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株主의 議決權不統一行使에 관한 考察

        周基鐘 청주대학교 대학원 1989 우암논총 Vol.5 No.-

        The divisible exercise of the voting rights of the formal shareholder who has more than two voting rights is stated clearly in the commercial law Article 368-2 reformed in September, 1984. The aims of the divisible exercise are to conquor the formality of the shareholder qualification which is decided by the share register and to protect the real shareholders by combining them with the stock corporation and settling the forundation of the corporation organization. In order to be admitted the divisible exercise of the voting rights of the formal shareholders, they have to be entrusted the stock subscription and they must inform their intention to the corporation by letter three days before the general meeting. The corporation can and must refuse the divisible exercise of the formal shareholders if they don't have qualification. When the veto of the corporation is legal, formal shareholders cannot do the divisible exercise of the voting rights. Nevertheless if they do the exercise, it is regarded as not valid.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to of the corporation is not legal, it is regarded as valid. This divisible exercise of the voting rights applies correspondingly to the stock guarantors in organization meeting and to the shareholders of consolidation. Finally I referred to some subjects relateted to the divisible exercise, of the voting rights namely subjects to resolution needing definite shareholders' agreement and to the plural agents' attendance restriction.

      • 개정상법상 합자조합제도의 법적 문제와 개선방향

        주기종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4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5 No.3

        지식기반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인적자산을 중시하는 공동기업형태로서, 내부적으로는 조합의 실질을 갖추고 외부적으로는 사원의 유한책임이 확보되는 형태의 기업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늘어났다. 이를 반영하여 상법에 무한책임을 지는 업무집행조합원과 출자가액을 한도로 유한책임조합원으로 구성되는 합자조합제도가 2012년 4월부터 시행되었다. 합자조합은 기본적으로 민법상의 조합에 해당한다. 그러나 합자조합에 관하여 민법상의 조합과 같은 계약으로 다루면서, 한편으로 인적회사에 관한 다수의 규정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합자조합에 관한 법률관계를 단순히 계약관계에 불과한 것으로 이해하거나 문제를 풀어가기에는 쉽지 않은 다수의 문제점들이 있다. 예컨대, 합자조합의 법적 실체성 인정 여부, 합자조합의 목적의 영리성 한정 여부, 유한책임조합원의 신용 또는 노무의 출자의 인정 여부, 업무집행권을 가진 유한책임조합원의 책임의 범위, 유한책임조합원의 지분양도의 요건, 유한책임조합원의 탈퇴요건 및 성년후견개시선고 후의 처리 문제, 그 밖에 합자조합제도를 도입한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거나 합자조합에 관한 규정 상호간의 충돌 등으로 생기는 모순 등이다. 이상의 문제점들에 대한 기존의 보완적 해석 또는 입법적 해결 방안에 대한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그러면서 합자조합제도의 도입취지에 부합하지 않거나 제도 운영상 혼선이 있을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하여 해석상 보완하거나 개선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합자조합제도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The commercial law treats the limited partnership, which began implementation in April of 2012, just like the contracts on the partnership stipulated in the civil law applying the many regulations on a personal company. As a result, there are many intricate problems which make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legal relations on limited partnership as a simple contract matter. This study aims at enhancing the usage of the limited partnership system by complement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problems which do not correspond with the purpo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limited partnership system or make confusion in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r proposing opinions for the solution of such problems. The major items dealt in this thesis are 'the recognition of the legal entity of limited partnership, the improvement of the purpose and the name of limited partnership, reason for continuation of the partnership and improvement of procedures, the permission of investment of the credit or the labor of the members of limited partnership, the unlimited burdening of responsibility by the members of limited partnership who have the right of job execution, improvement in the transfer of the share of the members of limited partnership, treating the case of the judgment of the beginning of adult guardianship by the limited partners who execute works, expanding the scope of the prohibition of concurrent offices by the members who execute works, application of the limitation of the members who execute works for self transaction, and the matter of substituting the partnership by limited partners. More in-depth discussions and reviews are necessary in the future in order to minimize confusion in the operation of limited partnership system and activate the limited partnership by solving uncertaint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