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梅山 鄭重器 輓詩의 창작양상과 그 의미

        조해훈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6 石堂論叢 Vol.0 No.64

        This paper is the 18th century, Yeongcheon-si, Gyeongbuk, Korea of the region was born and Jeong, Jung-gi who was active in analysis Mansi not only for the new work at her as he by any respect. For this, his psalms with kith and kin and the studied with a man of letters case, and a friend's three for each if appropriate by classifying them as an example and looked at it. Jeong, Jung-gi to pack every one of the death of a distant relative, regardless of ‘In the case of one's kith and kin’ paternal and maternal side and resulted in a Mansi. ‘The friend who studied together case’ is his father and mentor is usually based on Lee, Hyun-il's disciple of his disciples decided the target figure of Lee. ‘In the case of friend’ is a team of Yi, In-Jwa during ; he had the integrity and loyalty, including cause a loyal army as to rearrange the states created them on Mansi. His mansi is a request for direct connections with you, not built by people writing novels was drunk only those people. Creative modern point of view expressed directly or in the context of the passage of these Mansi or uphold the social code of manners by Jeong, Mong-ju's descent who have served in a patriarchal attitude is chastity Thickened ceremony was able to find that of one’s eldest son of the family. A musketeer who was pivotal figure in the Jung family, his popularity or representative of the Youngcheon, that is natural for him such a ceremony. It is also North Kyeung-Buk Region's Kwon in Andong and his family through mansi marriage with relationships, and through Lee, Hyun-Il's protege, was that Kim in Uiseong, social and political can understand that the extension of presence. 본고는 18세기 경북 영천지역에서 태어나고 활동했던 梅山 鄭重器(1685~1757)의 輓詩를 분석하여 창작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그의 시편들을 ‘일가친척의 경우’, ‘학맥 및 문인의 경우’, ‘벗의 경우’ 세 범주로 구분하여 각각의 해당 시들을 예로 들며 논증하였다. 매산은 ‘일가친척의 경우’ 친가 및 외가를 막론하고 먼 친척의 죽음까지 일일이 챙기며 만시를 지었고, ‘학맥 및 문인의 경우’는 그의 부친과 스승이 갈암 이현일의 문인이었던 까닭에 주로 이현일의 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벗의 경우’는 이인좌의 난 때 창의를 하거나 은거하여 학문에만 전념하는 등 절의가 있었던 벗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등의 창작양상을 보였다. 그의 만시들은 일면식은 없으나 요청에 의해 지어진 것이 아니라 자신과 직접적인 친분이 있는 사람들만을 대상인물로 창작된 것이다. 이러한 만시들의 시구에 직접적으로 표현되거나 맥락에 깔린 창작의 관점 또는 태도는 충절을 지킨 포은 정몽주의 후손(방계)으로서 종법제도가 시행되던 사회구조에서 禮를 중시하는 명문가의 嫡長子라는 의식이 짙게 깔려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영천지역의 대표적 명망가인 영일 정씨 문중의 중추적인 인물이자 문과급제자로 조정과 외직에서 벼슬살이를 한 그로서는 그러한 의식이 당연하였던 것이다. 또한 만시를 통해 정중기의 문중이 경북 북부지역의 안동 권씨 및 의성 김씨와의 혼반관계, 그리고 이현일의 문인이라는 학맥을 통하여 사회적․정치적 활동영역이 확장되었음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손와(巽窩) 김경천(金敬天)의 울산 거주시기에 대한 고찰 - 지역 문사들의 한시를 중심으로 -

