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한국 여성에서 중증자궁내막증과 CYP1B1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조연진,허성은,이지영,송인옥,궁미경,문혜성,정혜원,Cho, Yeon Jean,Hur, Sung-Eun,Lee, Ji Young,Song, In Ok,Koong, Mi Kyoung,Moon, Hye Sung,Chung, Hye-Won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2

        목 적: CYP1B1은 자궁내막증의 발생과 관련된 에스트로겐의 대사 및 dioxin의 대사 모두와 관련이 있는 유전자로 생각하여 자궁내막증의 발생위험과 CYP1B1의 codon 119G${\rightarrow}$T, 432G${\rightarrow}$C, 449T${\rightarrow}$C, 453A${\rightarrow}$G의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병리조직학적으로 자궁내막증 III기와 IV기임을 확인한 여성 199명과 대조군으로 자궁내막증 환자군과 연령이 비슷한 여성에서 양성 난소 낭종으로 수술을 시행하여 자궁내막증이 없음을 육안으로 확인한 183명을 대상으로 PCR 및 RFLP를 시행하여 CYP1B1의 codon 119G${\rightarrow}$T, 432C${\rightarrow}$G, 449T${\rightarrow}$C, 453A${\rightarrow}$G의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CYP1B1에서 $Ala^{l19}Ser$, $Va1^{432}Leu$, $Asn^{449}(T^{449}{\rightarrow}C)$, $Asn^{453}Ser$ 각각의 유전자 다형성은 그 분포와 위험도에 있어서 자궁내막증 환자와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CYP1B1에서 앞서 밝힌 4가지 codon의 다형성을 조합한 결과 GG/CC/CC/AA의 유전자형을 갖는 여성에 비해 GG/GC+GG/TC+TT/AA의 유전자형을 갖는 경우만이 자궁내막증의 위험도가 2.056 (95% CI: 1.003-4.216)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이상으로 볼 때 한국인 여성에서 중증자궁내막증 발생은 CYP1B1의 유전적 다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향후 자궁내막증의 발생 기전을 밝히는데 주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Objective: To investigate whether polymorphisms of gene encoding CYP1B1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endometriosis in Korean women. Methods: We investigated 199 patients with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endometriosis rAFS stage III/IV and 183 control group women who were surgically proven to have no endometriosis. The genetic distribution of four different CYP1B1 polymorphisms at $G^{119}-T$, $G^{432}-C$, $T^{449}-C$, and $A^{453}-G$ were analyz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of PCR products. Results: We found no overall association between each individual CYP1B1 genotype and the risk of endometriosis. The odds ratio of genotype GG/GC+GG/TC+TT/AA compared to GG/CC/CC/AA(reference) was calculated as 2.06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of 1.003~4.216. Conclusion: This results suggest that CYP1B1 genetic polymorphism may be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in Korean women.

      • KCI등재

        자궁내막폴립의 악성화 빈도와 관련 인자

        조연진 ( Yeon Jean Cho ),김미라 ( Mi La Kim ),김주명 ( Joo Myung Kim ),주관영 ( Kwan Young Joo ),이인국 ( In Kook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

        목적: 자궁내막폴립의 악성화 빈도 및 악성화와 관련한 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2005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자궁경상 자궁내막폴립이 의심되었던 환자 44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조직학적으로 360예 (80.1%)에서 폴립이 발견되었으며, 이중 양성 폴립이 353예 (75.1%), 단순 또는 복합성 증식성 폴립이 16예 (3.5%), 이형성증이 있는 증식성 폴립이 1예 (0.2%), 악성 폴립이 6예 (1.3%)로 나타났다. 360예 중에서 고령과 폐경상태는 악성화의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반면 부정 출혈의 유무, 다발성 폴립, 1.5 cm 이상의 폴립은 악성화와 큰 관련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자궁경하에 폴립을 제거하는 것이 기저부까지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자궁내막폴립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나이가 많거나 폐경 상태라면 악성화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수술적 처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bjective: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benign, hyperplastic, and malignant endometrial polyps and whether particular clinical parameters are associated with malignancy in the polyps. Methods: Four hundred and forty nine patients who were suspected as endometrial polyps by hysteroscopy underwent hysteroscopic guided removal over 12 months period were retrieved. The medical records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review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Histologically, among 360 (80.1%) polypoid lesions, 353 polyps (75.1%) were benign; 16 polyps (3.5%) had simple or complex hyperplasia, only 1 polyp (0.2%) had hyperplasia with atypia (considered as premalignant lesions), and 6 polyps (1.3%) were cancerous. Non polypoid lesions were found in 89 (19.9%) cases. Older age, postmenopausal status were associated with pre-malignant or malignant changes significantly, but presence of abnormal uterine bleeding, multiplicity, larger sizes (>1.5cm) were not a predictor of malignancy in the polyp. Conclusions: Age and menopausal status may increase the risk of premalignant and malignant polyps. Although the risk of malignancy is low, we should pay attention to postmenopausal women with endometrial polyps regardless of the symptoms, and we prefer hysteroscopic resection for the exact diagnosis.

