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이익조정이 재무분석가의 허딩에 미치는 영향

        최수영 ( Su Young Choi ),조정은 ( Jung Eun Cho ),이상수 ( Sang Soo Lee ),고재민 ( Jai Min Goh ) 한국회계학회 2012 회계저널 Vol.21 No.6

        재무분석가는 이익 예측에 대한 확신이 없을 경우, 자신의 부족한 예측 능력을 노출하지 않기 위해 먼저 발표된 동료 재무분석가 혹은 베스트 재무분석가의 예측합의치에 근접한 예측치를 발표하는 허딩(herding) 경향을 가지게 된다. 반면 재무분석가는 자신의 동료 재무분석가 혹은 베스트 재무분석가와 차별화된 예측치를 발표하기 위해 허딩이 감소할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재무분석가의 허딩과 관련한 상반된 논의를 바탕으로, 경영자의 이익조정이 재무분석가의 허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발생액 이익조정은 재무분석가의 허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실제 이익조정은 시장의 예측합의치 및 베스트 재무분석가 합의치로의 허딩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는 불확실한 정보 환경에서 재무분석가들이 부정확한 예측치 발표에 대한 부담이 감소하여, 자신의 사적 정보를 바탕으로 예측하기 때문에 허딩 경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나아가 적자회피를 위해 이익조정을 한 것으로 의심되는 기업의 경우, 실제 이익조정이 재무분석가의 허딩을 더 큰 폭으로 감소시켰다.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의 허딩 경향을 통해 두 가지 이익조정 수단의 불확실성을 비교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비정상적인 영업 활동을 의미하는 실제 이익조정은 외부에서 관찰하거나 해석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순히 장부상 이익을 가공하는 발생액 이익조정보다 불확실성이 더 크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이익조정으로 인한 정보의 불확실성이 재무분석가로 하여금 자신의 사적 정보를 반영한 소신 있는 예측치를 발표하게 만들었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When financial analysts are not certain of their earnings forecasts, they tend to make forecasts close to consensus of other analysts and/or best analysts in order to hide their incompetent forecasting ability. This behavior is so-called ``herding`` in analysts` forecast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analysts are more likely to decrease their herding behavior to release earnings forecast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the consensus of the capital market and/or best analysts by using their private information. Based on these two conflicting opinions, we examine how two earnings management methods affect analysts` herding behavior. The results show that real earnings management significantly reduce herding behavior, whereas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herding behavior. This results suggest that in uncertain information environment, analysts are less worried about making inaccurate forecasts and release bold forecasts using their private information, resulting in decrease of herding behavior. In addition, for firms which are suspected to have managed earnings to avoid losses, real earnings management shows more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herding behavior. This paper makes a direct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and comparing the degree of information uncertainty between the two earnings management methods by investigating analysts` herding behavior. Real earnings management implies abnormal operational activities and brings about higher information uncertainty than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which merely manages accounting income, because it has lower probability of being detected or analyzed by external auditors and regulatory bodies.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evidence that information uncertainty arisen from real earnings management influences financial analysts to make bold forecasts by using their private information.

