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조명제어 시나리오 제안 -미추홀구 보건소 사례를 중심으로-

        조연주,최안섭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22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36 No.9

        Greenhouse gas reduction has become a global topic in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In Korea, a ‘Green Remodeling’ project is underway to improve the energy performance of old buildings and convert them into green building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this study, a smart lighting control scenario that can maximize energy saving in the lighting field was proposed for the Michuhol-gu public health center, the target of the ‘Green Remodeling’ project. Indoor space was divid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user's occupancy pattern, and smart lighting control scenarios applicable to each type were presented. The lighting control scenarios proposed in this study can increase the energy saving rate by combining smart technologies such a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sensors with LED lighting fixtures. Furthermore, it can be applied to other project sites where ‘Green Remodeling’ will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so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aving lighting energy.

      • 배가스 내 PM1.0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정전분무 습식 전기집진기에 대한 연구

        조연주,임현정,김소연,최상미,정민규,김민성,Cho, Yeonjoo,Lim, Hyunjeong,Kim, Soyeon,Choi, Sangmi,Jeong, Min Kyu,Kim, Minsung 한국플랜트학회 2020 플랜트 저널 Vol.16 No.1

        최근 한국의 미세 먼지 오염도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배가스 내 미세먼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습식 전기집진기와 사이클론 집진기에 정전분무 기술을 결합하여 집진 성능의 증대를 목표로 한다. 정전분무는 일반적으로 질량분석, 혹은 반도체 코팅에 이용되므로 그 유량이 매우 적다. 분무 액적과 미세먼지의 이온결합을 통하여 집진을 해야하는 본 연구의 특성상 기존 정전분무의 유량에 대비하여 매우 큰 유량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정전분무 시작 전압, 혹은 분무 형상과는 다른 형상을 보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정전분무와는 다른 유량 및 전압 범위를 사용함으로써 예상되는 다양한 형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ne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ust collector by increasing the fine dust pollution in Korea is eminent. In this study, electrostatic spray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used to remove Particulate Matter (PM). In order to enter the Cone-jet mode, which is the most stable spray mode among the various modes of electrostatic spraying, an appropriate voltage-flow condition must be satisfied, and a voltage-flow interval enabling this can be expressed as Stability Island. The voltage at which the conduit mode starts in the Stability Island section is referred to as the electrostatic spray minimum voltage (Onset Voltage). 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ostatic spray is uses a very low flowrate, at most few millilitres per minute. The use of much higher flowrates has introduced different patterns of electrospray modes. In this study, the different spray modes will be studied in detail.

      • KCI등재후보

        기술기반 기업의 혁신관리와 HRD 전략

        조연주 한국산업교육학회 2003 산업교육연구 Vol.9 No.-

        본 논문에서는 기술주도 기업의 혁신관리와 HRD 전략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기술변화과정과 혁신사례, 혁신의 새로운 개념, 혁신관리를 위한 양수겸장의 조직과 조직문화, 리더십 등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IT 및 정보통신산업으로 대별되는 기술기반 기업의 HRD 전략을 위한 몇가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의 불완전법칙을 통해 모든 기술은 개량개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끊임없는 기술혁신이 필요하다. 둘째, 혁신의 개념 자체를 새롭게 해석해야 한다. 전에 혁신은 발명과 동일시되었지만, 지금은 혁신적 아이디어가 적용되어 사업화되는 과정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이 되었다. 셋째, 기술기반 기업은 현재 이익을 보는 점진적 혁신과 미래의 획기적 혁신이 공존하는 조직을 지향해야 한다. 두가지 상반되는 조직구조와 조직문화의 공존을 필요로 하는 “양수겸장의 조직”을 위해 관리자의 리더십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때 필요한 HRD 전략은 기술기반 기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기술전문가의 발굴과 육성, 그들의 상상력과 창의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북돋아주는 조직환경의 제공이다. 특히 건강한 조직문화가 존재하고 있는지 그 여부를 먼저 진단한 후, 전직원의 인력개발 및 제반 전문기술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술기반 기업에 필요한 이상과 같은 몇가지 HRD 전략은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닐 수도 있다. 기술기반 기업의 HRD 역할은 혁신기업의 대표적인 혁신요소들을 점검하고 어떻게 하면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는지를 조직구조, 조직문화, 리더십, 상상력 및 창조성 제고라는 관점에서 숙고하는 일이다. 따라서 기술기반 기업의 HRD 전략은 핵심인재(기술전문가)의 확보와 양성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산업부문과 맥을 함께 하면서, 동시에 기술기반 기업이 가지는 기술변화의 특성과 혁신관리라는 특수성을 동시에 반영해야 하는 어려운 숙제를 안고 있다. This article discussed technology cycle, new concept and examples of innovation, innovation management, and "ambidextrous organization," in order to suggest HRD strategies for technology-based corporations. Following are the HRD strategies for technology-based corporations which includes IT and telecommucations industry. First, as the principle of imperfection indicates, technology should continuously be improved for better products. Second, the concept of innovation has been changed from the narrow to the broader one, meaning that innovation is not a technology process but a technically intense business process. Third, an alternative organization called "ambidextrous organization," intertwines present gradual innovation and fulture discontinuous innovation. The amdextrous organization contains totally different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cultures, which require strong leadership to succeed. Corresponding HRD strategies include selection, development, and retention of core competent technical experts, and more importantly, provision of infra to maximize their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e role of HRD in technology-based corporation is first to prescribe the existence of healthy culture, and then to provide with organization members a chance to develop their technical skills and expertise. The HRD strategies in technology-based corporations have commonality with those of other industry in terms of selecting and retaining core competences, but have particular difficulties in terms of reflecting upon technology cycle and innovation management for long-term development.

