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장애영유아의 통합보육 현황과 보육교사의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

        조재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7 No.3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analyze the condition of integrated child-care and a general recognition of integrated child-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e child-care teachers who work in the child-care centers in G province. As the result of study, there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child-care teachers work in general child-care centers where children don’t have disabilities. They rarely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seminars for integrated child-care. Even if they participated in it, they attended for a short time. Second, most of the child-care teachers agreed that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enter into general child-care centers. They answered that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ould be better be placed in a child-care center already integr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at the integrated child-care would be of help to the normal children. Third, the child-care teachers answered that to care integrally in all fields of disability is very difficult. Especially, they answered that it is more difficult to care for multiple-handicapped children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 children. Fourth, the child-care teachers answered that as the integrated child-care is positive for all children, it would be better to start early as soon as possible and provide more education on understan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fth, they answered that the child-care centers where they work are badly prepared. Moreover, even child-care teachers don’t have expertise in special education. Sixth, the integrated child-care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promoting social development, offering a chance to understand, to cooperate and to help each other. Also it can help improve the perception of normal childre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interplay between both. Seventh, the negative effects of integrated child-care were that the child-care teachers had to spend more time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parents of the normal children had reluctance for integrated child-care and also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to decrease of children in the child-care center. 본 연구는 G도 소재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보육 현황과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분석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사들은 장애영유아가 없는 일반어린이집에 대부분 근무하고 있었으며, 통합보육 연수에 참여한 적이 거의 없었으며, 참여한 경우에도 참여시간이 매우 적었다. 둘째, 장애영유아의 일반어린이집 입소에 대해 대부분 동의하였으며, 배치장소로는 장애아 통합어린이집이 적절하며, 통합보육은 영유아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하였다. 셋째, 보육교사들은 장애종류와 정도에 관계없이 모두 통합보육이 매우 힘들 것이며, 특히 중복장애와 자폐성장애를 더 힘들 것이라고 답하였다. 넷째, 통합보육은 모든 영유아에게 긍정적이므로 가능한 일찍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반드시 장애이해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다섯째, 현재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은 통합보육 준비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보육교사 자신도 특수교육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통합보육의 긍정적 영향으로 영유아 간의 상호작용 확대를 통한 사회성 발달 촉진, 서로 이해하고 협동하고 도와주는 기회 제공, 장애영유아에 대한 일반영유아의 인식 개선 등이었다. 일곱째, 통합보육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보육교사가 장애영유아에게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는 것, 일반영유아 학부모들의 통합보육에 대한 거부감, 어린이집 재원 원아의 감소 가능성 등이었다.

      • KCI등재

        특수학교 학부모의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이용 실태 및 관련 욕구 분석

        조재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9 No.4

        본 연구는 K도 소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이용 실태 및 관련 욕구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부모들은 장애 자녀의 사회ᆞ정서적 발달을 위해서 특수교육 관련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프로그램은 질적 수준이 높은 전문치료사가 개별 및 집단지도 형태로 주당 3회 정도 특수학교에서 전액 무료로 지원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중에서는 치료지원 영역에서의 욕구가 가장 높았으며, 치료지원 및 재활치료 중에서는 음악치료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학생 및 장애학생 학부모가 이용하는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비용에 대하여 국가의 책무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도농통합지역에도 장애학생들과 학부모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관련서비스 제공기관을 설치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제공기관의 시설과 인력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인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장애학생의 특성 및 가족의 요구에 적절한 다양한 특수교육 관련서비스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장애학생의 특성과 학부모의 요구에 적절한 다양한 치료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여섯째, 장애학생과 관련된 모든 전문가들이 협력적 팀 접근을 통하여 특수교육 관련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일곱째, 특수학교 내에 치료지원을 전담하는 전문치료사(특수교사)의 배치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rent’s needs on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 special school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from the data analyz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ation should strengthen its accountability about usage expenses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Second, various programs and institutions should be developed in urban-rural integration regions in ord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to participate in. Third, substantial evaluative accreditation systems should be applied to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institutions. Fourth, various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needs of their families should be made for full support. Fifth, various therapy support related program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needs of their families should be offered. Sixth, all experts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provide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through their transdisciplinary teams approach. Seventh, special schools should seek for the placement plan about therapists(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erapy supports.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 동향 분석