      • SCOPUSKCI등재

        난소의 기능이 저하된 불임 환자에서 연령 및 기저 혈중 FSH 수치가 체외수정시술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영,김민지,조연진,연명진,안영선,차선화,김혜옥,박찬우,김진영,송인옥,궁미경,강인수,전종영,양광문,Yu, Young,Kim, Min-Ji,Cho, Yeon-Jean,Yeon, Myeong-Jin,Ahn, Young-Sun,Cha, Sun-Hwa,Kim, Hye-Ok,Park, Chan-Woo,Kim, Jin-Young,Song, In-Ok,Koong, Mi 대한생식의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4 No.3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난소기능이 저하된 불임 환자에서 체외수정시술 시 그 결과의 예측인자로서 환자의 연령과 혈중 FSH 수치의 중요성 및 그 임상적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본원 불임센터에서 체외수정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이전 체외수정시술주기에서 획득된 난자 수가 5개 이하이며 FSH 농도가 15 mIU/ml 이상 25 mIU/ml 이하로 그 연령이 42세 이하인 난소기능이 저하된 불임 환자 85명의 85 체외수정시술 주기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남성요인의 불임이나 착상 전 유전진단인 경우는 제외시켰다. 과배란유도의 방법은 단기요법 (flare-up protocol)을 사용한 경우로 제한하였다. 결 과: 대상군을 환자의 나이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였을 때 환자의 연령이 낮은 군 (age < 35, n=35)에서 고령환자 군 (age $\geq$ 35, n=50)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은 착상률 (19.0% versus 4.0%, p<0.05)과 높은 지속임신율(100% versus 14.3%, p<0.05)을 보였으며, 연구대상 군을 기저 혈중 FSH농도에 의해 두 군으로 비교하였을 때 낮은 기저 혈중 FSH를 가진 군 (basal serum FSH < 20 mIU/ml, n=58)에서 기저혈중 FSH가 높았던 군 (basal serum FSH $geq$ 20 mIU/ml, n=27)에 비해 획득된 난자 숫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은 반면 (4.6$\pm$0.7 versus 2.2$\pm$0.5, p<0.05)주기 취소율은 의미 있게 낮은 (19.0% versus 55.6%, p<0.05) 결과를 보였다. 결 론: 난소반응이 저하된 불임 환자의 체외수정시술 시 그 예후에 관련된 인자로서 환자의 연령은 해당 주기의 임신성공 및 임신 지속여부에 대한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서 의미가 있는 반면 기저 혈중 FSH농도는 해당 주기에서의 난소의 반응에 대한 예측인자로써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age and basal serum FSH in predicting the outcomes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in patients with poor-ovarian response.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4, 85 second IVF cycles of 85 poor-ovarian response patients under the age of 42 with a back-ground of the first IVF cycles at our infertility center and 5 or less oocytes were retrieved and their basal serum FSH levels of 15$\sim$25 mIU/m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Exclusion criteria were patients with a male factor for the etiology of infertility and undergoing genetic diagnosis of embryo such as PGD. Flare-up protocol was used for ovarian stimulation in all cases. Results: When we stratified the study groups by patient's age, the younger age group (age<35, n=35)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lantation rate (19.0% versus 4.0%, p<0.05) and higher ongoing pregnancy rate (100% versus 14.3%, p<0.05) than the older age group (age$\geq$35, n=50). And then, when we stratified the study populations by basal serum FSH level, the lower FSH group (basal serum FSH<20 mIU/ml, n=58)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retrieved oocytes (4.6$\pm$0.7 versus 2.2$\pm$0.5, p<0.05) and lower cancellation rate (19.0% versus 55.6%, p<0.05) than higher FSH group (basal serum FSH$\geq$20 mIU/ml, n=27). Conclusions: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patient's age could predict the IVF outcomes in respect to its potency of pregnancy and ongoing pregnancy. Serum basal FSH levels could predict more accurately the ovarian response of cycle, but not clinical outcomes.

