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atistical model for determining zearalenone contamination in rice (Oryza sativa L.) at harvest and its prediction under different climate change scenarios in South Korea

        주용성,옥현이,김지현,이상유,장수경,박기환,전향숙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9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62 No.-

        Mycotoxin contamination of food grains is a food safety hazard, and zearalenone (ZEN) is one such mycotoxin affecting rice grains (Oryza sativa L.). A statistical model for estimat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ZEN contamination of rice grains in South Korea was constructed. Observational data on ZEN concentrations in rice grains at harvest and local weather information from 241 rice fields in South Korea were collected. To estimate the impact of weather variables on ZEN concentration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long with variable selection procedure. The final model included the following variables: ave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over the flowering period, daily (between days) change in temperature over the harvest period, degree of milling, and the climate region. On the basis of this regression model, maps showing ZEN contamination were produced for South Korea in the present day, the 2030s, and the 2050s, using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emission scenarios RCP 2.6, 4.5, and 8.5. The predictive maps project that in the 2030s and 2050s, ZEN contamination in rice grains will increase nationwide, particularly more so on the western side of South Korea. Our research results might be helpful in developing effective control measures against ZEN contamination due to climate change.

      • KCI등재

        한국 기상자료의 군집분석: 베이지안 모델기반 방법의 응용

        주용성,정형주,김병준,Joo, Yong-Sung,Jung, Hyung-Joo,Kim, Byung-Ju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9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0 No.1

        이 논문에서는 한국 30개 주요도시를 강수량, 온도, 풍속, 일조량, 습도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행하였다. 군집분석 결과는 지형적 특성에 이 들 기상변수가 큰 영향을 받는 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비록 작은 나라이기는 하지만, 지형성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우리의 연구결과는 기상에 관한 기존상식과 일치한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풍속을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하였을때, 가장 많은 수의 군집들이 찾아졌고 일조량을 기준으로 했을 때 가장 작은 수의 군집이 찾아졌다. 풍속을 기준으로 했을 때 많은 군집들이 찾아지는 것은 바람은 국소지형에 아주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In this paper, 30 main cities are clustered based on precipitation, temperature, wind speed, photo period, and humidity. We found that the resulting clusters has strong relationships with geographical locations. These results make sense because, although Korea is a small country, Korean weather is known to have strong locality. The largest number of clusters is found when wind speed is used as an interested variable for clustering and the smallest number of clusters is found when photo period is used. The large number of clusters based on wind speed indicates that wind speed is affected easily by local geography.

      • 『醇言』에서의 ‘嗇’의 의

        朱容成 간재학회 2010 간재학논총 Vol.11 No.-

        이 글에서는 율곡의 ?순언?에서 핵심 개념인 ‘嗇’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율곡은 ?순언?을 저술할 때 ?노자?를 해체한 뒤 재구성한다. 재결합?재배치의 원칙은 철저하게 유가의 ‘수기’와 ‘치인’이다.율곡은 순언 가운데 ‘수기’와 ‘치인’의 핵심으로서 ‘嗇’을 꼽는다. ‘색’은 ‘수기’적인 측면에서는 ‘거경’으로써의 수렴의 의미가 있으며, ‘치인’적인 측면에서는 ‘절용’의 뜻을 지닌다.율곡은 ‘수기’적 측면의 ‘색’의 방법과 ‘치인’적 측면의 ‘색’의 방법을 나누어 설명한다. 개인수양적인 측면에서의 ‘嗇’의 구체적인 방법은 ?순언?의 편차 순서에 따라 ‘극기복례’와 ‘자애’, ‘검약’, ‘겸허’의 ‘삼보’와 ‘重靜’이다. 인간의 본성이 善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본성을 가리고 구속하는 사욕을 제거하는 것이 ‘극기복례’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삼보’는 만물을 포용할 수 있는 ‘자애’를 바탕에 두고 ‘검약’으로써 자신을 절제하며, ‘겸허’를 통해 자신을 비움으로써 ‘道體의 本然’에까지 이를 수 있다는 것을 말하였다. ‘重靜’은 마음이 외부의 사물에 쉽게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 스스로를 굳게 지키는 방법으로 설명했다. 치인측면에서의 ‘색’은 사사로운 자기가 없는 ‘無我’, ‘無私’로써 천하를 다스리는 법을 삼았다. ‘수기’와 ‘치인’이 분리되어 따로 존재하는 영역이 아닌 것처럼 ‘수기’로서의 ‘嗇’의 방법과 ‘치인’으로써의 ‘색’의 방법 또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이러한 ‘색’의 방법을 통해 얻게 되는 공효 또한 수기와 치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수기’적 측면에서의 공효는 자신의 命을 온전히 보존할 수 있다는 正命의 차원에서 볼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천지의 道와 더불어 짝하게 되는 天人合一의 경지까지 올라갈 수 있다. ‘치인’적 측면에서의 공효는 인간사회의 개개인이 각자의 본성을 밝히게 되는 ‘敎化’의 단계로부터 만물 각자가 자리를 잡게 되는 ‘天地位萬物育’에까지 이르게 된다.