        조해훈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硏究 Vol.- No.76

        This paper is Kim Gyung-Cheon recognized after local writers how to move to a review of the myself. He is the 『Yeom - seung - jeon』 and 『Sonwa manrok』 to be the author of the to Ulsan this to avoid the disaster. Note Kim Gyung-Cheon of a local official is why from is he is due to the fact recognized by various people early in the good in poetry and prose. He also go through for myself on the Rebellion of Yi In-Jwa during intimacy with the high-ranking officials with contemporary historical characters, and unique owner of a career such as a noun. It is, there is a limit his literary assessments, for the overall. Unfortunately, Kim Gyung-Cheon of countless parodies wouldn’t be seen, he had built a collection of works is hardly does not remain. But in their collection of works of culture zone in the race, including poetry and prose writers about Kim Gyung-Cheon the few remaining analyze it, 『sonwa manrok』 who published an article by reference to the cleanup. Can be divided into two things are ‘humane aspect’ and ‘a aspect of letters’ about Kim Gyung-Cheon. The first is his character, excellent, and loyalty and righteousness and strong character was portrayed as described in an outstanding figure and, second is the literary talents. Note Kim Gyung-Cheon another reason to keep company from the northern and central provinces, North Gyeongsang Province writers that capable of grasping relations. Especially not the upper-class jungin jinsa from (a confucian who has only passed the first civil examination) to look at how they did in response when local writers I've done this was because a unusual opportunity. 본고는 10여 종의 이본이 현전하는 한문소설 『염승전(廉丞傳)』과 잡록 『손와만록(巽窩漫錄)』의 저자로 오랜 기간 고향인 경북 의성현감 등 여러 수령의 기실(記室)을 지낸 손와(巽窩) 김경천(金敬天․1675~1765)이 액을 피하기 위해 울산으로 두 차례나 이거해 살면서 지역문인들에게 어떻게 인식되었는가에 대해 고찰을 한 것이다. 김경천에 주목한 것은 향리 출신인 그가 진사시에 합격했을 뿐 아니라 시문이 뛰어나 일찍부터 의성현감 등 수령을 비롯해 여러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은 문사라는 점 때문이다. 또한 그는 이인좌의 난을 몸으로 직접 겪는 등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였으며, 『봉사일본시문견록(奉使日本時聞見錄)』을 지은 조명채 등 역사적으로 이름을 남긴 여러 인물들과도 교분을 쌓은 당대 명사였다. 아쉽게도 김경천의 문집이 발견되지 않고, 그가 지은 수많은 시문들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그의 문학 전반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하지만 그가 울산에 거주할 당시 울산을 비롯한 경주와 포항 등 경주문화권역의 문사들과 교유를 하였으며, 그에 대한 시문 등이 그들의 문집에 남아 있어 이를 분석하고 『손와만록』을 참고하여 본고를 정리하였다. 지역문사들의 시에서 김경천에 대한 것은 크게 ‘인간적인 면모’와 ‘문사적인 면모’ 두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었다. 전자 부문에서는 그의 인품이 훌륭했고, 충성심과 의로움이 강한 인물로 묘사되고 있었으며, 후자 부문에서는 문재가 탁월한 인물로 그려지고 있었다. 김경천에 주목한 또 다른 이유는 경상북도 북부지방과 중부지방 문사들의 교유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었으며, 특히 사대부가 아닌 중인 출신의 사마(司馬)가 이거해 왔을 때 지역 문사들이 어떻게 대응하였는가를 살펴볼 수 있는 흔치않은 기회였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한시를 통해 본 하동 花開 茶의 제 양상

        조해훈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2

        Many writers and monks of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in particular, leave a poem about the story of the Hadong Hwagae Tea. Just in November last year, Hwagae Tea were listed as one of the world's major agricultural heritage.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how Hwagae's design difference is depicted in the works. According to the original works, Hwagae tableware was a true tea for the king. In addition, the early tea master who established the theory of Korean tea testified in Dongdasong that the Hwagae area had the largest tea field of the Joseon Dynasty in terms of its size. It was also noted that the Hwagae tea served as a tool for Buddhist monks in Chilbulsa Temple and Hwagae area. The residents of Hwagae, where the tea is produced, were also suffering greatly from heavy tea taxes. The writers and monks enriched the nation's literature by creating a new literary genre called 'tea poetry' by writing a poem about tea. Through their comeback, they were able to guess not only the times of the day but also what their reasons were. In the meantime, tea consumption in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when Buddhism was reduced due to the encouragement of Buddhism, continued to exist, especially with temples. This is because the tea developed into a maze that was inseparably related to the road. The Hwagae region was able to have a status from ancient times as a region of working tea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region, it would not be able to produce the most crops except for the production of Hwagae-dong. Therefore, most of Hwagae is still operated as a wild tea field.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많은 문사와 승려들이 특이하게도 하동 화개 차에 대한 한시를 남기고 있다. 마침 지난 해 11월 하동차가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를 계기로 한시 작품들 속에서 화개 차가 어떤 양상으로 묘사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한시 작품들에 따르면 화개 차는 임금에게 진상하던 차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다론(茶論)을 정립한 초의선사는 『동다송』에서 화개 지역에 규모면에서 조선시대 최대 차밭이 있었다고 증언하고 있다. 또 화개 차는 칠불사와 화개지역 암자에서 수행하는 승려들에게 수행 매개물로서의 기능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차를 생산하는 화개지역 백성들은 과중한 차 세금으로 엄청난 고통을 당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문사들과 승려들은 차와 관련된 한시를 지음으로써 ‘다시’(茶詩)라는 새로운 문학 장르를 개척하여 우리나라 문학을 더욱 풍성하게 하였다. 그들의 다시를 통해서 당시의 시대상은 물론 그들의 사유는 어떠하였는지를 짐작해볼 수 있었다. 한편 불교의 장려로 인해 차의 소비가 많았던 고려시대는 물론, 불교가 다소 위축되었던 조선시대에도 특히 사찰을 중심으로 화개 차의 명맥이 이어져 왔다. 이러한 데는 차가 선수행과 불가분의 관계인 선다일미(禪茶一味)로 발전했기 때문이다. 화개지역이 차의 산지로 고대로부터 위상을 가질 수 있었던 데는 지역의 자연환경 특성상 화개동천 좌우로 지리산 산록 형지여서 작설차 생산 외에 다른 작물을 재배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차 재배지로서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도 화개의 대부분 산록은 야생 차밭으로 운영되고 있다.

