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드론 기반 공동주택 외관 상시 안전점검 프로세스 제안

        조재윤,신현규,안용한,이상효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19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Vol.19 No.6

        Purpose: Recently, it began to recognize that the deterioration of buildings have an impact on the safety of residents due to performance degradation. Accordingly, quality control and safety inspection are carried out for apartment buildings. However, the existing safety inspection process used for this is inefficient for safety, time and cos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reduce the burden on the safety, cost and time of the inspector and tenant by increasing efficiency of defects and safety inspection and proposing a drone-based defect inspection process that can be proactive. Furthermore, it will improve the safety and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Method: This study proposed a process model using BPMN. BPMN is a standardized notation of business process modeling that has been developed to address a number of problems caused by the absence of visually defined work processes that can be referred to as standards for businesses and institutions. Result: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process proposed in this study has been verified, and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have been identified. Key advantages can be summarized as a reduction in safety inspection time, use of small numbers of personnel and equipment, and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Based on this study, it is deemed that an integrated safety inspection proces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which will be connected from defect identification to assessment of apartment buildings.

      • 폐주물사를 이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절토구간 옹벽 뒤채움시 사일로토압 및 토압경감효과 연구

        조재윤,이관호,조윤호,Cho, Jae-Yun,Lee, Kwan-Ho,Cho, Yoon-Ho 한국도로학회 2002 한국도로포장공학회 논문집 Vol.4 No.2

        대표적인 산업부산물인 폐주물사와 플라이애쉬의 재활용은 매우 시급한 현안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산업부산물의 재활용을 위해 저강도 콘크리트 개념을 적용한 유동성채움재(CLSM)로의 재활용을 위한 기본 연구가 지난 3년간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폐주물사중 환경오염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적은 것을 선별하여 CLSM용 잔골재로 이용하였다. 특히, 폐주물사에 화학약품처리를 하여 재활용 잔골재로 이용하는 방식사 역시 실험 재료로 이용하였다. 실험은 기존에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뒤채움재 시공시 발생하는 사일로 토압에 대한 검증과 토압 경감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CLSM은 기존의 뒤채움재와는 그 성질이 매우 달라서, 옹벽배면과 절개면사이의 거리가 짧아서 발생하는 사일로 토압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기존의 뒤채움재와는 상당히 다른 재료이고, 또한, 기존에 이용되는 각종 토압론의 공식적용에 다소 신중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용된 잔골재용 시료중에서는 방식사가 가장 큰 토압경감 효과를 나타냈고, 사용된 CLSM의 잔골재 특성에 따라 토압경감 효과에 다소 시간적인 차이는 있으나, 그 절대값은 어느 정도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cycling of waste foundry sand(WFS) and fly ash as by-products of industry is one of the urgent problem to deal with. For the recycling of these materials, CLSM(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 concept was adopted. This research has been done for last three years. In this research, couple of selected waste foundry sand and fly ash were used as fine aggregate. Also, WFS modified by Proper chemical liquid was used for the comparison. The main focus is to evaluate the silo earth pressure and the reduction effect due to the use of CLSM instead of normal fine aggregate. Silo effect, which occurs at short distance between retaining wall and backfill, was not detected because the characterization of CLSM is highly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aggregate. Therefore, the theory for earth pressure, like Rankine theory or Coulomb theory, should be carefully used for CLSM. The reduction of earth pressure for modified WFS is higher than the others. But, the final earth pressure is converged at very small value, even though the reduction effect depends on the curing time.