      • KCI등재

        Acclimation responses of Tamarix chinensis seedlings related to cold stress

        주용성,이은주 한국생태학회 2011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climation responses of Tamarix chinensis to cold stress. We evaluated the acclimation responses by measuring biomass, daily elongation rate, chlorophyll content, and total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The plant samples comprised leaves from seedlings of 2 different ages (8 and 12 weeks); the leaves were collected 0, 2, and 4 weeks after cold treatment. We found that the cold-treated samples showed reduced daily elongation rates and chlorophyll content. Further, these samples showed more than 8-fold increase in the total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However, the seedling ag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rowth of cold-treated seedling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we can conclude that T. chinensis seedlings aged less than 1 year old show acclimation to cold stress by accumulating soluble carbohydrates. This study may help us understand how T. chinensis seedlings acclimatize to their first cold season.

      • 일반주거지역 밀도규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주용성 대구대학교 (한사대학) 평화통일연구소 1990 平和統一硏究 Vol.7 No.-

        Residential circumstances of the General residential areas class two has been distorted due to allowed lower densities, higher building-to-land ratios and limitation on the heights in class two than those in class three. Providing with larger open space is more beneficiary for the sunlight, the ventilation of air, the sky-view, work-out areas, more of gardens, water fountains, shallow streams. Therefore, larger open space could be an utmost substantial variable to obtain environmental-friendly residential areas. Larger open space would be obtainable by means of descending building-to-land ratios. To prove that theoretical hypothesis, Simulations of getting a change of Open Space when the heights of residential buildings under a fixed Floor-to-area ratios(F.A.R) were performed. With the obtained results, A sort of negative logarithmic function graphs were derived. The change rates of O.S. were big between lower stories and then the rates were getting smaller as stories getting up. And then classifying data about bulk controls of 88 apartment buildings complex into 2 groups of class 2 and 3 were performed. Abolishing height limits could be a key resolution to straighten this current distorted phenomena. Local governments can use the same way of height control concept of this paper's simulation to achieve a successful bulk control method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New York's Height Factor method.