      • KCI등재

        래더링 기법 적용을 통한 문화공간 방문객의 가치체계 분석 - 유휴산업시설 재생 문화공간 방문객을 대상으로 -

        조연주,신경주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5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 system - what is most valued property that cultural space visitorsput their interesting to visit - based on the means-end chain theory using the laddering methods. This study is surveyed withthe data that is collected from 426 visitors of 6 different cultural spaces which were converted from idle industrial facilities withhard laddering. To carry out this study, implication matrix was made by contents analysis and hierarchical value map wasmapped. The hierarchical value map indicates the connections among attributes, functional consequences, psychosocialconsequences and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ase and convenience of accessibility to the places,beautiful surroundings, quiet atmosphere, various attractions and originality of the exhibits were the valuable attributes thatvisitors consider as important to choose cultural spaces. The hierarchical value map revealed four major linkages (1) Ease andconvenience of accessibility to the places(A)-enjoying cultural life in everyday life(FC)-refreshment(PC)-heartsease(V). (2) Variousattractions(A)-variety of experiences(FC)-satisfying curiosity(PC)-fun and excitement(V). (3) Quiet atmosphere(A)-relaxation(FC)-emotional stability(PC)-heartsease(V). (4) Beautiful surroundings(A)-relaxation(FC)-stress relief(PC)-heartsease(V).

      •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홈 서비스

        조연주 가정과삶의질학회 2021 가정과삶의질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Vol.2021 No.10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의 발전과 4차 산업 혁명시대의 도래로 주거공간에 IoT(Internet of Things), AI(Artificial Intelligence), 빅데이터(Big Data) 등의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홈이 주목받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확산된 언택트(Untact) 문화도 스마트홈 시장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있다. 스마트홈은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엔터테인먼트, 헬스케어, 에너지관리 측면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미래 주거의 트렌드로 부각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스마트홈 시장의 규모는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홈은 첨단기술의 적용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기술 중심적 관점이 아닌 사용자 중심적 관점에서 스마트홈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며, 스마트홈은 사용자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홈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제 조건 및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네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사용자와 스마트홈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매개 역할을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s)의 사용성 (Usability) 향상이 요구된다. 스마트홈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사용법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시각적 단서를 제공해야 하며, 불필요한 디자인 및 정보를 최소화하고 멘탈 모델(Mental Model)을 고려한 디자인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조작방법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고, 입력된 명령의 처리 상태나 조작 결과에 대해 명확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원활한 작업 수행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둘째, 표준화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융합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스마트홈의 서비스 영역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IoT 기기 및 플랫폼이 출시되고 있지만 기기간의 연동이 불가능하여 불편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스마트홈 플랫폼의 확장성은 성공적인 스마트홈 서비스 제공의 필수조건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기기 간의 통신 및 통합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의 표준화가 요구된다. 셋째, 사용자의 취향, 생활 패턴, 선호도, 현재 상황 등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영상인식, 화자인식, 패턴인식, 상황인식 기술 등을 융합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결합을 통해 생활 전반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개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보안 및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방대하고 세밀한 개인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은 개인화 서비스의 고도화를 가능하게 하지만 개인정보 유출과 프라이버시 침해 등의 역기능도 낳는다. 따라서 사용자 인증 절차 강화, 인증정보 보호, 데이터 암호화, 개인정보 보호, 안전한 통신채널 제공 등을 통해 스마트홈 시스템의 보안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보안 강화 체계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성당 비전례공간 평가 - 부산교구 6개 사례를 중심으로 -

        조연주,남경화,신경주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3

        This study evaluated non-liturgical space of catholic churches based on the four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accessible design, supportive design, safety-oriented design, and adaptable design. To design those spaces in terms of supportive design principle, diaper exchanging station needs to be placed in the restroom.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erms of accessible design, valid width of entrance door to each room(more than 800mm), installation of elevator, height of riser in the stair, and width of step board were appropriate, but there were many spaces where door sils were not removed. In terms of supportive design, notice board at teacher’s room and installation of storage closet, and width of passage to office(more than 1,200mm) were also appropriate, but storage closet at a meeting and prayer room, and space for storing flowers appeared inappropriate. To design those spaces in terms of supportive design principle, diaper exchanging station needs to be placed in the restroom. In terms of safety-oriented design, installation of round-edged furniture, use of non-slip flooring material, installation of safety emergency bell at a restroom, and installation of wall handle were required. In terms of adaptable design, space for wheelchair users at each room, installation of the furniture that can adjust the height, installation of desk with different height at an office, installation of toilet and basin considering children we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본 연구는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부산교구 6개 성당의 비전례공간의 현황을 평가함으로써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성당건축의 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의 적용 현황은 접근성, 지원성, 안전성, 수용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접근성 측면에서 각 실의 출입문의 유효 폭(800mm 이상), 엘리베이터의 설치, 계단의 챌면 높이, 디딤판 너비 등은 적합하였으나 문턱이 제거되어 있지 않은 공간이 많아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였다. 지원성 측면에서 교사실의 알림판 및 수납장의 설치, 사무실 통로의 폭(1,200mm 이상)은 대체로 적합하였으나 모임 및 기도실의 수납장과 꽃 보관 공간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보완이 필요하였고, 화장실 공간에는 기저귀 교환대의 설치가 필요하였다. 안전성 측면에서는 각 실에 모서리가 둥근 형태의 가구 설치, 논 슬립 바닥재의 사용, 화장실에 안전 비상벨 및 벽 손잡이 설치 등이 필요하였다. 수용성 측면에서는 각 실에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공간 마련,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 설치, 사무실 공간에 높낮이가 다른 형태의 데스크 설치, 어린이를 고려한 변기 및 세면대의 설치 등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