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 집행과 적극적 시민의식의 역할: ‘사회적기업제품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를 중심으로
조연주,김현준 한국국정관리학회 2023 현대사회와 행정 Vol.33 No.1
As the type and category of social problems expanded, it became complicated that could not be solved only by the state or market mechanism, and a social economy that combines social values and market economy emerged as a new alternative. The government recognizes the usefulness of social enterprises as a voluntary subject of social value creation and provides support policies for them, but the implementation level of support policies for social enterprises varies considerably from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enterprise support policies, it is necessary to diagnose what factors cause differences across jurisdictions. The political and socioeconomic environment and conditions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as factors affecting the activism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n this study, citizenship held by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is presented as one of the main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enterprise support policies. As a result of analyzing local governments' social enterprise product purchases and citizen awareness survey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 solidarity factor of active citize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xecution of social enterprise support policies.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the social economy, including social enterprises, policy efforts to promote citizens' social efficacy should be expanded. 사회문제는 국가 혹은 시장 기제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게 되었고, 사회적 가치와 시장 경제가교합된 사회적경제가 새로운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정부는 사회적 가치 창출의 자발적 주체로서 사회적기업 지원 정책을 제공하고 있으나, 지원정책이 집행되는 수준은 지방자치단체 별로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집행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지역 간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무엇인지 진단할 필요가 있다. 지자체 수준의 적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정치적, 사회경제적 요인이 중요하게 고려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해당 지역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갖고 있는 시민의식을 사회적기업 지원 정책의 집행에 영향을 주는 주요 환경 변수로 제시한다. 분석 결과, 적극적 시민의식의 연대 요소가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집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을 포함한 사회적경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시민들의 사회적 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조연주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09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2 No.-
문화는 이제 국가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자 이를 통해 수익올 창출하는 대표적인 문화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문화는 21세기 우리의 삶을 디자인하는 키워드 이자 그 자체가 삶의 질이며 국가 간의 경쟁력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화는 비전 있는 창의력과 미래에 대한 신념 및 의지에서 비롯된 경제적 가치와 산업적 고부가가치를 지닌 21세기 창조물의 산물이다. 21세기의 세계는 WTO 체제 하에서의 개방 물결에 따라 전문화 및 세분화에 의한 인간 중심적이고 사회 문화적인 총체적 재통합을 이끄는 새로운 디자인 시대라 할 수 있다. 세계 각국은 실리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국가간의 경제전쟁은 날이 갈수록 치열해 가고 있는 가운데 디자인을 상품을 파는 하나의 수단이 아닌 각국의 문화 수준을 결정짓는 가시적 표상으로 제품의 부가 가치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세계화는 단일한 공동체로 가면서 기술수준이나 성능이 획일화되면서 보펀적 생활양식으로 문화적 차이를 사라져 가게하고 지배적인 움직임보다는 통합으로 전개되어 자국의 독특한 문화와 다른 나라의 문화가 혼합되는 유사한 요소가 늘어나고 있다. 더욱이 통신기술과 교통수단의 발달로 문화의 동질화 현상이 가속화 될 것이다. 국가 간에 무역증대에 있어 세계는 자국이 판매한 하나의 제품이 자국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제품을 통해서 다른 나라의 문화를 접하고 그에 영향을 받는다. 이는 자국문화를 전파하는데 문화 중심적 디자인 개발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며 디자인의 의미가 더욱 커지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국가간 문화적 차이가 적어짐에 따라 국제경쟁 사회에서 자국의 판매와 차이가 적어짐에 따라 국제경쟁 사회에서 자국의 판매와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고유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개발한 제품만이 경쟁력의 수단이 되는 것이다. 자국의 문화를 디자인에 적용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수립해야 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디자인 선진국의 현황을 파악 분석하여 고유의 전통문화이미지를 응용하는데 있어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세계화 속에 경쟁력 있는 한국 문화 디자인에 활용되고자 한다.