      • KCI등재
      • KCI등재

        2012 개정 고시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조재윤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99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d and alternative planned the content system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listening․speaking domai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and notified in 2012. As for the content system, it critically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6 items such as the reuse of ‘practice’ category, the establishment in ‘a word of expressing friendship and emotion’ out of practice category, the establishment of ‘media’ in the practice category, and the content in ‘skills’ category, the establishment of ‘attitude’ category, and the use of line in the content system table. As for the achievement standards, it critically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5 items such as the realities of reduction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listening․speak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school year group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domain, the relationship of the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the balance in the number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knowledge/skills/attitude category, the balance in the number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listening․speaking domain, the consistency in a method of suggesting the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이 연구에서는 2012 개정 고시 국어과 듣기․말하기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 대안을 논의하였다. 우선 내용 체계는 ‘(언어) 자료 및 활동’을 통어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실제’라는 범주명을 그대로 사용할 것, ‘친교 및 정서 표현’에서 ‘친교’ 목적의 성취 기준이 많이 삭제되어 친교적인 언어 사용의 약화 문제를 해결할 것, ‘매체’는 ‘듣기․말하기의 매체’로 설정한 후에 하위 항목으로 ‘매체의 사용’을 설정할 것, 태도 범주의 하위 항목으로 ‘화자와 청자 고려’를 설정할 것, 각 범주 간의 유기적 통합을 나타내도록 체계표를 점선으로 할 것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성취 기준은 듣기․말하기 성취 기준 수의 감축 비율을 낮출 것, 성취 기준을 삼원화하여 제시한 목적이나 이유, 논리적인 설명을 제시할 것, 듣기․말하기 영역 내용 체계의 지식, 기능, 태도 범주에 해당하는 내용을 내용 성취 기준으로 적절하게 안배할 것, 듣기와 말하기의 성취 기준 수가 균형을 이루도록 통합할 것, 내용 성취 기준은 ‘실제’에 있는 언어 사용 목적이 골고루 반영되도록 할 것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이러닝 체제에서의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 방법 탐색 - 듣기․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조재윤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4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o provide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method in an e-learning system. A web-based learning system is called an 'e-learning system', learning modes of which include transaction, multiple literacy, temporal and spatial conquest, opening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self-direc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ories of literature went through Romanticism and New-criticism stages to develop into the Reader-response theory and found out response-based learning, reading discussion, and RDE as methods of literary education to value social relations with other learners and contextual experiences and compose cooperative meanings.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in an e-learning system has advantages that it enables literature education to meet learners' interest or needs, that it makes it easy to consider their literary level, and that it activates their expression(creation) activities. Discussion was also made to see if web-based communication could replace direct communication(listening & speaking activity), if transaction could be activated on the basis of spoken language to meet social constructivism, and how to guarantee learners' spontaneity in providing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in an e-learning system. For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in an e-learning system,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canons to diverse voices' and to change educational methods from 'delivery to transaction based on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이 연구에서는 이러닝 체제에서의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 방법을 탐색하였다. 웹을 기반으로 한 학습 체제를 ‘이러닝 체제’라고 하고, 이러닝 체제의 학습 양식으로는 상호 교섭, 다중 문식성, 시간과 공간의 극복, 지식과 정보의 개방, 자기 주도성 양식이 있다. 문학교육은 문학 이론이 낭만주의 단계, 신비평 단계, 독자 반응 이론으로 발전하였음을 알아보고, 다른 학습자들과의 사회적 관계와 문맥적 경험을 중요시하면서 협조적인 의미를 구성하는 문학교육 방법으로 반응 중심 학습법과 독서 토론, RDE 방법 등을 탐색해 보았다. 이러닝 체제에서의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의 장점은 문학교육을 학습자의 흥미나 요구에 맞게 진행할 수 있는 점, 학습자의 문학적 수준을 고려하기에 용이한 점, 학습자의 표현(창작) 활동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닝 체제에서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을 할 때 주의점으로, 웹에서 이루어지는 소통이 직접적인 소통(듣기․말하기 활동)을 대신할 수 있는지, 사회적 구성주의에 알맞게 음성언어를 중심으로 한 상호 교섭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학습자의 자발성을 어떻게 담보해 낼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러닝 체제에서의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은 ‘정전으로부터 다양한 목소리로’로 변해야 한다는 관점과 ‘전달에서 듣기․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상호 교섭으로’ 교육방법이 변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 개발 연구

