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사료 내 β-Glucanase 활성이 강화된 복합효소제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혈청성분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조진국,정수진,주은정,최진영,김병석,윤병선,남기택,황성구,Cho, Jin-Kook,Jung, Soo-Jin,Joo, Eun-Jeong,Choi, Jin-Young,Kim, Byoung-Suk,Youn, Byeng-Sun,Nam, Ki-Taek,Hwang, Seong-Gu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Ross 208 종의 broiler 31,800수를 대조구와 복합 효소제 첨가구로 나누어 5주간에 걸쳐 대조구는 옥수수-대두박을 기초로 한 시판 육계사료를 급여하고, 시험구는 ${\beta}-glucanase$를 강화한 복합 효소제를 0.3% 첨가 급여하여 생산성과 혈청성분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기간 동안의 각 시험구의 증체량 및 사료 효율, 생산지수, 육성율을 측정하였고 무작위로 각 시험구당 20수를 선발하여 혈청 콜레스테롤 및 glucose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 ND와 IBD 항원을 음용 투여한 브로일러의 ND와 IBD에 대한 항체역가를 조사하였으며, 육질검사로 도체의 pH 및 육색, 가열감량, 보수력, 전단력을 측정하였다. 사육시험 결과, 0.3% 복합 효소제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평균체중 19%, 생산지수 6.8%, 사료효율 5.5%, 육성율 5%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복합 효소제 시험구는 대조구보다 혈청내 HDL-콜레스테롤 양을 증가시키고 glucose의 양을 감소시켰다. 육계 혈청 내 ND 및 IBD 항원에 대한 항체역가도 복합 효소제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높았다. 육질검사에 있어서는 복합 효소제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육색과 전단력은 차이가 없었으나 보수력(p<0.05)과 가열감량이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beta}-glucanase$ 활성을 강화한 복합 효소제의 첨가 급여는, 육계의 생산성과 혈청성분과 면역기능과 육질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enzyme mixture fortified with ${\beta}-glucanase$ on the growth performance, serum components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s. 31,800 Ross 208 male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into 2 groups, the control and 0.3% enzyme diet with ${\beta}-glucanase$ supplementation groups. Control group chicks were fed the control (corn-soybean meal based) diet and the treatment group chicks were fed the 0.3% enzyme mixture supplemented with ${\beta}-glucanase$. The growth performance, serum components and meat qualities such as pH, color, water holding capacity, cooking loss, and shearing force of mea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performance of chicks fed the 0.3% enzyme mixture diet were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as much as 5% in growth rate, 19% in average weight, 6.8% in performance index, and 5.5% in feed efficienc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uscle color degrees ($L^*a^*b^*$) and shearing for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water holding capacity and cooking los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p<0.05). The antibody titers in serum against the antigens of Newcastle disease and Infectious Bursal disease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ltogether, these suggest that the broiler diet containing 0.3% enzyme mixture fortified with ${\beta}-glucanase$ activity can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immune reaction,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s.

      • 천연의 점토광물질 발효산물 급여에 의한 친환경 고품질 원료돈육 생산

        조진국,양승학,황성구,Cho, Jin Kook,Yang, Seung Hak,Hwang, Seong Gu 한국축산환경학회 201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8 No.suppl.

        축산물 생산은 집약적 사육환경으로 인한 각종 병원균이 내재한 가운데 이루어지고 있어 항생제 및 각종 사료첨가제등의 사용이 날로 증가해왔다. 한편, 축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농축산물 생산에 있어서 안전성 확보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특수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복합미량원소(Se, Ge, Zn, S)를 강화시킨 점토광물질 발효 산물이 돈육의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동물은 Large White와 Yorkshire 교잡종 80두를 대조구와 실험구로 임의 배치해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점토광물질 발효산물을 사료 내 0.3% 첨가 급여했을 때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 사료효율, 도체의 pH, 육색의 명도와 대퇴부의 밝기 등은 일반사료를 급여한 군과 비슷하였으나, 지육율은 2.7%, 도체육의 적색도는 12%, 보수력은 10% 개선되고 가열감량은 6% 감소하였다. 또한 면역기능조절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비육돈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 내 말초혈액단핵세포의 증식 및 cytokine 분비 능을 조사한 결과, PBMC는 증식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LPS와 Con A를 처리하였을 때 대조구에 비해 더욱 뚜렷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ytokine의 분비량도 TNF-${\alpha}$의 경우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양이온 치환능력이 높고 원적외선 수치가 높은 점토광물 발효산물을 급여함으로써 면역능력이 강화되어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전성 높은 고품질 친환경 돈육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clay mineral fortified with complex trace elements by specific fermentation microbes on growth performance and a quality of pork in this study. For the declared experimental animal, 80 heads of crossbred with Large White and Yorkshire were randomly splitted into a control group and a test group. Each group were assigned with 4 replicates and 10 heads of each replicate. When 0.3% of the fermentation product of the clay mineral (FCM) was added into feed stuff and fed for 9 weeks of experimental feeding period, the results of the feed intake, weight gains, pH of carcass, lightness of meat color, and brightness of the muscle semimembranosu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dressing percentage, reddishness of carcass, and water holding capacity were improved, respectively, as much as 2.7%, 12%, and 10%, and reduced by 6% in cooking los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mune modulatory effect of fermented clay mineral, ph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were isolated and Immune modulatory parameters were measured. The proliferation activity of PBMC from pigs fed the fermented clay minera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control group pigs, and also those results were more clearly observed as activated with lipopolysaccharide and concanavaline A. The secretion of TNF-${\alpha}$ of the FCM group pigs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feeding of FCM which was high in cation metathesis and the value of infrared ray, activated the immune responses, and thus the production of the environment-friendly high quality pork without the use of antibiotics would be possibl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 활성을 이용한 냉장우육과 냉동우육의 판별법 개발