      • KCI등재

        농수 최천익의 詩에 나타난 交遊 양상

        조해훈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1 No.-

        18세기에 경상도 興海지역에서 鄕吏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詩才가 뛰어난 農叟崔天翼(1712∼1779)은 진사시에 합격한 후 고향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시를 지었다. 바다와 가까운 궁벽한 시골에서 생활하였지만 그는 교유에 아주 적극적이었는데, 이는 자신이 창작하는 시의 지평을 넓히고 詩作에 도움을 받기 위함이었다. 가까운 경주지역만 하여도 문사들이 여럿 있었으나, 흥해에서는 유일하다시피 한 시인이었으므로 향리에 묻혀서 시를 짓기만 하면 그야말로 拙詩만 양산하지 않을까라는 우려가 컸던 것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이유는 비록 자신의 신분이 중인이지만 아무나 합격할 수 없는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시까지 잘 짓는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자부심도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자신이 살고 있는 고을 및 인근지역에 부임해온 관리들과 경주와 울산 등지의 문사들, 그리고 내연산 보경사의 암자에 기거하는 승려 등 많은 사람들과 시와 편지 등을 주고받으며 교유를 하였다. 그의 일생은 이러한 교유 관계 속에 씨줄과 날줄처럼 얽혀 있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그의 시가 더욱 융숭할 수 있었던 것이다. Heunghae(興海) in the region is Nong-Su(農叟) Choi, Cheon Ik(崔天翼, 1712∼1779) from local officials he was the son of the talent to write a poem is excellent. He passed the Jinsha(進士)-examination after teaching the students in her hometown and built a poetry. Nong-Su lived in an out-of-the-way place, but he was very active in social intercourse. It is helping to write a poem and broaden the horizons to create their own strategy for receiving, or devices. Heunghae area where he write poems only brimming, so poets buried in his hometown in the poetry with a lower level of concern they can build what was big. Another reason is pride was huge progress. It is his Jinsha-examination pass and to write the poetry well. He was appointed officials to come to town and nearby areas and race and living in Ulsan(울산) and other places, poets, and Naeyeonsan(내연산) of sheltering at a temple priests and many others and played his poetry and social intercourse and send and receive letters. His life was full of these intertwined with that, like a line of latitude and longitude on the association can be seen. Through this, his poetry more deep.