      • KCI등재

        자궁내막 폴립의 악성화 위험인자

        이희숙 ( Hee Suk Lee ),조연진 ( Yeon Jean Cho ),김주명 ( Joo Myung Kim ) 대한폐경학회 2013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2

        연구목적: 자궁내막 폴립의 악성화 빈도 및 관련 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자 궁경으로 자궁 내막 폴립이 의심되었던 1,196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폴립을 양성, 전암성 병변, 악성 병 변으로 분류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조직학적으로 1,157명 (96.7%)에서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13명 (1.1%)에서 전암성 병변, 26명 (2.2%)에서 악성 병 변이 발견되었다. 비정상 자궁 출혈 (비교 위험도: 5.07)과 폐경 (비교 위험도: 3.41)이 자궁내막 폴립의 악성화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P < 0.05). 결론: 자궁내막 폴립의 악성화 위험도는 비정상 자궁 출혈이 있거나 폐경 여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endometrial premalignant and malignant polyps in women who underwent hysteroscopic polypectomies, and to investigate whether clinical parameters predict histopathologic outcomes. Methods: A review was carried out on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hysteroscopic endometrial polypectomy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1. One thousand one hundred ninety-six women who ranged in age from 16 to 81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Polyps were classified as benign (endometrial polyps and polyps with non-atypical simple hyperplasia and non-atypical complex hyperplasia), premalignant (polyps with atypical simple hyperplasia or atypical complex hyperplasia), or malignant. A statistical analysis was then performed. Results: Histopathologically, 96.7% benign, 1.1% premalignant, and 2.2% malignant lesions were detected. Abnormal uterine bleeding and postmenopause were the only factors which were determined to be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malignancy, with an odds ratios of 5.07 (95% CI, 2.25-11.41) and 3.41 (95% CI, 1.14-10.24),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remalignant and malignant endometrial polyps include abnormal uterine bleeding and menopause. (J Korean Soc Menopause 2013; 19:74-80)

      • KCI등재

        여성 생식기에 발생한 샘모양 종양 (adenomatoid tumor)의 임상양상: 195예 분석

        이지은 ( Ji Eun Lee ),조연진 ( Yeon Jean Cho ),김미라 ( Mi La Kim ),김주명 ( Joo Myoung Kim ),주관영 ( Kwan Young Joo ),전종영 ( Jong Young Jun ),한호원 ( Ho Won Han ),구유진 ( Yu Jin Koo ),김윤영 ( Yun Young Kim ),전이경 ( Yi Kye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8

        목적: 자궁절제술 또는 보존적 수술로 치료한 샘모양 종양 (adenomatoid tumor)의 임상적 특징 및 향후 임신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양성 자궁 질환으로 자궁절제술 및 보존적 수술을 받은 44,984명 중, 조직학적으로 샘모양 종양을 진단받은 1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후향적 분석을 통해 샘모양종양의 발생부위, 동반 병변 등을 살펴보고, 보존적 수술을 받은 가임기 여성의 경우 향후 임신 성공 여부 및 재발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양성 자궁질환 중 자궁 샘모양 종양을 진단받은 195명으로 빈도는 0.42%이다. 환자들의 주 증상은 통증 (25.1%), 출혈(30.2%), 복부에서 촉지되는 종괴였으며, 동반되는 부인과 질환으로는 자궁 근중 (46.6%), 자궁선근증 (25.1%) 및 자궁내막증(13.1%)이 가장 많았다. 보존적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는 46명이었으며, 그 중 13명이 임신에 성공하고 분만하였으며, 샘모양 종양이 재발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샘모양 종양은 자궁근종과 주로 동반하며, 임상양상도 비슷하기 때문에 수술 전 진단이 어려운 질환이나, 재발은 거의 없으며, 가임기 여성의 경우 임신 능력을 보존하기 위하여 보존적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환자의 상담에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 Adenomatoid tumors of female genital tracts are benign lesions derived from mesothelium, occurring most commonly during the reproductive yea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verall incidence of adenomatoid tumors in Korean women and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Methods: One hundred and ninety five patients with adenomatoid tumors were found in a retrospective medical records review of pathologic reports for 44,984 benign uterine diseases at Cheil General Hospital, from January 1995 to April 2009. Results: The overall incidence rate was 0.42% of all benign uterine disease. Among them, 149 patients received hysterectomy, and 46 patients received uterine conservative surgery. Main symptoms of the patients were pain (25.1%), bleeding (30.2%), and palpable mass (18.5%). Most common associated pathologies were leiomyoma (46.6%), adenomyosis (25.1%) and endometriosis (13.1%). Most of the diagnosis was made postoperatively. Among 46 patients with conservative treatment, 13 patients showed successful pregnancy outcome. No recurrence occurred during the follow up period. Conclusion: Adenomatoid tumors are associated with fibroids and tend to mimic them clinically, making pre-operative diagnosis difficult. The recurrence is rare even after conservative operation. Our data about this benign neoplasm may be helpful for counseling patients after operations.

