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태풍 차바 (2016)의 강수에 대한 지형 효과와 해수면 온도의 영향 분석

        조우진,문지홍,이민규,박진영,차동현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4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태풍은 동아시아 주변 많은 국가들에 사회경제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강풍, 집중호우 그리고 폭풍해일을 동반하여 재산과 인명피해를 발생시킨다. 2016년 태풍 차바는 부산을 스쳐 지나가면서 영남지방에 피해가 집중되었다. 태풍으로 인한 강수는 태풍의 중심에 가까웠던 부산보다는 울산이 많았는데, 이는 울산 지역의 복잡한 산악지형에 인한 지형 효과와 더불어 평년보다 높았던 동중국해의 해수면 온도로 인해 태풍의 상륙강도가 보다 강하게 유지되면서 강수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가지 원인들에 대한 검증을 위해 고해상도 WRF 모델을 이용한 수치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총 4가지로 WRF 모델이 실제 태풍을 잘 모의하는지와 다른 실험과의 비교를 위한 CTL 실험, 울산 지역의 산악 고도를 낮춘 TOPO 실험, 동중국해의 해수면 온도를 평년값으로 대체한 CSST 시험 그리고 지형과 해수면 온도를 모두 변경한 CSST_TOPO 실험을 진행하였다. 울산 지역의 누적 강수량은 CTL>TOPO>CSST>CSST_TOPO 실험 순으로 나타났으며, CTL 실험에서 TOPO 실험보다 풍상 측 강수가 많았고 풍하 측 강수는 TOPO 실험에서 많았다. 두 실험의 연직단면을 비교했을 때, CTL 실험에서 태풍의 습윤하고 불안정한 흐름이 높은 산악지형에 막히고 상승하면서 풍상과 정상부에 강한 강수를 유발하는 것이 확인되나 TOPO 실험에서는 약하게 나타났다. CTL 실험과 CSST 실험의 태풍 강도는 동중국해를 지나는 시점부터 CTL 실험이 더 강한 강도를 유지하였고 누적 강수 또한 CSST 실험보다 많았다. CSST 실험에서 낮아진 해수면 온도로 인해 태풍의 강도가 약해졌고 태풍이 머금은 수증기량 또한 감소하면서 강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중국해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한반도로 북상하는 태풍의 강도가 유지되어 강한 태풍으로 인한 피해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암시한다.

      • KCI등재

        수면호흡장애 소아에서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 후 삶의 질의 변화

        조우진,이승훈,최준,조우성,이상학,이흥만,권순영,신철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6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9 No.4

        Background and Objectives:Sleep disordered breathing (SDB) comprises a spectrum of airway disorders that range from simple snoring to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n children, SDB can have a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such as behavior, school performance, emotional distress and daytime function. We aim to verify changes in disease specific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adenotonsillectomy in children with SDB. Subjects and Method:Children aged 4 through 15 years old, a total of 50 (M:36, F:14) with symptoms of snoring, mouth breathing, sleep apnea and physical examination results demonstrating tonsil size of 3+ or greater, were includ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in children, two standard questionnaires KOSA-18 (Korean Obstructive Sleep Apnea-18 Survey) and KOSA-6 (Korean Obstructive Sleep Apnea-6 Survey) were given to the parents of children to complete,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Results: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adenotonsillectomy in the total score of KOSA-18 and KOSA-6. In KOSA-18 and KOSA-6, all domain scores showed improvement after surgery. Conclusion:Children with SDB who undergo adenotonsillectomy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we suggest that surgical intervention could be recommen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adenotonsillar hypertrophy. (Korean J Otolaryngol 2006;49:402-6)