        조재규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4

        This study analyzes the general status,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of 242 research papers on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published from 2012 to 2021. Looking at the research results, First, a total of 242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and 2018 was the most published year, and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by each journal was the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survey study was the most study. Second, the subjects of the survey research were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number of subjects was 101∼200, the method was a survey, and the purpose was to recognize, actual condition, and demand for lifelong education. Third, the form of literature research was literature review, the purpose was to establish and activate a lifelong education system for the disabled, and the country subject to trend analysis was Korea, and the number of papers was the largest with less than 100. Fourth, the subjec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head of the center and the person in charge, and the number of subjects was 5 or less, the method was in-depth interviews, and the purpose was the most experience and meaning analysi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Fifth, the age of the case study was majoring course in special school + adult, disability type was developmental disability, experimental group size was 3 people, experimental design was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independent variable was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and dependent variable was cooking job skills. Sixth, development research included a career-oriented lifelong education model, a classification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disabled, a training course for vocational coordinators for the disabled, and the development of a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model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venth, the types of disabilities in experimental research w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iversities and affiliated institutions, group sizes were 11∼20 peopl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intervention sessions were the most common, and there were variou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measures to improve lifelong education research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게재된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 논문 242편에 대한 일반현황과 연구방법 및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최근 10년간 발행된 논문은 총 242편이며, 2018년이 가장 많이 출판되었으며, 학술지별 발행논문 수는 ‘특수교육학연구’, 연구방법은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조사연구의 대상은 장애인 당사자, 대상자 수는 101∼200명, 방법은 설문조사, 목적은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실태, 요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문헌연구의 형태는 문헌고찰, 목적은 장애인 평생교육 체계 구축 및 활성화, 동향분석의 대상 국가는 국내, 논문 수는 100편 이하가 가장 많았다. 넷째, 질적연구의 대상은 센터장과 담당자, 대상자 수는 5명 이하, 방법은 심층면담, 목적은 장애인 평생교육 경험과 의미 분석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사례연구의 대상 연령은 전공과+성인, 장애유형은 발달장애, 실험집단 크기는 3명,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 독립변인은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종속변인은 조리직무기술이 가장 많았다. 여섯째, 개발연구는 직업중심 평생교육 모델,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장애인 직업코디네이터 양성 교육과정,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지원체계 모형 개발 등이 있었다. 일곱째, 실험연구의 장애유형은 발달장애, 장소는 대학 및 부설기관, 집단 크기는 11∼20명, 실험설계는 통제집단 사전-사후(AB)설계, 중재회기는 11∼20회기가 가장 많았으며, 다양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의 개선 방안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학술지의 연구방법 및 내용 분석

        조재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4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of the 333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between 2012 to 2016 by ‘Korea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As for the research contents, topics of articles by year, characteristics by the type of researchers, and methodologies used in the published papers; as for the experimental research, experimental contents were also analyzed.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First, classifying the 333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showed that 66.6 papers on average were published in this journal, and the most frequently the profile of the first author was a female professor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The most frequent affiliation was Daegu University, the most frequent authorship was co-authorship with two authors and the most frequent method of research was conducting a survey. A further cross-analysis between the first author’s background and methodologies as variants indicated that special education is the most frequent in among case study articles, social welfare is the most frequent among survey research, and papers with the method of correlation analysis was mostly conducted by psychology majors. Mostly case study articles were written by adjunct professors and teachers, comparative research by Ph.D. degree holders, and survey research by MA degree holder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51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research subjects were ordinar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n experimental group of 10 or less and a control group of 11 to 20 in most cases. Also, the most common type of experiment design wa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most common way of complying with the research ethics was getting the agreement of the concerned party. Finally, the period of the experiment were frequently less than two tor three months, with eleven to twenty sessions. The most favored statistical tool was SPSS, and the number of papers that conducte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most high. However, there were a considerable amount of papers that failed to present social validity nor mediation fidelity.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discusses and suggests a guideline for improving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본 연구는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에서 발간하는「정서·행동장애연구」학술지에 2012년부터 2016년까지 게재된 333편의 논문들에 대한 연구방법 및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으로는 연도별 게재논문, 연구자의 특성, 게재논문들의 연구방법을 알아보고,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게재논문 총 333편을 분석한 결과, 연평균 66.6편을 발행하였으며, 제1저자는 특수교육 전공, 대학 교수, 여성이 많았다. 소속대학은 대구대학교, 연구자 수는 2인 공동연구, 연구방법은 조사연구 논문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제1저자의 배경변인과 연구방법을 교차 분석한 결과, 사례연구는 특수교육학, 조사연구는 사회복지학, 상관연구는 심리학 전공자가 많았으며, 사례연구는 외래교수와 교사, 비교연구는 박사, 조사연구는 석사가 주로 하였다. 둘째, 실험연구 논문 51편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은 주로 초등학교 일반학생이었으며, 실험집단 수는 10명 이하, 통제집단 수는 11~20명, 실험설계 유형은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 연구윤리 준수는 당사자 동의, 실험기간은 2~3개월 미만, 실험회기는 11~20회기, 통계도구는 SPSS, 통계방법은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사회적 타당도와 중재충실도를 제시하지 않은 논문이 매우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학술지의 질적 향상을 위한 연구방법 개선 방안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 중·고등학생의 체육활동 선호도와 체육수업 만족도