        한규호(Kyu-Ho Han),김남규(Nam-Kyu Kim),이시경(Si-Kyung Lee),조진국(Jin-Kook Cho),최강덕(Kang-Duk Choi),전유진(You-Jin Jeon),이치호(Chi-H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10

        본 연구는 냉장우육과 냉동우육의 판별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한우 육을 부위별(사태, 등심, 우둔, 양지)로 구입하고 냉장(4±1℃), 냉동(-4, -18, -77℃)상태로 15일 저장하면서 압착육즙채취기를 이용하여 근육 세포내 mitochondria 막에 존재하는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 활성 특성을 비교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실험을 위하여 제작된 압착육즙채취기를 이용하여 정량적인 압착 육즙을 얻을 수 있었고, 1.5 g의 우육을 이용하였을 때 0.15 mL의 압착육즙을 얻었다. 냉장우육과 냉동우육 간의 mitochondral malate dehydrogenase의 각 부위별 활성은 사태의 경우 냉장우육은 23.63 Unit/mL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4℃는 20.91 Unit/mL, -18℃는 26.43 Unit/mL 그리고 -77℃는 25.90 Unit/mL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동일한 부위에서 저장온도에 따른 효소의 활성도는 냉장우육보다 -4℃를 제외한 냉동 저장 온도(-18, -77℃)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효소의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동일한 저장 온도에서 각 부위 간에 활성의 차이점은 -77℃에서 냉동 저장한 우육이 유의적 차이 없이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고, -77℃ 저장온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성 있는 변화량을 나타내었다(p<0.05). 실험군의 압착육즙 내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의 활성은 10분간 흡광도 변화량을 조사함으로써 계산되었다. 등심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효소반응개시 3분 후에 -4℃에서 동결우육을 제외하고 동결우육의 효소 활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5분 반응 후에는 그 효소의 활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냉장우육은 12분까지 활성을 측정할 수 있었다. 15일간 냉장우육 및 냉동우육을 저장 온도에 따라 저장하면서 그 활성을 측정하였는데, 저장 기간이 길어져도 그 효소 활성의 차이는 유의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모든 실험군(사태, 등심, 양지, 우둔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유사한 활성을 유지하였다(p<0.05).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의 활성을 이용하여 냉장우육과 냉동우육 유무를 판별하는데 유효한 지표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ethod for differentiating fresh meat from frozen meat by using the measurement of the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 in the Korean native cattle. The principle of this experiment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enzyme proteins associated with mitochondria membrane could be released by freezing. The methods of differentiating fresh meat from thawed, frozen meat were studied by measurements of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 activity of meat press juice. Fresh and frozen beef were stored at 4, -4, -18 and -77℃ for 15-day storage period. A meat press machine using air pressure was manufactured especially for these experiments, and sufficient amount of drip (about 0.15 mL/g) from 1.5 g of beef sample was efficiently obtained under a pressure of 8 kg/cm2 generated by the meat pressing machine. The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 activities of frozen meat drip juices stored at -18 and -77℃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resh and frozen meat samples at -4℃ (p <0.05) during 10-min reaction period. However, the enzyme activities of the frozen meat drip juices (-18 and -77℃) disappeared after 5 minutes of the reaction, which was not observed from the fresh and -4℃ frozen meats. The enzyme activity maintained until 12 minutes for the fresh and -4℃ frozen meats. From these results, the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 could be considered as an indicator to differentiate fresh beef from frozen on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인유의 막성분중에서 검출되는 새로운 Ca2+ - ATPase