      • KCI등재후보

        邵雍의 先天易學에 대한 王夫之의 비판

        조우진 한국공자학회 2014 공자학 Vol.2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소옹의 선천역학(先天易學)을 바탕으로 한 송대(宋代) 상수역(象數易)의 흐름을 살펴보고 왕부지의 비판적 입장을 고찰하는데 있다. 필자는 이러한 과정에서 상수역의 본래 모습을 확인하고자 한다. 왕부지는 자신의 역학체계를 바탕으로 선천과 후천의 개념, 선천의 전수과정, 선천도(先天圖)의 체계, 선천역학의 원리, 괘(卦)의 형성의 과정 등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그의 비판 논리는 경전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실증주의적 사고방식에 근거하고 있다. 왕부지의 입장에서 보자면 소옹의 선천역학과 관련된 이론이나 내용은 경전에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것이며, 도가(道家)의 술수가들에 의해 전수된 것에 불과할 따름이다. 왕부지는 소옹의 선천역학을 비판하는 근거를 여러 가지로 제시하는데, 가장 결정적인 것은 점(占)과 관련된다. 선천역학의 핵심원리인 가일배법(加一倍法)은 아래로부터 위로 쌓아서 괘(卦)를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점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왕부지는 소옹의 선천역학을 술수학일 뿐만 아니라 점역(占易)에 치우친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점학일리(占學一理)’를 주장한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of Xiangshuyi(象數易) in Song dynasty(宋代) based on Shao-Yong(邵雍)’s Sunchenyeokhak(先天易學) and consider Wang-Fuzhi(王夫之)’s critical position. By this critical examination, we can ascertain the true features of Xiangshuyi. Wang-Fuzhi severely criticised the concept of Sunchen(先天) and Huchen(後天), the transmission process of Sunchen, the system of Sunchentu(先天圖), and the principle of Sunchenyeokhak,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Gua(卦) through his Yeokhak(易學) system. His criticism is especially based on positivistic thinking on the contents of Jingzhuan(經傳). For Wang-Fuzhii, the content and theory concerning Shao-Yong’s Sunchenyeokhak aren’t found in Jingzhuan(經傳) and are nothing but brought by Zhushujia(術數家) in Daojia(道家). Wang-Fuzhi presents the several evidences of criticising Shao-Yong’s Xiangshuyi. Among them, the most decisive evidence is related to Zhan(占). Jiayibeifa(加一倍法) as the key principle of Sunchenyeokhak is a process of making Gua by stacking one on top of another and this process is the same as that of Zhan. In conclusion, Wang-Fuzhi maintains Zhanxueyili(占學一理) criticizing that Shao-Yong’s Sunchenyeokhak is only Zhushuxue and is biased toward Zhanyi.

      • Effect of biomass gasification using spent gypsum in bubbling fluidized bed

        조우진,김준영,박성진,최영태,이동현,김상범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0

        탈황석고 (Spent gypsum)는 CaO 함량이 타르 발생량 감소에 효과적으로 알려진 백운석과 유사하므로 기포유동층에서 1단계 촉매로써 타르 함량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타르저감 특성을 파악하고자 탈황석고를 모래와 혼합하여 프로듀서가스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바이오매스가스화 장치는 유동층 반응기, 연료공급 장치, 사이클론, 2개의 냉각기 및 실시간 가스분석기로 구성하였다. 층물질로 평균입자크기 380 ㎛의 비구형 Silica sand 와 평균입자크기 295 ㎛ 의 석유코크스 화력발전 부산물인 탈황석고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바이오매스는 동남아 팜 부산물인 EFB를 펠릿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고정 변수로는 반응 온도 800 ℃, 조업변수로는 탈황석고 및 Silica sand를 0-100 wt.%의 혼합비로 사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생성된 가스의 조성, 타르, 저위발열량 및 황화수소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탈황석고의 사용은 타르 함량을 감소시키며 최대 37.9 %의 제거율을 보였다. 저위발열량은 탈황석고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후두초음파의 임상적 활용

        조우진,Cho, Woojin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18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29 No.1

        Ultrasonography has increasingly moved from being a modality confined to the radiology department to an active diagnostic and therapeutic aid available to the head and neck at the point of patient care. However, the application of ultrasonography to the laryngeal disorder is very rare due to progressive age-related ossification of laryngeal cartilage and the presence of air in the lumen, which contribute to difficult conditions for transmission of the ultrasonic waves. The observation about the movements of larynx or surrounding structures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hysiology of phonation or swallowing and to diagnose the disease. Ultrasonography is a noninvasive and safe imaging technique that can be used to investigate the anatomic structures of the head and neck. Recently, the development of high-frequency ultrasonography makes it possible to apply the ultrasound in the evaluation of larynx.

      • KCI등재후보

        쾌락적 허기짐, 충동성이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우진,이인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5 No.4

        This objection of this study were to confirm the effect of hedonic hunger and impulsivity on binge eating, and to the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between hedonic hunger and binge eating. This study were conducted for 327 men and women in their 20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edonic hunger and impulsivity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explain binge eating. secondly, Food Available and Negative Urgency wer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sub-factors of hedonic hunger and impulsivity. Lastly, The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between hedonic hunger and binge eat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Urgency between Food Available and binge eating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explain binge eating. 본 연구의 목적은 쾌락적 허기짐과 충동성이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쾌락적 허기짐과 폭식 행동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329명의 20대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정 및 긍정 긴급성, 계획성 및 지속성 부족, 음식 추구, 음식 맛과 폭식행동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쾌락적 허기짐과 충동성의 하위요인들 중 음식 추구(Food Available)와 부정 긴급성(Negative Urgency)이 폭식 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쾌락적 허기짐과 폭식 행동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음식 추구와 폭식 행동의 관계에서 부정 긴급성의 조절효과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쾌락적 허기짐과 충동성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적 개입에 대한 함의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