      • KCI등재

        기업분리의 단기성과: 분리설립과 분리매각의 비교

        조정일,심한택 대한경영학회 2005 大韓經營學會誌 Vol.18 No.1

        Firms generally increase focus by spinning off unrelated divisions to their own shareholders and by selling unrelated assets to others. However, sell-offs is often motivated by liquidity constraint or paying down debt. Thus, both types of divestitures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share prices of a parent and spin-offs outperform sell-offs because of higher increase in focus comparing to sell-off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ivestitures on share prices and further to provide evidence on association between increase in focus and the stock market performance. Ou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spin-offs and sell-offs have significantly positive abnormal returns around the announcement day. Second, spin-offs is higher than sell-offs in cumulative abnormal returns until the announcement day. Third,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s is higher for the focus-increasing spin-offs and non-focus- increasing sell-offs. Thus, the result suggests that spin-offs is consistent with the focusing hypothesis but sell-offs is rather consistent with the financing hypothesis. Finally, the result is confirmed by cross-sectional regression. 기업분리는 일반적으로 집중화 가설(focusing hypothesis)로 설명되어진다. 분리설립은 비효율적인 사업부문을 분리하여 독립된 회사로 운영함으로써 기업의 사업집중화를 도모하고 분리매각은 비효율적 자산이 높은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으로 전환되어 사업집중화를 도모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분리매각의 경우 재무적 곤경(financial distress)을 회피하여 기업의 재무구조의 건실화를 추구하는 방법의 하나로 분리매각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긍정적 정보로 인해 공시일 부근에서는 양(+)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날 것이다. 또한 분리매각은 재무적 곤경으로 인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음(-)의 초과수익률을 갖는 이후에 이루어지며 분리설립의 공시효과가 분리매각 보다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본 연구는 분리설립과 분리매각의 단기성과인 공시효과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기업분리의 단기성과와 사업집중화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업집중화의 증감에 따라 분리설립과 분리매각을 분류하고 단기성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분리 공시일을 전후 61일간의 주가반응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사건연구방법의 하나인 시장-위험조정모형을 이용하였다. 기업분리 이후 사업집중화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업부 내지는 제품라인별 매출액을 기준 Herfindahl지수를 산출하였다.1997년~2002년 동안에 공시된 31건의 분리설립과 37건의 분리매각에 대한 평균초과수익률을 검증한 결과 분리설립은 공시일 기준 -10일에서 유의적인 양(+)의 초과수익률이 분리매각은 공시일 부근에서 유의적인 양(+)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났다. 공시일 이전의 누적평균초과수익률에서는 분리설립의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분리매각은 음(-)의 초과수익률을 그리고 분리설립은 양(+)의 초과수익률을 갖는 기간 이후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었다.분리설립은 분리 이후 사업집중화가 증가한 경우와 증가하지 않은 경우 차이를 보였으며, 따라서 집중화된 분리설립의 공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분리매각은 비집중화된 분리매각의 공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분리설립은 집중화 가설이 분리매각은 재무적 가설이 더 타당하다는 실증적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누적평균초과수익률에 대한 횡단면 회귀분석 결과 분리설립에서는 Herfindahl지수가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보였다. 이에 반해 분리매각에서는 부채비율이 유의적인 음(-)의 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

        재무분석가 수가 수시공시의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고재민,조정,김동하 한국회계정책학회 2012 회계와 정책연구 Vol.17 No.3