      • KCI등재

        범진과 사마광의 악(樂)⋅율(律) 논쟁

        주용성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6

        제왕의 정치에서 악(樂)은 중요하다. 북송 시대에도 악은 중요했다. 북송의 태조부터 악에 대한 제정 작업이 이루어진다. 5대 10국이란 혼란기를 겪은 탓인지 몰라도 북송시대에 악에 대한 개정 작업이 6번 이루어진다. 그 당시 인종시기부터 철종시기까지 악에 대한 연구를 했던 인물이 바로 범진이다. 그는 인종 때부터 악에 대한 상서를 올리고, 철종 때는 자신이 만든 악기 및 음악을 올리기까지 한다. 한편 범진과 더불어 악⋅율에 대해 논쟁했던 인물이 사마광이다. 둘 사이의 논쟁은 30여 년이 지속된다. 논쟁은 끝까지 합의점을 찾지 못한다. 범진은 도량형의 기준을 율(律)로 두며, 율의 기준을 황종(黃鍾)으로 본다. 반면에 사마광은 율의 기준을 도량형으로 본다. 범진은 당시에 통용되던 누서법(累黍法)과는 다른 적서법(積黍法)을 주장한다. 사마광은 당시에 통용되던 누서법을 주장하나 그것이 선왕(先王)의 법도는 아니라고 본다. 범진의 적서법은 기존의 도량형 기준을 정하는 방법과 다르다. 하지만, 그의 방법을 통해 얻은 도량형은 당시에 통용되던 제도들과 합치한다. 범진은 자신의 방법이야말로 올바른 방법이라고 확신한다. 그리고 그 방법을 통해서 선왕의 악을 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범진은 또한 당시 남아 있던 문물들이 선왕시대의 문물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적서법을 통해 황종을 구하고, 황종을 통해 율을 구하고, 율을 통해서 악을 만들면, 선왕의 법도를 회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반면에 사마광은 선왕의 도량형은 모두 없어졌다고 여기며, 선왕의 악 또한 없어졌다고 여긴다. 선왕의 악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중화(中和)를 얻는 것 밖에 없다. 그가 보기에 범진의 방법은 이미 틀린 것이다. 사마광은 틀린 방법으로 악을 구하는 것을 반대했다. 그는 범진의 방법으로는 그 당시의 악도 이룰 수 없는데, 선왕의 악은 더욱 찾을 수 없다고 본 것이다. 또한 범진은 중화를 할 수 있는 사람은 천자이며, 일반 사람들은 할 수 없다고 보는 반면, 사마광은 중화를 모든 사람 및 만물이 해야 하며 또한 벗어날 수 없는 것으로 본다. 논쟁의 핵심은 율과 중화다. 범진은 율을 악의 근본으로 보지만 사마광은 중화를 악의 근본으로 본다. 율은 유형의 법칙이고, 중화는 무형의 법칙이다. 둘 사이의 논쟁은 비록 일치점을 보지 못한 채 끝났지만, 유형과 무형의 법칙만들기의 대립이라는 측면에서, 당시 학자들의 견해차를 엿볼 수 있다. 아울러 이 논쟁을 통해서 북송 시대에 사마광을 중심으로 하는 중화 논의의 시작점도 짐작해 볼 수 있다.

      • 퇴계의 서명관(西銘觀)을 통한 자기중심적 문화비판 -「서명도(西銘圖)」와 「서명고증강의(西銘考證講義)」를 중심으로-

        주용성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0 儒敎文化硏究 Vol.- No.16

        이 글에서는 현대의 자기중심적 경향에 대하여 전통 성리학적 세계관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벗어날 수 있는 단서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개인들은 근대 이전에는 사회적ㆍ우주적으로 ‘존재의 거대한 고리(great chain of Being)’안에 있었다. 하지만근대에 이르러서 이러한 고리가 사라짐에 따라 개인들은 점점 자기 안으로 관심을돌린다. ‘나’와 다른 존재가 소통할 수 있는 근거가 사라진 것이다. 한편 전통 성리학의 입장에서 「서명(西銘)」을 통해 존재간의 상호관계를 잘 볼수 있다. 「서명」에서는 천지(天地)를 매개로 인간과 만물(萬物)을 관계지운다. 「서명」의 세계관 안에서는 천지 사이에 있는 만물은 천지의 기운을 통해서 태났으므로 모두 천지의 자식들이다. 모든 존재가 천지라는 동일한 근원을 가지지만 현실적으로는 각각이 개별적인 존재인 것이다. 각각이 개별적인 존재이긴 하나 그 근원을 추궁(推窮)해 들어간다면 한 근원에서 만날 수 있다. 이것을 ‘이일분수(理一分殊)’라고 한다. 개별적인 존재들이 서로 간에 소통할 수 있는 이론적인 틀을 ‘이일분수(理一分殊)’로 표현한 것이다. ‘이일분수(理一分殊)’에서 존재 간에 소통할 수 있는 매개가 되는 것은 인(仁)이다. 인(仁)은 만물을 관통하여 흐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서명」에서의 존재 규정은 천지로부터 만물 사람의 순으로 좁혀지지만 실천방향은 ‘나’로부터 ‘사람’으로 그리고 ‘만물’과 ‘천지’로 확장되는 방향을 가지고 있다. ‘이일분수(理一分殊)’에서 출발점이 되는 것은 분수(分殊)이다. 이일(理一)이 분수(分殊)보다 고차원적이지만 이일(理一)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은 반드시 분수(分殊)로부터 시작해야 한다[分立而推理一]이러한 모습을 퇴계를 통해 잘 볼 수 있다. 퇴계는 「서명」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분수(分殊)를 강조한다. 그는 인간의 주체적인 각성을 통해서 인(仁)을 깨달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퇴계의 서명관은 분수(分殊)에 입각해 이일(理一)을 추구해 나가는 방향이며 인(仁)을 통해 만물과 소통하는 방향이다. 퇴계가 강조하는 ‘나’는 개별적인 의식에 갇혀 있는 ‘나’가 아니다. 이러한 「서명」의 세계관은 현대의 자기중심적 문화를 극복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중봉(重峯) 조헌(趙憲)의 「비왜지책」 분석

