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동통신용 삼중대역 안테나 설계

        조태선(Tae-Seon Jo),류동원(Dong-Won Ryu),김경록(Kyung-Lok Kim),이경민(Kyeong-Min Lee),김신후(Shin-Hoo Kim),강성운(Sung-Woon Kang),홍용표(Yong-Pyo Hong),김갑기(Kab-Ki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7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7 No.6

        본 논문에서는 LTE-A/UWB/Wi-Fi 주파수 대역에 적용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안테나의 기판은 FR-4(er=4.3)이고 크기는 40㎜ x 40㎜이며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단순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서 LTE-A/UWB/Wi-Fi의 대역인 2.1㎓, 3.26㎓ 와 5.36㎓의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갖도록 설계하였다 시뮬레이션은 CST Microwave Studio 2014을 사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이득은 2.1㎓일 때 2.1㏈, 3.26㎓일 때 1.5㏈, 5.36㎓일 때 2.6㏈이다. S-Parameter 또한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10㏈(WSWR2:1) 이하의 결과를 볼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 microstrip patch antenna is designed for LTE-A / UWB / Wi-Fi frequency band. The substrate of the proposed antenna is FR-4 (er = 4.3) and the size is 40㎜ x 40㎜. By using a microstrip patch antenna,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imple structure with a bandwidth of 2.1㎓, 3.26㎓ in LTE-A / UWB / And 5.36㎓ band. We used CST Microwave Studio 2014 for simula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gain is 2.1㏈ at 2.1㎓, 1.5㏈ at 3.26㎓ and 2.6㏈ at 5.36㎓. The S-parameter also showed a result of less than -10㏈ (WSWR2: 1) in the desired frequency band.

      • Prince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편곡 특징에 관한 연구

        조범진(Beom-Jin Jo),조태선(Tae-Seon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아티스트에게 음악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가의 여부는 상당히 중요하다. 현재 국내의 대형기획사는 치밀한 기획력과 자본을 바탕으로 음악적 정체성이 없는 아이돌이라는 문화 상품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자신의 사상과 정체성을 명확하게 드러냈던 아티스트 프린스를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의 음악적인 천재성과 독특함에 대한 많은 연구는 음악의 본질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자극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전문 음악교육을 위한 실용음악 정교사 자격증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조지훈(Ji-Hoon Jo),조태선(Tae-Seon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5

        TV 오디션 프로그램과 K-POP 열풍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많은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진로를 음악으로 정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학원이나 개인레슨을 통해 음악수업을 받았고, 이후 대학의 실용음악과에 진학하게 된다. 지원생들이 많아지면서 대학교 실용음악과의 경쟁률이 기형적으로 높아지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많은 학생들은 어린 나이부터 음악을 시작하였고, 학원 등 사교육 기관을 통해 음악을 배우게 되었다. 이후 실용음악 관련 고등학교가 생기기 시작하면서 고등학교를 실용음악 전문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하지만 실용음악 고등학교에도 큰 문제가 있었다. 바로 해당 음악을 전공한 전문교사를 찾기 힘들다는 점이었다. 이는 실용음악 전공자가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에서 비롯되었다. 교원 자격증을 취득 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실용음악 전공자가 선택 가능한 방법은 교육대학원을 졸업하는 방법뿐이다. 그런데 교육대학원은 클래식과 국악에 한정되어 있어 입학 자체도 어려운 상황이다. 입학을 하여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대부분이 클래식과 국악교육에 관련된 수업으로 구성되어 실용음악전공자들에겐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용음악 고등학교의 현재 상황과 정교사 2급 자격증이 왜 필요한지,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Many young people, who are most affected by TV audition programs and the K-pop craze, have begun to choose careers in music. They attended music classes through academies or took private lessons, and then went on to a college’s practical-music department. As the number of applicants increased, competition for university practical-music programs increased abnormally. As a result, many students then started learning music at an early age through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cademies. Afterwards, as high schools related to practical music began to appear, the number of students entering practical-music high school and technical schools increased. However, a big problem in practical-music high schools was difficulty in finding professional teachers who majored in music. This arose because it was difficult for someone with a practical-music major to acquire a full-time teaching certificate. There are many ways to obtain a teacher’s license, but the only option for practical-music majors is to graduate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owever, since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limited to classical and traditional music, admission itself is difficult. Even if someone is accepted by the school, most of the courses consist of classical music an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is very difficult for someone who majored in practical music. Therefore, in this thesis, we study the current situation in practical-music high schools, looking at why a regular Level 2 teaching certificate is needed and how to obtain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