      • KCI등재

        한림(漢林) 정수봉(鄭樹鳳) 선생의 선현들의 말씀에 대한 인식

        조해훈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2

        경남 남해에서 가장 명망이 높은 가계에서 출생한 한림 정수봉 전 동아대학교 총장은 가풍으로 어릴 적부터 서당에 다녔으며, 고전에 대한 지식이 상당하였다고 평가받았다. 경남중·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부친이 설립한 동아대 법률학과에 진학하여 1952년 졸업하였다. 이후 내무부에 들어가 혼란스런 정국에서 나라의 행정체계를 바로 세우기 위하여 헌신하다가 동아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였다. 교무처장과 부총장 등의 보직을 거쳐 동아대학교 제2대 총장에 취임하여 3·4대 총장과 재단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그런 한림 선생은 동아대학교의 입학식과 졸업식 등을 비롯해 외부 행사에서도 많은 연설을 하였다. 그 연설들에서 적절하게 사서오경이나 퇴계 이황의 문집 등에 있는 말씀들을 인용하여 가르침을 주었다. 단순히 사자성어를 한두 번 인용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공식적인 자리에서든 사석에서든 선현들의 말씀이 들어있는 문장들을 통째로 인용하기도 하였다. 그는 오랫동안 동아대를 발전 성장시키는 데 혼신의 힘을 다 바쳤지만 내면적으로 평생 추구한 것은 수양을 통한 이른바 수기치인이었으며, 효를 매우 소중한 가치로 여겼다. 한림 선생은 평소에 과묵하기로 소문이 나 있었으나 스스로 판단해 학교발전에 도움이 되겠다고 생각이 되면 무서울 정도로 추진력을 발휘하였다. 세계 유수의 대학들을 견학하면서 그 대학의 역사와 문화, 행정시스템 등을 파악하였던 그는 동아대를 성장시키기 위해 온갖 반대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승학캠퍼스와 동아대병원을 밀어붙여 지었다. 그 결과 동아대는 한수이남 최고 사립대학교라는 명성을 얻었다. 또한 대학을 키우는 데는 체육활동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일찍 간파하고 유망주들을 동아대로 데려와 각종 지원을 하며 훈련을 시킨 결과 우리나라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양정모 선수를 비롯해 하형주·조재기·문대성 등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을 배출하였다. 게다가 그는 동아대를 설립한 부친인 석당 정재환 선생의 뒤를 이어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재정립 시키는데도 세상을 버리기 전까지 애를 썼다. 한림 선생이 선현들의 말씀들을 인용해 학생과 교수, 시민들에게 이야기 한 그 바탕에 깔려 있는 ‘인식’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는 어릴 적부터 서당에 다니면서 천자문과 명심보감, 소학 등을 공부하여 군자와 소인의 차이, 공부의 목적과 방법, 수양과 처세 등 살면서 귀감이 될 내용들을 배웠다. 그래서 선현들의 말씀을 참조하여 살게 되면 제대로 된 삶을 영위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둘째, 한림 선생은 동아대학교 총장으로서, 그리고 여러 사회단체의 장으로서 연설을 하거나 이야기를 하면서 적절하게 선현들의 말씀을 대입시켜 설명함으로써 말하고자 하는 논점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셋째, 그가 특히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말씀들을 많이 인용하였다. 대학 시절의 수학 내용은 실제로 사회에 진출하여 학생들의 직업이나 대인관계 등에서 그대로 적용이 되므로, 선현들의 말씀 등을 대입시켜 설명을 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공감하도록 하였다. 그 역시 선현들의 말씀에서 벗어나지 않고, 그 말씀들이 일러주는 대로 평생을 살았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Former Dong-A University President Hanlim(漢林) Jeong Soo-bong(鄭樹鳳), who was born in the most prestigious family in Namhae(南海), Gyeongsangnam-do(慶尙南道), has been to Seodang(書堂) since childhood due to his family tradition, and was evaluated as having considerable knowledge of classics. After graduating from Gyeongnam Middle and High School, he went to the Department of Law at Dong-A University established by his father and graduated in 1952. After that, he entered the Ministry of Home Affairs(內務部) and devoted himself to establishing the country's administrative system in a chaotic political situation, and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at Dong-A University. After serving as the second president of Dong-A University, he served as the third and fourth president and the chairman of the foundation. Such a teacher Hanlim gave many speeches at external events, including the entrance ceremony and graduation ceremony of Dong-A University. In those speeches, he properly quoted the words in the writings of Sasa Ogyeong(四書五經) and Toegye(退溪) Yi Hwang(李滉) and taught them. It was not just a four-character idiom quote once or twice, but also a whole sentence containing the words of the ancestors, whether officially or privately. He devoted himself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Dong-A University for a long time, but what he pursued internally throughout his life was the so-called handicraft through training, and filial piety was considered very valuable. Teacher Hanlim was rumored to be quiet, but he showed frightening momentum when he judged himself and thought it would help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Having grasped the university's history, culture, and administrative system while touring the world's leading universities, he pushed ahead with Seunghak Campus and Dong-A University Hospital despite all kinds of opposition and difficulties to grow Dong-A University. As a result, Dong-A University gained a reputation as the best private university on the south side of Han Riv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importance of sports activities early and bringing promising athletes to Dong-A University to provide various support and training, they produced Olympic medalists such as Yang Jung-mo, Korea's first Olympic gold medalist, Ha Hyung-joo, Cho Jae-ki, and Moon Dae-sung. In addition, he tried to inherit and re-establish Korea's traditional culture after his father, Seokdang Jeong Jae-hwan, who founded Dong-A University, until he abandoned the world. Citing the words of the ancestors, Hanlim briefly summarizes the “recognition” underlying the story to students, professors, and citizens as follows. First, while studying Seodang from an early age, he studied Cheonjamun (千字文), Myeongsimbogam (明心寶鑑), Sohak (小學), etc. to lear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unty and the small, the purpose and method of study, training and attitude. Second, as the president of Dong-A University and as the head of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Hanlim was able to highlight the issue to be said by properly substituting and explaining the words of the ancestors. Third, he cited the words a lot, especially for students. Since the contents of mathematics in college actually entered society and were applied to students' job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tudents were able to sympathize more by substituting and explaining the words of the ancestors. He, too, is considered to have lived his whole life as the words tell him without departing from the words of the ancestors.