      • KCI등재

        질식 자궁적출술이 질 전체 길이에 미치는 영향

        김미라 ( Mi La Kim ),이원식 ( Won Sik Lee ),조연진 ( Joo Myung Kim ),김주명 ( Yeon Jean Cho ),주관영 ( Kwan Young Joo ),최규홍 ( Kyu Hong Choi ),이인국 ( In Kook Lee ),김재준 ( Jae Joo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1

        목적: 질식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수술이 질 길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38개월의 기간 동안 한 명의 수술자에 의해 질식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 15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질식 자궁적출술시 질원개 탈출을 예방하기 위해 자궁천골인대의 상방 1.0~1.5 cm 부위와 질끝단을 재차 봉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측정된 수술 전후의 질 전체 길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술전에 측정된 평균 질 전체 길이는 7.32±0.84 cm였다. 수술 2개월 후, 평균 질 전체 길이는 7.42±0.77 cm로 길어졌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P=0.045). 155명의 환자 중 81명은 술후 5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 질 전체 길이가 다시 측정되었으며, 이들에서의 질 전체 길이는 술전과 비교하여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7.3±0.82 cm vs 7.48±0.78 cm, P=0.011). 1년 이상의 기간이 지난 후에 다시 질 전체 길이가 측정된 환자는 30명이었으며, 이들에서도 질 전체 길이는 술전에 비해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 (7.17±0.81 cm vs 7.46±0.66 cm, P=0.006). 결론: 질식 자궁적출술 후의 질 전체길이는 임상적인 의미는 미미하지만, 통계학적으로는 의미있는 증가를 보인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act of vaginal hysterectomy on total vaginal length (TVL). Methods: Retrospective analysis of 155 medical records of patients underwent vaginal hysterectomy by one surgeon with benign uterine pathology in the absence of prolapse between January 2004 and February 2007. After hysterectomy, uterosacral vaginal vault resuspension (anchoring to vaginal vault about 1.0~1.5 cm proximal at the ligament) was performed for prevention of vault prolapse.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TVL before and after surgery were evaluated. Results: Preoperative mean TVL was 7.32±0.84cm. At two months after the surgery, mean TVL was 7.42±0.77 cm. The change of vaginal length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P=0.045). Eighty-one patients were reevaluated at five to twelve months after surgery, mean TVL was longer than the preoperative results (7.3±0.82 cm vs 7.48±0.78 cm, P=0.011). We evaluated 30 patients who were followed at least 12 months after the surgery, the length was longer than the preoperative results, also (7.17±0.81 cm vs 7.46±0.66 cm, P=0.006). Conclusion: Although that appears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elongation of the total vaginal length after vaginal hysterectomy, the impact is unlikely to be clinically significant.