        조재규,이철화 한국교원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3 학교체육연구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rm a physical education course that satisfies interests of a learner by inquiring prefer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nd their satisfaction o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fur

      • KCI등재

        소프트웨어 수명주기에서 품질특성의 중요도 결정 기법

        조재규,이길섭,이승종,Cho, Jae-Kyu,Lee, Kil-Sup,Lee, Sung-J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1 No.6

        정보화 사회로 발전이 되면서 고품질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제품 품질을 평가 및 관리하는 활동이 개발 활동과 함께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관련되는 이해당사자 마다 품질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개발의 각 단계에서 중점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품질특성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관점과 수명주기의 특성을 고려한 품질특성의 중요도는 품질관리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품질의 중요도에 대한 연구는 그 필요성과 효과성이 제대로 부각되지 않아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제품 품질의 기준이 되는 ISO/IEC 9126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수명주기에서 품질특성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된 기법은 소프트웨어와 관련되는 주요 이해당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AHP 기법을 이용한 중요도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수명주기에서 중요도 우선순위에 의하여 품질특성을 선별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품질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개발 완료 후의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예상할 수 있게 하여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The concern and request of high-quality software has been increased according to the rapid transition of society to information-oriented era. Therefore activities of software quality management are regarded as serious as the activities of software development. Moreover, stakeholder of software may have various views of software quality. And some quality characteristics need to be managed with priorities in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SDLC). Hence we recognized that weights of quality characteristics might be useful to improve efficiency of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However, this topic has not actively issued because its necessity and effectiveness has been ignored. This paper presents a technique to decide weights of software quality characteristics in SDLC. It is based on ISO/IEC 9126 which is the standard for software product quality. It is accomplished by questionnaires intended for stakeholder in software development and weight analysis through AHP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method. Accordingly, it can select quality characteristics by weight in SDLC. And then it helps us to acquire high duality software through measuring software quality quantitatively and expecting the quality after completion of software development.

      • KCI등재

        국방 인공지능 인프라 분석 및 발전방안

        조재규 한국국방연구원 2021 국방정책연구 Vol.36 No.4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AI, BigData, Cloud와 같은 신기술들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AI는 국방 분야를 포함하여 모든 영역에 걸쳐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AI를 통한 국방력 강화를 위해 많은 연구와 투자를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군은 AI 활용에 있어서 아직 초기 단계이다. 따라서 AI를 미래 전장의 게임체인저로 활용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우리 군의 국방 AI 기술력 확보를 위해 데이터, 알고리즘, 컴퓨팅 자원 등 인프라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cloud are rapidly develop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particular, is changing the paradigm across all areas, including humanities, society and economy, and this is the same in the defense sector. Worldwide, it is doing a lot of research and investment to strengthen its defense capabilitie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However, the R·O·K military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in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fore, it takes a lot of effort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game changer for future battlefields.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infrastructure such as data, algorithms and computing resources in order to secure the defens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of our military and proposed the development plans. It will help that our defens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ll b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the rapid development and the realization of reliable and efficient national defe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