Third, participants did not consider the conditions for the law of conservation when they identified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concerning problems on the law of conservation. Educational suggestions on learning the law of conservation are given and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최근 들어 과학 교수-학습과 과학탐구에서 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술식 설문지를 통해 계와 보존법칙의 연결에 대한 사범대학 물리교육 전공 학생들의 이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제한된 핵심단어를 사용하여 계를 정의했으며 계의 분류에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보존법칙을 적용하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응답이 많았고, 보다 세부적인 보존법칙의 조건에 대한 언급은 적었다. 셋째, 학생들은 보존법칙 문제풀이 과정에서 계의 구성요소를 선정할 때 보존법칙의 적용조건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여 사고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도출가능한 계에 기반한 보존법칙 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