        조재윤,엄해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iterary reading learning model with convergence of cognition and sensibility. This study explored a theory on the literary understanding process, and developed ‘literary reading learning model with convergence of cognition and sensibility’ based on a critical consideration on response based learning and value inquiry learning. ‘Literary reading learning model with convergence of cognition and sensibility’ is composed of 5 stages in ‘responding → understanding → clarifying → evaluating → self-process.’ In Stage 1, sensibility becomes the center, which happily faces literature and induces response comfortably. In stages 2~3, cognition becomes the center, which analytically understands, interprets, and describes a work. In stage 4, cognition and sensibility are balanced to be evaluated. Stage 5 is the one that is integrated cognition and sensibility, which allow response and value in literature to be self-process. A research is desired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which reports process and outcome that applied ‘literary reading learning model with convergence of cognition and sensibility’,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o a literary reading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학 이해 과정에 대한 이론을 탐색하고 반응 중심 학습 모형과 가치 탐구 학습 모형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새롭게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약칭: 인지와 감성 융합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인지와 감성 융합 학습 모형’은 ‘반응하기 → 이해하기 → 명료화하기 → 평가하기 → 자기화하기’의 5단계로 이루어진다. 1단계는 문학을 즐겁게 접하고 편안하게 반응을 유도하는 감성이 중심이 되고, 2~3단계는 작품을 분석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며 설명하는 인지가 중심이 되고, 4단계는 인지와 감성이 균형을 이루는 평가하기가 이루어지며, 5단계는 문학의 반응과 가치를 자기화하는 인지와 감성이 통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이 모형은 전체적으로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인지와 감성 융합 학습 모형’을 문학 독서 수업에 적용한 과정과 결과를 구체적으로 보고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학습 듣기ㆍ말하기:학습자의 의미 구성을 위한 실천

        조재윤 한국화법학회 2008 화법연구 Vol.0 No.1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listening & speaking to learn and examine whether listening & speaking have a role as a tool of higher thinking and are practice to meaning making of learners. This paper has defined ‘listening & speaking to learn’ as “listening & speaking performed for learning not only in the subject,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in other subjects” taking the point that in the teaching & learning process, listening & speaking play an important role into consideration. In addition, this paper recognizes that listening & speaking to learn carry significance in terms of a tool of improving ability in higher thinking and also practice to meaning making of learners. In the future studies of listening & speaking should be continued focusing on examining patterns of listening & speaking to learn and ascertaining their value as a tool and practice to of learners as suggested in this paper. 이 글의 목적은 학습 듣기ㆍ말하기의 개념을 정립하고 듣기․말하기가 고등 사고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학습자의 의미 구성을 위한 실천임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교수ㆍ학습 과정에서 듣기ㆍ말하기가 학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학습 듣기ㆍ말하기’를 “국어 교과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의 학습을 위하여 이루어지는 듣기ㆍ말하기”라는 개념으로 정립하였다. 그리고 학습 듣기ㆍ말하기가 고등 사고 능력을 길러주는 도구로서 의미를 가지고, 학습자의 의미를 구성하기 위한 실천으로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앞으로 듣기ㆍ말하기 연구는 이 글에서 제안한 ‘학습 듣기ㆍ말하기’ 개념에 알맞은 양상을 살피고 학습자의 의미 구성을 위한 도구이자 실천의 실제를 밝히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오픈소스기반 니팅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용편의성에 관한 연구

        조재윤,남원석,장중식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3

        본 논문은 오픈소스기반 니팅기의 상용화로 인한 사용편의성 개선을 위한 연구로, 문헌조사를 통해 오픈소스 기반의 니팅기에 대해 알아보고, 분류 및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가 집단 토론(FGD)를 실시해 고려 사항을 도출하고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요소를 파악, 최종적으로 오픈소스기반 니팅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편 의성 평가원칙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원칙을 바탕으로 UI(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황 별 Task를 제작하여 수행시간 및 오류빈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모델 C가 학습성, 간결성, 인지적합성, 편의성, 상태 유지성, 직관성면에서 사용편 의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의 평가원칙 요소들을 바탕으로 개선한다면 오픈소스기반 니팅기 사용자 인터 페이스 디자인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to improve the usability due to the commercialization of open source-based knitting machines. Based on the analysis, FGD was conducted to derive considerations and to evaluate the evaluation factors based on the derived contents. Based on the evaluation principles derived, tasks were created for each UI (user interface) situation to measure execution time and error frequenc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model C has the highest user-friendliness in terms of learning, conciseness, cognitive fitness, convenience, state maintainability, and intuition. Ease of use will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