        주용성 동양철학연구회 2023 東洋哲學硏究 Vol.114 No.-

        Cho-hun is well known as one of the righteous army generals in the earl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owever, he was one of the scholars representing Joseon in the 16th century, and a reformed politician who tried to lead the reality of the time to ideal politics. Furthermore, as Joseon entered an urgent situation, he also showed the appearance of a pioneer trying to solve the historical crisis. Joseon was in a complicated relationship with Japan before the Imjin War. Japan had ambitions to invade the continent after reunify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However, Joseon was not facing Japan's ambitions. Japan asked for Joseon's diplomatic mission in a rude manner, but Joseon was afraid of Japan's violent forces and could not take proper action. Cho-hun excellently predicted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at this time, but the government did not take that initiative. However,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proposed by Cho-hun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proposed diplomatically establishing international joint war alliances with Ming and other countries. And he presented a reasonable analysis of the Japanese enemy's first invasion route and intermediate stops and combat patterns. Furthermore, he suggested reducing the suffering of the people in society, hiring talented people, and removing harsh military administration. This was a measure that based on Neo-Confucian theory, could be applied directly to international politics and social systems at the time.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an accurate model fo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조헌은 임진왜란 초기 의병장 중의 한명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는 16세기 조선을 대표하는 학자 중 한 명이었으며, 당대 현실을 삼대의 정치로 이끌려는 개혁정치가였다. 이에 더해 그는 조선이 급박한 상황에 들어서자 현실에 맞추어 역사적 위기를 해결하려는 선구자의 모습을 보인다. 임진왜란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조헌은 「비왜지책」이라는 왜란 대비 종합대책을 내놓는다. 조선은 임진왜란을 목전에 두고 일본과 복잡한 관계 속에 있었다. 일본은 전국시대를 통일하여 대륙 침략에 대해 야욕을 품고 있었으나 조선의 조정은 그 힘의 실체를 직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무례한 자세로 빈번하게 통신사를 요청했으나 그 강포한 힘을 두려워해서 적절한 대처를 못한 것이다. 조헌은 이 시기에 탁월한 선견지명으로 왜란 대비책을 제시했으나 채택되지 못한다. 하지만 조헌이 올린 임진왜란 발발 1년 전에 올린 「비왜지책」은 임진왜란사에서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 그는 외교적으로 명나라 및 다른 나라들과 국제공동전선을 구축할 것을 제안했으며, 그의 예측은 1591년 조선이 취할 수 있는 가장 타당한 외교정책으로 평가된다. 국방책으로는 왜적의 최초 침입로 및 중간 경유지 및 향후 전투양상에 대해 현실적 분석을 내놨으며, 이는 임진왜란의 경과과정을 통해 전쟁을 대비할 수 있는 탁월한 대비책임이 확인된다. 사회적으로는 백성의 고통을 경감하고, 인재의 등용 및 가혹한 군정의 제거를 제시했으며, 이는 왜란을 앞둔 시기에 전쟁물자 준비 및 사회 안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들이었다. 조헌이 제시한 「비왜지책」은 천시(天時), 지리(地利), 인화(人和) 등 학적 이론에 기반하면서도 당시 국제정치 및 사회현실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었다. 「비왜지책」은 임진왜란 전에 구체적고 명확하게 전쟁 대비 모델을 제시한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