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의 체험적 중화음식 연구

        자오롱광(??光),주도경(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5 아시아리뷰 Vol.5 No.1

        필자가 ‘음식학’을 연구한 것은 사회의 음식 문제와 음식 역사 및 음식문화에 대한 관심에서였다. 음식사의 주요 흐름의 파악, 식사 관련 사항의 재현, 식사문화에의 관심은 필자가 식학연구(治食學)를 하게 된 계기였다. 학문적 구조에 있어 ‘음식학’은 필자의 연구 시야이자 방법론적 특징이다. 이 글에서는 음식학의 기본 이론과 구체적인 연구 성과를 개괄하였다. 우선 중화음식학의 기초 이론과 중화민족음식문화의 특징을 밝혔다. 그리고 시간적 차원에서 중화음식문화 연구를 단계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중화음식의 역사를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개괄하였으며, 고대로부터 내려온 음식의 미학을 ‘십미원칙’으로 요약하였다. 공간적 차원에서는 오늘날 중국을 둘러싼 지역적 공간을 중심으로 중화민족음식문화권이 존재하며 하위 단위로 12개의 음식문화구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회적 차원에서 음식문화에는 위계적 구조가 있어 서민 민중의 음식생활사와 상층사회의 음식역사가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더불어 청(淸) 궁정이나 공자의 사적 기록등을 통하여 사료에 기반한 음식문화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아시아음식학 포럼이 개최되는 등 국제적으로 음식학의 연구 성과가 축적되고 있으며 각 포럼에서의 선언을 통해 음식학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author’s research in food science has its beginnings in a general interest in food problems and culinary history and culture. The understanding of culinary history, the reproduction of the culinary arts, and curiosity over dining culture serve as the basis for the author’s culinary therapy studies. In terms of an academic approach, food science provides research perspective and methodology. This paper introduces basic theories and specific research results of food science. Firstly, theoretical foundations of Chinese culinary science are laid out, accompanied by descriptions of the particularities of Chinese national culinary culture. Next is a chronological account of Chinese culinary culture research, followed by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history of Chinese cuisine from the prehistoric to modern times, and summed up with ancient, timeless principles. On a spatial dimension, modern day China boasts 12 culinary subcultures within its national boundaries, which together form a vast Chinese national culinary cultural sphere. Socially, dining culture was also dictated by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society, with diverging culinary histories among the common people and the upper classes. In addition to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based on historical sources from Qing dynasty courts and Confucius’ personal archives. Research on food science is accumulating on a global scale, with the recent Asian Food Culture Conference garnering much attention. This paper concludes with some recommendations on the direction of culinary research, as presented at international forums.

      • KCI등재

        누적적 인과이론의 관점에서 본 국제관광 공간의 발생

        양위청(Yucheng Liang),주도경(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7 아시아리뷰 Vol.6 No.2

        이 글은 이민연구 분야의 누적적 인과이론(cumulative causation model)에 입각해 관광과 이민 간의 관계라는 시각으로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의 입국관광객 증가율에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한 글이다. 이 글에서는 개발도상국 관광객이 중국을 관광하는 다양한 목적이 관광객의 현지 사회 네트워크로의 진입을 유발시켰고, 바로 이 점에서 누적적 인과 메커니즘이 작동하여 관광객이 현지 사회 네트워크에 진입할 때 현지 사회의 경제 및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것이 드러났다. 또한 관광객이 주위의 지인에게 중국 방문을 추천할 가능성을 증가시켰으며, 중국에서 일하고 생활할 때 드는 비용을 감소시켜 이민 혹은 장기 체류에 교량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 글은 광저우(廣州)시 외국인 조사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동시발생분석 및 다층모형분석법을 통해 결론을 입증했다. 이 글에서 살펴본 관광 연구 분야의 누적적 인과의 원리는 현재 관광객 집단, 특히 저개발국가의 관광객과 관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Using the cumulative causation model in the field of immigration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rate of increase of inbound tourists between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as it relat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and immigration.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various purposes of the visiting tourist from the developing country has triggered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of people from their originating country. That there existed a network of accumulated human relationship at the time of the visit has helped the tourist in better understanding the local societal, econom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hina. This led to the increase in the likelihood of the tourists in recommending to their friends to visit China. Such network acted as a bridge for immigration or long-term stay by decreasing the cost of living and when working in China. This study has applied the co-occurrence analysis and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to the Guangzhou foreigner survey data to support the findings. The principle of cumulative causation in the field of tourism studies has helped to understand the tourist groups and the behaviour of tourists of underdeveloped countries.

      • KCI등재

        중국 유아교육 제도 개혁의 조치와 발전 추세

        리샤오화(Xiaohua Li),주도경(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8 아시아리뷰 Vol.8 No.1

        2010년 유치원 입학난 문제가 본격적으로 나타남과 함께 중국 유아교육의 제도 개혁도 시작되었다. 유치원 운영은 “공립유치원을 이상적인 모델이자 기본적인 틀로 삼고, 민영 유치원을 주요 부분”으로 하는 체제에서 “공립 유치원을 위주로 하되 공립과 민영 유치원을 병행”하는 체제로 바뀌었다. 관리 체제는 “지방 책임, 각 급1 관리”에서 “성급(省级) 총괄, 현 주도”로 구체화되었고, 재정 지원 체제는 정부의 재정 투자에 있어 주도적 책임을 부각시켰으며, 교사 집단 구축에 있어서는 교사의 지위를 명확히 하고 교사의 수와 질을 보장하며 각종 대우를 개선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향후 중국은 계속해서 “보편수혜성” 유아교육을 개혁 발전의 목표로 삼을 것이고, 유아교육 발전에서의 정부의 주도적인 책임을 강조 · 구현하며, 유아교사의 전문직 종사자로서의 신분을 보다 확고하게 할 것이다. In 2010, the kindergarten crunch across China broke out, and the reform of Chinese preschool education system began. The kindergarten operation system in China started to shift away from the structure of “public kindergartens as the model and backbone, and private kindergartens as the major part” towards the system of “public kindergartens as the major part, and public kindergartens and private kindergartens as combined development.” The kindergarten management system in China has been precisely defined from “local responsibility and multi-level management” to an “overall planning at the provincial level and as rural focused.” The kindergarten input mechanism highlights the leading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s financial input. Furthermore, teaching staff training emphasizes clearing the professional status of preschool teachers, ensur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preschool teachers, and improving the treatment of preschool teachers. In the future, China will continue to take “universal preschool education” as the goal of preschool education reform and development. Hence, China will continue to emphasize and reflect the leading role of the government’ s involvement in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education and China will further define the identity of preschool teachers as professional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