        Because analysts provide various earnings forecasts information to the markets' participants, they serve as external monitors to managers and control managers'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However, discretionary accruals that have been used to measure earnings management in prior studies have some potential problems in that the measure reflects auditors' opinions as well as managers' argumen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for discretionary accrual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nalysts' forecasting activities effectively monitor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by using ‘earnings correction’ (a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the audited income).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firms followed by more analysts have smaller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income and that they are less likely to violate regulations regarding preliminary earnings disclosure. This suggests that firms with high analyst coverage have stronger monitoring functions and effectively prevent managers'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In addition, we investigate whether stock market reaction for overstated or understated preliminary earnings diff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to understand the cause for managers' behavior. We find that the preliminary earnings have significantly negative market reactions when firms followed by more analysts have larger magnitude of overstated or understated preliminary earnings. This implies that analysts recognize firms' overstated or understated preliminary earnings, and penalize these firms by showing negative market reactions. This study has following contributions:we measure managers' argument by using preliminary earnings which do not include auditors' opinions, and empirically show that analysts serve as external monitors to managers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income. Also, it suggests that analysts perform an important role in corporate governance by monitoring managers' financial reporting behavior. 재무분석가는 일반투자자들보다 상대적으로 우월한 정보수집 및 분석 능력을 바탕으로 기업에 대한 다양한 이익예측 정보를 산출하고 시장에 제공하기 때문에,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조정행위를 억제하는 효과적인 외부감시주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이익조정의 측정치로 사용한 재량적 발생액은 감사 후의 재무제표를 이용하기 때문에 경영자의 주장 뿐 아니라 외부 감사인의 의견이 동시에 반영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재량적 발생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경영자의 주장만을 반영하는 수시공시의 잠정이익과 외부감사인의 의견이 반영된 결산이익의 차이를 통하여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활동이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위를 효과적으로 감시하는지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재무분석가의 수가 증가할수록 잠정이익과 결산이익의 차이가 감소하였으며 수시공시 규정도 더욱 충실히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많은 재무분석가들이 이익예측치를 발표하는 기업일수록 해당 기업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이 강화되어,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조정 행위를 억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영자의 행위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재무분석가 수에 따라 잠정이익과 결산이익간의 차이가 클 경우 잠정이익에 대한 주가 반응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재무분석가 수가 많은 기업이 잠정이익과 결산이익의 차이가 클수록 잠정이익에 대한 주가반응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무분석가의 수가 많은 기업이 잠정이익을 과대공시하거나 과소공시 할 경우 재무분석가들이 이를 인지하고 주가에 반영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재무분석가의 수가 많을수록 경영자는 재무분석가들의 강한 모니터링 기능을 의식하여 기회주의적 이익조정 행위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외부 감사의 결과가 반영되지 않은 수시공시의 잠정이익을 사용하여 경영자의 주장을 측정하였고, 잠정이익과 감사 후의 결산이익의 차이를 통하여 재무분석가가 경영자를 효율적으로 감시하고 통제하는지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재무분석가의 수가 증가할수록 경영자의 재무보고 행위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재무분석가가 기업의 지배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조세계획의 수단으로서의 영업외손익 항목 조정에 대한 연구

        최원욱,이현아,조정 한국세무학회 2014 세무학 연구 Vol.31 No.3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irms manage non-operating income for tax planning purposes. Since non-operating income has lower persistence and lower impact on stock price than operating income, companies with high tax burden have incentive to decrease tax expenses by reducing non-operating income. Also, firms are likely to decrease temporary non-operating income, which excludes non-operating income items with high persistence such as interest revenue, interest expense, rent revenue, and dividend income, in order to have lower tax expense. Thus, we investigate whether firms that have higher tax expenses reduce temporary non-operating income as well as non-operating income. We find following empirical results. First, increase in tax expenses results in decline in non-operating income and temporary non-operating income. This suggests that companies with high tax burden try to decrease taxable income by managing non-operating income which is known to have lower persistence than operating income. Further, as the difference for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between the past operating income and non-operating income increases, firms reduce more temporary non-operating income as well as non-operating income in order to reduce tax expenses. Since market perceives operating income to have relatively higher persistence, and non-operating income to have relatively lower persistence, firms with high tax burden are more likely to decrease non-operating income as the difference for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increases. This study makes a direct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operating income and non-operating income for tax planning purpose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s that companies can use non-operating income for their tax planning and that the degree of managing non-operating income for tax planning may differ in response to the market’s perceptions regarding the relative persistence of operating and non-operating income. 본 연구는 기업이 조세계획의 수단으로 영업외손익의 조정을 이용하는지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간의 정합성이 높고 적극적인 조세회피 수단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조세계획은 회계 선택을 통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러한 조세계획은 회계이익의 감소를 동반하여 주가의 하락과 같은 재무보고비용의 증가를 동반하게 되므로 조세부담이 큰 기업은 영업손익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속성이 낮고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영업외손익 항목을 조정하여 조세비용을 감소시킬 유인이 존재한다. 특히, 과거 영업손익과 영업외손익에 대한 이익반응계수의 차이가 큰 기업일수록 이러한 현상은 더욱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11년도까지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조세비용과 영업외손익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영업외손익 중 세무 상 부인되어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항목은 제외하였다. 또한, 영업외손익 항목 중에서도 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이자수익과 이자비용, 임대료 및 배당금수익을 제외한 일시적 영업외손익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세비용이 증가할수록 영업외손익 및 일시적 영업외손익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들이 조세부담의 해소를 위하여 영업외손익을 조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과거 영업손익과 영업외손익에 대한 이익반응계수의 차이가 클수록 조세비용에 따른 영업외손익 및 일시적 영업외손익은 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에서 영업손익과 영업외손익 간의 지속성 차이를 크게 평가하는 기업일수록 영업외손익을 조세계획의 수단으로서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조세계획의 관점에서 영업손익과 영업외손익 항목이 지닌 차별성을 고찰하였다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세무보고와 재무보고의 산정체계가 밀접하고 적극적인 조세회피가 어려운 우리나라의 세무․회계 환경에서 영업외손익 항목이 조세계획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개별기업의 손익 항목의 지속성에 대한 시장의 평가에 따라 조세계획을 위한 영업외손익의 조정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공헌점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Escherichia coli의 Glutamine Synthetase와 Acetate Kinase에 의한 Glutamine 생산