        조진국,관야장우공문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1997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지 Vol.15 No.2

        Calcium-stimulated ATPase (Ca^(2+)-ATPase) which has optimal pH value at 7.0 was found in the membrane fraction of human milk, and its enzymatic properties were studied. The purified Ca^(2+)-ATPase required 0.45 mM Ca ion for maximal activity. Among the nucleosides, Ca^(2+)-ATPase showed a higher substrate specificity to ATP and UTP than to CTP and GTP. Ca^(2+)-ATPase had apparent Km value of 0.065, and Vmax of 7.63 mol ATP hydrolyzed/㎎ protein per min, respectively. Ca^(2+)-ATPase was potently inhibited by lanthanide, vanadate, and p-chloromercuribenzoate, and inactivated by EDTA, and CDTA and EGTA, but were unaffected by N-ethylm-aleimide, NaN₃, ouabain, or oligomycin, and was completely inactivated by heating at 60℃ for 10 min. This enzyme activity was concentrated in the membrane fraction of the cream and skim milk membrane, but not founded in bovine milk.

      • 인유에서 발견된 Ca²-ATPase의 효소학적 특성과 기능

        조진국 건국대학교 동물자원연구센터 1998 動物資源硏究誌 Vol.19 No.-

        인유지방구막(milk fat globule membrane)획분에서 검출되는Ca²+감수성 ATPase(Ca²+)를 부분정제하여 효소학적 특성과 기능을 관찰하였다. 본 효소는 인유로부터 추출한 조효소획분을 DEAE-Sepharose chromatography와 Con A-Sepharose chromatography로 분리하고, TSK-DEAE 5pw HPLC로 부분정제하였다. 정제한 Ca²+-ATPase의 비활성은 출발시료인 buttermilk에 비해 약 65배로 정제되었고, SDS-PAGE에서 나타난 주요 구성 peptides는 80kDa과 38kDa의 단백질이었다. 본Ca²+-ATPase의 최대활성에는 0.45mM Ca²+을 필요로 하였으며, 최적 pHsms 7.0이었다. Liposome에 재구성한 Ca²+-ATPase는 liposome안으로 Ca²+을 1mM ATPase의 존재 하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여 20분에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80kDa과 38kDa의 단백질은 Ca²+ 존재 하에 [γ-32P]ATP에 의해 인산화 되었고, EGTA와 Vanadate를 첨가하였을 때는 인산화 중간체를 형성하지 않았다. 또, 형성된 인산화 중간체는 hydroxylamine에 의하여 소실되지 않아 기존의 Ca²+ pumping ATPase와는 다른 ATPase인 것이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인유의 Ca²+-ATPase는 기능발현에 Ca²+ ATP를 요구하는 P type의 ATPase로서 Ca²+수송하는 것으로 밝혀�병� 그러나, 이 효소의 분자량이나 Ca²+ 수송율과 인산화 반응의 특성은 기존에 알려진 적혈구나 근소포체에 존재하는 Ca²+-ATPase와 차이점이 있어 새로운 효소인 것이 시사되었다. Ca²+ stimulated ATPase(Ca²+-ATPase) found in human milk fat globule was partially purified, and its enzymatic properties and function were studied. The crude Ca²+-ATPase fraction was extracted from human milk by 1% Tween 20, and then further copurifed by DEAE chromatography, Con A-Sepharose chromatography and TSK-DEAE 5pw HPLC. Specific activity of the purified Ca²+-ATPase was higher by 65 fold than that f buttermilk. The major components of purified Ca²+-ATPase was estimated to be 80kDa and 38kDa peptides with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purified Ca²+-ATPase required 0.45mM Ca²+ for its maximal activity, and showed optimal pH value at 7.0. Ca²+-ATPase reconstituted in liposome transported Ca²+ in to inside in the presence of 1mM ATP, and its maximum Ca²+ uptake was reached at 20 min. 80kDa and 38kDa peptides were phosphorylated with [γ-P] ATP in the presence of Ca²+, but both peptide were not phosphorylated when treated with 1mM EGTA or vanadate. The phosphorylated intermediates were not disappeared by hydroxylamine, it was distingushed from previous Ca²+pumping ATPases in erythrocyte or sarcoplasmic reticul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²+-ATPase in human milk requires Ca²+ and ATP for its functional role, and it is a new kind of P type ATPase which forms phosphorylated intermedi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