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성할당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주해연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ender Quotas in KoreaHaeyeon Ju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few strategies to improve gender quotas for expanding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in Korea. Based on statistical data and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ompared gender quotas in other countries and drew some lessons. Gender quotas have been recognized as the most effective way to expand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legislated candidate quotas, the proportion of women in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increased, but now it has shown static. There is a limit to expand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present gender quotas.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ratio is low and the legislated candidate quotas are a recommendation in the case of district elections. According to a recent poll, public opinion on gender quotas is negative, especially among young men. It is necessary that political parties make an voluntary effort to achieve equal representation of gender in the National Assembly rather than strengthen legal regulations related to gender quotas. Key Words: Political Representation, Gender Quotas, Gender Parity, Descriptive Representation, Substantive Representation 한국 여성할당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주 해 연* 요약: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증진하기 위해 시행 중인 여성할당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통계자료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다른 국가의 할당제를 비교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여성할당제는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증진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 인식됐다. 한국은 법적 후보 할당제 도입 직후 여성 국회의원 비율이 급격히 높아졌으나 현재는 정체된 성장을 보인다. 현재의 할당제로는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증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비례대표 의원 비율이 낮고, 지역구 선거의 경우 할당제가 권고 사항에 그치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젊은 남성들을 중심으로 할당제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여성할당제 관련 법적 규제를 강화하기보다는 의회 내 성평등을 실현하려는 정당의 자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핵심어: 정치적 대표성, 여성할당제, 남녀동수제, 기술적 대표성, 실질적 대표성 □ 접수일: 2022년 3월 10일, 수정일: 2022년 3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전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사(Lecturer, Jeonbuk National Univ., Email: seajhy@jbnu.ac.kr)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유아에 대한 교사의 문제행동 중재 적용 실태

        주해연,황순영,김영미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혁신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중재방법 활용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중재방법 활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장애유아를 가르쳐 본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 및 특수교사이며, 부산과 경남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110명을 무선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장애유아의 문제행동 중재 방법 활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설문 자료는 각 문항별로 전체 평균, 빈도, 백분율로 분석하 였다. 연구결과로는 장애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교사는 행동수정기법이나 여러 가지 접근을 혼합한 복합적인 방법이 효과적이라며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힘든 시간은 대집단 활동이며, 문제행동으로 겪는 어려움은 수업의 방해 및 중단이었다. 교사가 많이 사용하는 중재방법으로는 문제행동이 필요로 하지 않도록 환경을 변화시키기 및 적절한 행동의 대체 기술 가르치기와 관련된 긍정적 행동 지원이 행동수정기법 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의 장애유아 문제행동 지도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교사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을 개 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actual conditions for utilization of problematic behaviors displayed by disabled children at childcare classroom on kindergarten teachers with various backgrounds. In order to examine these, following two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How are actual conditions for teacher's utilization of intervention techniques for problematic behaviors? This research surveyed 97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and private daycare center teacher working at Busan and Gyeognam area. Analyzed collected data was based on fundamental statistics such as the whole average,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findings of from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It was effective to use multiple approach methods or behavior modification strategies in order to reduce the disabled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Instead of using professional advice and attending training or workshops, teachers consulted with their students' parents or fellow colleagues and teachers. These results imply that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provide effective interventions techniques, that focus on the subjects and contents that teachers consider difficult to handle. To help teachers to manage problematic behaviors, we may need a system that can provide effective professional assistance whenever they need it. Such research results must provide the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focusing on moments, such as planning of training or supporting programs for teachers, which teachers find difficult to confront. In order to help teachers to manage problematic behaviors effectively, we may need a system that can provide effective professional assistance whenever they need it.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에 관한 연구

        주해연 ( Haeyeon Ju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제고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에 관한 선행연구와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여성의 과소대표성의 요인을 검토하였다. 여성의 과소대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경제적 요인, 문화적 요인, 정치 구조적 요인이 있다. 한국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두 가지 유형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공급 측면의 전략은 정치의식을 높이기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와 여성정치교육 확대이다. 둘째, 수요 측면의 전략은 정치의 장에서 여성을 위한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정치에서 여성이 적절한 대표성을 갖는 것은 여성의 권익 증진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 후속연구에서는 한국 여성의 양적 대표성과 실질적 대표성의 연관성에 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few strategies that enhance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in Korea. For this, women’s under-representation is examined by analyzing of previous studies and statistical data related to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There are three factors (socio-economic factor, cultural factor and political structure factor) that influence on women’s under-representation. This study suggests two strategies to enhance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in Korea. First, the supply-side strategy is to exp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women's political education for enhancing political consciousness. Next, the demand-side strategy focuses on providing fair opportunities for women in the political arena. The proper representation of women within the political sphere is important not only for promoting women's rights, but also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Korea. In addition, in subsequen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meaningful and important relevance between quantitative representation and substantive representation in Korea.

      • KCI등재

        한국 공적개발원조 전략에 관한 연구

        주해연 ( Haeyeon Ju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본 연구는 한국의 원조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원조효과성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OECD DAC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한국 ODA의 현황을 검토하였다. 한국의 ODA가 가지고 있는 결함으로는 먼저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전통적인 ODA 패러다임에 빠져 있다는 점이다. 다른 공여국들과 비교했을 때 ODA의 양적 규모와 질적 수준은 여전히 미흡하고, 원조체계도 분절화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한국의 원조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전략을 제안하였다. 첫째, 한국 ODA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원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지구촌 사회의 빈곤퇴치에 두어야 한다. 둘째, 한국은 국제 원조 사회에서 새로운 중견 공여국으로서 개발도상국의 개발에 긴요한 분야 중 한국이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공여국의 원조와 상호 보완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분야에 원조를 집중해야 한다. 셋째, 분절화된 원조 시행기관들이 서로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고, 국제개발협력위원회의 조정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향후 원조효과성 제고와 관련된 원조 투명성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few strategies to improve aid effectiveness of South Korea. For this, the South Korea’s current level of ODA is reviewed by analyzing of previous studies and OECD DAC statistics related to aid effectiveness. South Korea’s ODA has some flaws yet. It is still indulged in traditional ODA paradigm pursuing national economic interests. Its ODA quantity and quality are still considered to be insufficient compared with other donors. The South Korea's aid architecture is still fragmented. Considering all these factors, this study suggests a few strategies to improve aid effectiveness of South Korea. First, the ultimate goals of Korea’s ODA should b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recipient countries and poverty reduction in the global community. Secondly, South Korea as a new medium-sized player in the global ODA community should concentrate on its aid in those sectors which are in urgent demand, with comparative advantage, and of complementary effects with other donors’ efforts. Thirdly, it is important for fragmented architecture to cooperate. And the coordinative function of the Committee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an be strengthened. Future studies will be needed to research on aid transparency related to aid effectiven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