        조정일 한국식품영양학회 199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6 No.3

        Glutamate로부터 glutamine으로 전환하는 효소인 glutamine synthetase는 cofactor로서 ATP를 요구하는 endergonic reaction이므로, glutamine 전환반응에 요되는 ATP의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서 acetate kinase에 의한 ATP 생성계를 도입하였다. Glutamine synthetase의 효소윈으로 사용된 미생물은 glutamine synthetase의 활성이 강화된 E. coli K-12로 부터 사용하였으며, acetate kinase는 E. coli K-12로 부터 부분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Acetate kinase에 의한 ATP 생성계를 도입한 glutamine 전환반응의 최적조건은 100mM glutamate, 100mM NH_4Cl, 50mM acetyl phosphate, 5mM ADP, 40mM MgCl_2, 30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7.5) 5mM MnCl_2, 70units/㎖ glutamine synthetase, 99units/㎖ acetate inase이었으며, 상기의 최족조건하에서 6시간째 98%의 최대전환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생산량은 14.3g/ℓ 이었다. The conversion of glutamate by glutamine synthetase is the endergonic reaction that demands ATP as its energy source. In order to supply efficiently ATP that is demanded in the conversion of glutamate to glutamine. the ATP-generating system by acetate kinase partially purified from Escherichia coli K-12 was coupled with glutamine synthetase partially purified E. coli K-12 Pgln6. The optinum conditions of the coupled reaction were investigated. As the result, the highest conversion of glutamate to glutamine was shown in the reaction mixture containing 100mM glutamate, 100mM NH_4Cl, 50mM acetyl phosphate, 5mM ADP, 40mM MgCl_2, 30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5), 5mM MnCl_2. Under this condition,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s of enzyme were 70unit/m Q. glutamine synthetase and 99unit/㎖ acetate kinase. Under the optinum conditions, 98% of 100mM glutamate was converted to glutamine within 6 hours.

      • KCI등재

        인간의 성대조직에서 자율신경 전달물질의 분포

        조정일,박정선,김영모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1999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10 No.1

        The vocal fold has three major function-phonation, respiration and protection, and is richly innervated. The vocal 1314 its autonomic innervation-adrenergic and cholinergic from superior cervical ganglion and the vagus nerve, respectively. The action of both system account for vasoregulation and glandular activity. In e vocal fold several kin of neuropeptides, including SP, CGRP, VIP, TH, NPY, ENK have been reported at the animal including cat or dog. But information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autonomic nerve fibers containing neuropeptides in the human vocal fold is lacking. Two neuropeptides are of special interest : 1)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VIP)that is known to be contained in the parasympathetic(cholinergic) neuron. 2) tyrosine hydroxylase(TH)is located in the cytoplasm of noradrenergic neuron and is the rate-limiting enzyme in noradrenaline synthesis. To understand specific autonomic function of vocal fold we did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of VIP and TH in the human vocal fold.