      • KCI등재

        한시에 나타난 선계(仙界)로서의 칠점산(七點山)

        조해훈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3 石堂論叢 Vol.0 No.57

        This dissertation were the Mt. Chiljeom which in NakTong River end lower edges of garments Kimhae(present Pusan GangSe-Gu) are how recognized are the writing which it investigates in the poet visitors at the time of Goryeo and Chosun Dynasty. The Mt. Chiljeom was the form where 7 peaks are floating above the water, 6 peaks disappear and now one bay they are remaining. The Mt. Chiljeom is right time important the Classical Poetry matter. When it followed in record and to this place ChamSi ascetic lived playing the kayakum. This mountain joined in and the be scenery with SamChaSu of being 'the place where ascetic live' they produced. And there was to Classical Poetry and it was recognized with 2 branches all. The first was recognized as subject matter of creation the Mt. Chiljeom, second was a recognition as actual ecdysis. At the time of Goryeo and Chosun Dynasty it will feel a hatred in politics the people who is not will reach, 'the place where ascetic live' dream it is a thing with the system which it escapes. It enters into a ‘the place where ascetic live’ from imagining or in a dream or oneself method but one-self becomes a ascetic, to the NakTong River estuary like being visible in the literature ‘the place where ascetic live’ which exists it is to be. Goryeo and Chosun Dynasty time the many poets seek the Mt. Chiljeom and it composed poems like this reason is big that share, is a possibility of seeing. 이 논문은 낙동강 끝자락인 김해(현 부산 강서구)에 있었던 七點山이 고려와 조선의 시인묵객들에게 어떻게 인식되었는가를 고찰한 글이다. 칠점산은 물 위에 일곱 개의 봉우리가 떠 있는 형상이었으며, 6개의 봉우리는 사리지고 지금은 한 개만 남아있다. 칠점산은 제영시의 주요 제재였다. 기록에 따르면 이곳에는 참시선인이 가야금을 타고 살았다. 칠점산은 입구인 삼차수와 더불어 선경지계의 풍광을 자아냈으며, 참시선인이 실재했던 곳으로 알려진 이곳은 한시 작품에 있어 두 가지로 분류가 된다. 첫째는 창작의 소재로서만 칠점산이 인식되었으며, 둘째는 超世的인 선계로서의 인식이었다. 고려와 조선시대 때 정치에 혐오를 느끼거나 자신의 뜻을 제대로 펼 수 없었던 사람들은 이를 벗어나는 장치로 선계를 꿈꾸었던 것이다. 상상 또는 꿈속에서 선계에 들어가거나 자신이 신선이 되는 방법을 택하였지만, 낙동강 하구에는 문헌에 보이는 것처럼 실재했던 선계가 있었던 것이다. 고려와 조선 시기 많은 시인들이 칠점산을 찾고 읊은 것은 이러한 이유도 큰 몫을 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시를 통해 본 하동 화개(花開) 다(茶)의 제 양상