      • KCI등재후보

        조기폐경 환자에서의 호르몬 치료에 대한 순응도 분석

        이희숙 ( Hee Suk Lee ),옥지훈 ( Ji Hoon Ok ),김주명 ( Joo Myung Kim ),조연진 ( Yeon Jean Cho ) 대한폐경학회 2013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2

        연구목적: 조기폐경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기 폐 경과 관련된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고, 호르몬 치료에의 순응 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갱년기 증상을 보이고, 적어도 1개월 이상의 간격을 두고 시행한 혈액검사상 난포자극 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수치가 40 IU/L 이상으로 증가되어 있으면서 저에스트로겐 혈 증을 보이는 환자 중 40세 이하의 여성 총 1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특성 및 치료 순응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조기폐경 환자의 평균 나이는 33.2 ± 5.2세, FSH 의 평균값은 78.8 ± 28.8 IU/L였다.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중 가장 흔한 것은 무월경 또는 희발월경이었다. 조기폐경 환자 중 88명은 결혼한 상태였으며 이들 중 22명은 불임으로 내원하였다. 조기폐경의 대부분은 원인미상이었고 (54.8%), 의인 성 원인에 의한 조기폐경이 30.2%로 나타났다. 호르몬 치료를 시작한 환자는 절반 이하인 61명에 불과하였으며, 유방암이나 간 기능 이상, 임신을 위한 배란유도제 사용 등으로 11명의 환자에서는 호르몬 치료를 시작하지 않았다. 호르몬 치료를 받은 환자 중 단지 37명 (60.5%) 만이 치료 시작 1년 후 추적관찰 되었다. 결론: 조기폐경 환자들에게 충분한 정서적인 지지와 향후 임신 여부에 대한 상담 및 조기폐경 이후의 퇴행성 변화에 대한 교육을 통해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순응 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POF) and patients` compliance with hormonal treatment.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26 patients diagnosed with POF was selected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7. The clinical, etiologic features and treatment compliance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age of diagnosis was 33.2 ± 5.2 years. The mean value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was 78.8 ± 28.8 IU/L. The most common symptom was amenorrhea or oligomenorrhea (54%). Eighty-eight patients were married and 22 of them visited our clinic due to infertility. The most common etiology was unknown (54.8%) and the second most common cause was iatrogenic (29.4%). Only 61 patients underwent hormonal treatment (48.4%). The remaining 11 patients did not undergo hormonal treatment due to other medical conditions such as breast cancer or liver disease; however, they were followed-up regularly (8.7%). Among the treatment group, only 37 patients were followed-up over a period of 12 months (60.7%). Conclusion: About half of the women diagnosed with POF did not accept their own problems and therefore delayed essential treatment. Clinicians should educate the importance of early treatment for preventing degenerative changes. (J Korean Soc Menopause 2013; 19:87-92)

      • KCI등재

        복강경하 자궁경부 자궁근종절제술: 단일 기관에서의 5년간의 경험

        이수윤 ( Soo Yoon Lee ),이희숙 ( Hee Suk Lee ),조연진 ( Yeon Jean Cho ),주관영 ( Kwan Young Joo ),김주명 ( Joo Myu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7

        목적: 복강경수술이 발전하면서 자궁근종의 치료에 있어 복강경 접근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그러나 자궁경부에 위치한 근종에 대한 복강경 수술은 아직 쉽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자궁경부에 위치한 자궁근종의 복강경수술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본원에서 시행된 자궁경부근종의 복강경수술 총 65예에 대해 의무기록 분석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시행되었다. 결과: 총 65명의 환자가 포함되었고, 수술의 이유는 자궁근종 크기의 증가가 가장 많았다. 수술 시간은 평균 63분이 걸렸으며 수술 시 자궁근종의 최대 직경의 평균은 72 mm였고, 개복수술로 전환된 경우는 없었다. 결론: 자궁경부에 위치한 근종에 대한 복강경적 접근은 안전하며 효율적으로 시행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This retrospective case series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safety of laparoscopic cervical myomectomy. Methods: Sixty-five patients with cervical myoma who underwent laparoscopic cervical myomectom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9.2 ± 6.0 years. The marriage rate was 67.7%, and the mean parity was 1.09. The most common symptoms in the patients were increased myoma size (41.5%) and menorrhagia (13.8%), while 20% of patients were asymptomatic. The average diameter of the myomas treated was 72.68 ± 20.28 mm, and the mean number of myomas per patient was 1.41± 0.88. Laparoscopic cervical myomectomy required a mean time of 63.25 ± 20.34 minutes. The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hemoglobin levels was 2.01± 0.73 g/dL, and no patient required transfusion or conversion to laparotomy. Conclusion: Sixty-five procedures of laparoscopic cervical myomectomy were performed safely. Operation time and complications were minimal. With correct understanding of pelvic anatomy, laparoscopic cervical myomectomy can be carried out safely and easily, and represents a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choice for symptomatic cervical my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