      • 순환학습과 STS를 강조한 현직 교육을 통한 구성주의 행동과 신념의 변화 연구

        조정일,윤수미 全南大學校 師範大學 科學敎育硏究所 2003 科學敎育硏究誌 Vol.27 No.1

        Fourteen secondary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where teachers developed learning cycle modules within the context of constructivist strategies and STS approach. They implemented the modules into their classrooms. Four of the teachers continued to revise the modules and apply them into their classrooms, and took videotapes of their classes for reflective thought. Two questionnaires, the Constructivist Leaming Environment Survey(CLES), and the Science Education Reform Inventory(SERI) were administered to all of the 14 teachers in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and after the winter session. For the videotape recording analysis, Secondary Science Teacher Analysis Matrix(SSTAM) was used. A significant change was made in terms of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between pre- and post-surveys.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ranged among conceptual, transitional and early constructivist levels based upon SSTAM scales. Even though no comparison was made with the teach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it was assumed that the participants' teaching strategies improved toward constructivist ones.

      • KCI등재

        고정화 미생물에 의한 뉴크레오타이드 생산

        조정일,정승원 한국수산학회 199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4 No.2

        5'-XMP의 효소적 전환에 의한 효율적인 5'-GMP의 생산을 위하여 동결 건조한 Bevibacterium ammoniagenes ATCC 19216을 K-carrageenan, polyacryamide, Ca-alginate 및 agar등 4가지 담체에 고정화시켜 XMP aminase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최적담체로서 선정된 3% K-carrageenan에 고정화한 균체를 이용하여 5'-GMP를 생산하였다. 고정화되지 않은 전환균주에 의한 5'-GMP의 최적생산 조건은 42℃, pH 7.0, 100㎎/㎖의 glucose, 8㎎/㎖의 MgSO₄·7H₂O, 5㎎/㎖의 POESA, 120㎎/㎖의 cell, 5㎎/㎖의 phytic acid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전환율은 94.5%이었다 고정화균체에 의한 5'-GMP의 최적생산 조건은 37℃, pH 7.5, 50㎎/㎖의 glucose, 1㎎/㎖의 KH₂PO₄, 10㎎/㎖의 phytic acid 60㎎/㎖의 고정화균체, 8㎎/㎖의 MgSO₄·7H₂O, 5㎎/㎖의 POESA이며 이때 전환율은 64.7%이었다. The effective production of 5'-GMP(5'-Guanylic acid) by enzymatic conversion of 5'-XMP(5'-Xanthyic acid) was investigated. The lyophilized Brevibacterium ammoniagenes ATCC 19216 which were used as the XMP aminase source, was immobilized by entrapping in K-carrageenan, agar, polyacrylamide or Ca-alginate. 3% K-carrageenan was selected as the most suitable matrix. In the production of 5'-GMP using the free cells of B. ammoniagenes ATCC 19216, the optimum conditions were 42℃, pH 7.0, 100㎎/㎖ glucose, 120㎎/㎖ cell, 8㎎/㎖ MgSO₄·7H₂O, 5㎎/㎖ POESA, 5㎎/㎖ phytic acid. Under the conditions, 94.5% of 5'-GMP was converted within 8 hours. In the production of 5'-GMP using the immobilized whole cells of B. ammoniagenes ATCC 19216, the optimum conditions were 37℃, pH 7.5, 50㎎/㎖ glucose, 1㎎/㎖ KH₂PO₄, l0㎎/㎖ phytic acid, 60㎎/㎖ cell, 8㎎/㎖ MgSO₄·7H₂O, 5㎎/㎖ POESA. Under the conditions, 64.7 % of 5'-GMP was converted within 40 hou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