        조해훈 ( Jo Hae-hun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2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많은 문사와 승려들이 특이하게도 하동 화개 차에 대한 한시를 남기고 있다. 마침 지난 해 11월 하동차가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를 계기로 한시 작품들 속에서 화개 차가 어떤 양상으로 묘사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한시 작품들에 따르면 화개 차는 임금에게 진상하던 차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다론(茶論)을 정립한 초의선사는 『동다송』에서 화개 지역에 규모면에서 조선시대 최대 차밭이 있었다고 증언하고 있다. 또 화개 차는 칠불사와 화개지역 암자에서 수행하는 승려들에게 수행 매개물로서의 기능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차를 생산하는 화개지역 백성들은 과중한 차 세금으로 엄청난 고통을 당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문사들과 승려들은 차와 관련된 한시를 지음으로써 ‘다시’(茶詩)라는 새로운 문학 장르를 개척하여 우리나라 문학을 더욱 풍성하게 하였다. 그들의 다시를 통해서 당시의 시대상은 물론 그들의 사유는 어떠하였는지를 짐작해볼 수 있었다. 한편 불교의 장려로 인해 차의 소비가 많았던 고려시대는 물론, 불교가 다소 위축되었던 조선시대에도 특히 사찰을 중심으로 화개 차의 명맥이 이어져 왔다. 이러한 데는 차가 선수행과 불가분의 관계인 선다일미(禪茶一味)로 발전했기 때문이다. 화개지역이 차의 산지로 고대로부터 위상을 가질 수 있었던 데는 지역의 자연환경 특성상 화개동천 좌우로 지리산 산록 형지여서 작설차 생산 외에 다른 작물을 재배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차 재배지로서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도 화개의 대부분 산록은 야생 차밭으로 운영되고 있다. Many writers and monks of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in particular, leave a poem about the story of the Hadong Hwagae Tea. Just in November last year, Hwagae Tea were listed as one of the world's major agricultural heritage.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how Hwagae's design difference is depicted in the works. According to the original works, Hwagae tableware was a true tea for the king. In addition, the early tea master who established the theory of Korean tea testified in Dongdasong that the Hwagae area had the largest tea field of the Joseon Dynasty in terms of its size. It was also noted that the Hwagae tea served as a tool for Buddhist monks in Chilbulsa Temple and Hwagae area. The residents of Hwagae, where the tea is produced, were also suffering greatly from heavy tea taxes. The writers and monks enriched the nation's literature by creating a new literary genre called 'tea poetry' by writing a poem about tea. Through their comeback, they were able to guess not only the times of the day but also what their reasons were. In the meantime, tea consumption in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when Buddhism was reduced due to the encouragement of Buddhism, continued to exist, especially with temples. This is because the tea developed into a maze that was inseparably related to the road. The Hwagae region was able to have a status from ancient times as a region of working tea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region, it would not be able to produce the most crops except for the production of Hwagae-dong. Therefore, most of Hwagae is still operated as a wild tea field.

      • KCI등재

        18세기 한시에 나타난 慶州司馬所의 성격

        조해훈(Jo, Hae Ho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4 동양한문학연구 Vol.39 No.-

        18세기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면서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되던 시기였다. 경상도 동남지역의 중심문화권이었던 경주에서는 이 시기에 많은 문인들이 활동을 했다. 특히 임진란 때 소실됐던 慶州司馬所가 1741년 중건되자 이곳을 근거지로 경주뿐 아니라 인근 지역 사마들까지 방문해 어울림으로써 詩作에도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사마소를 출입한 사마들이 남긴 문집 속의 시문을 분석해 경주사마소의 성격을 살폈다. 첫째는 생원ㆍ진사시에 합격한 사마들만이 출입할 수 있는 '自負의 공간'이었다. 둘째는 사마들이 여기에 와서 고뇌와 사유를 하는 '思惟의 공간'이었다. 셋째는 지역의 사마들뿐 아니라 타 지역의 사마들도 방문해 술을 마시며 수창을 하는 '交遊의 공간'이었던 것이다. 18Century is the time from the Middle Ages to modern times to transform. many poet In the KyeongJu worked on positive lines. Especially KyeongJuSaMaSo reconstruted in 1741. A large number of SaMa There-based mixed with the surrounding area SaMa. This thesis studied the character of KyeongJuSaMaSo thereby analyze the collection of SaMa's works. First were 'space of the pride'. Second were 'space of the thought'. Third were 'space of the friend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