북한이탈주민 대상 정착 목적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연구: 지역적응센터 초기집중교육 연계 방안
조연주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8 현대북한연구 Vol.21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nguistic accommodation education courses for North Korean Migrants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design practical syllabus. The two-sided feature of North Korean migrants’ language as a Korean for national people and a Korean for migrants has become a stepping stone and hindered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curriculum, rather than has achieved synergy effect between the two academic areas. Taking this situation into consideration, the study defines their language as ‘Korean for Settlement Purpose’ based on learner variables and learning purposes. And based on the needs analysis and the comparison of the courses, this study designed five categories of education contents: culture, word and expression,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language manners and speech acts, activities and tasks. The study is limited by the fact that no practical teaching-learning was performed, and that only the early phase of settlement was covered. However, in the situation which the educational and practical approach is lacking,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defines language education of North Korean migrants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vides a pedagogical and practical syllabus. It is hoped that it would give some useful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언어적응교육 과정을 한국어 교육 관점에서 고찰하고, 요구분석과 상황분석을 통해 실천적인 교수요목을 설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북한이탈주민 언어는 국어와 한국어의양면적 특성을 보이는데, 이것이 디딤돌이 되어 두 학제 간 상승효과를얻기보다는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 변인과 학습 목적을 근거로 북한이탈주민의 언어교육을 ‘이주자 대상 정착 목적 한국어 교육’으로 규정하고 실천 가능한 교수요목을설계하였다. 학습자 요구분석과 5개 기관 북한이탈주민 언어적응교육 과정 분석을 토대로 ‘문화, 단어와 표현, 발음과 억양, 언어 예절과 화법(화행), 활동 및 과제’의 5개 교육내용의 범주를 설정하고, 지역적응센터 초기집중교육과 연계 가능한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지 못한 점과 정착의 초기 단계에만 초점을 맞춘 점은 본고의 한계로남는다. 하지만 북한이탈주민의 언어적응실태에 관한 연구는 다소 있으나 교육적·실천적 접근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이들의 언어교육을 학문의 한 분야로 구분하고 적용 가능한 교수요목을 설계함으로써후속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본다.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성당 비전례공간 평가 - 부산교구 6개 사례를 중심으로 -
조연주,남경화,신경주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3
This study evaluated non-liturgical space of catholic churches based on the four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accessible design, supportive design, safety-oriented design, and adaptable design. To design those spaces in terms of supportive design principle, diaper exchanging station needs to be placed in the restroom.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erms of accessible design, valid width of entrance door to each room(more than 800mm), installation of elevator, height of riser in the stair, and width of step board were appropriate, but there were many spaces where door sils were not removed. In terms of supportive design, notice board at teacher’s room and installation of storage closet, and width of passage to office(more than 1,200mm) were also appropriate, but storage closet at a meeting and prayer room, and space for storing flowers appeared inappropriate. To design those spaces in terms of supportive design principle, diaper exchanging station needs to be placed in the restroom. In terms of safety-oriented design, installation of round-edged furniture, use of non-slip flooring material, installation of safety emergency bell at a restroom, and installation of wall handle were required. In terms of adaptable design, space for wheelchair users at each room, installation of the furniture that can adjust the height, installation of desk with different height at an office, installation of toilet and basin considering children we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본 연구는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부산교구 6개 성당의 비전례공간의 현황을 평가함으로써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성당건축의 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의 적용 현황은 접근성, 지원성, 안전성, 수용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접근성 측면에서 각 실의 출입문의 유효 폭(800mm 이상), 엘리베이터의 설치, 계단의 챌면 높이, 디딤판 너비 등은 적합하였으나 문턱이 제거되어 있지 않은 공간이 많아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였다. 지원성 측면에서 교사실의 알림판 및 수납장의 설치, 사무실 통로의 폭(1,200mm 이상)은 대체로 적합하였으나 모임 및 기도실의 수납장과 꽃 보관 공간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보완이 필요하였고, 화장실 공간에는 기저귀 교환대의 설치가 필요하였다. 안전성 측면에서는 각 실에 모서리가 둥근 형태의 가구 설치, 논 슬립 바닥재의 사용, 화장실에 안전 비상벨 및 벽 손잡이 설치 등이 필요하였다. 수용성 측면에서는 각 실에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공간 마련,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 설치, 사무실 공간에 높낮이가 다른 형태의 데스크 설치, 어린이를 고려한 변기 및 세면대의 설치 등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배가스 내 PM1.0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정전분무 습식 전기집진기에 대한 연구
조연주,임현정,김소연,최상미,정민규,김민성,Cho, Yeonjoo,Lim, Hyunjeong,Kim, Soyeon,Choi, Sangmi,Jeong, Min Kyu,Kim, Minsung 한국플랜트학회 2020 플랜트 저널 Vol.16 No.1
The ne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ust collector by increasing the fine dust pollution in Korea is eminent. In this study, electrostatic spray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used to remove Particulate Matter (PM). In order to enter the Cone-jet mode, which is the most stable spray mode among the various modes of electrostatic spraying, an appropriate voltage-flow condition must be satisfied, and a voltage-flow interval enabling this can be expressed as Stability Island. The voltage at which the conduit mode starts in the Stability Island section is referred to as the electrostatic spray minimum voltage (Onset Voltage). 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ostatic spray is uses a very low flowrate, at most few millilitres per minute. The use of much higher flowrates has introduced different patterns of electrospray modes. In this study, the different spray modes will be studied in detail.
Experimental study of electrostatic spray modes of high-flowrate water with horizontal nozzle
조연주,김소연,임현정,최상미,김민성 대한기계학회 2019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3 No.9
Since the introduction of electrostatic spray technology for several decades, it has been configured most frequently with a vertical discharge nozzle. With a recent expansion in application areas, electrostatic spray with a horizontal nozzle has been studied in a narrow range of low volumetric flowrates. In this study, a horizontal discharge nozzle with an upright collector plate is experimented in consideration of its application to electrostatic precipitators. Using a large volumetric flowrate at the scale of milliliters per minute, the operation modes with horizontal nozzle are observed with high-speed digital cameras under different test conditions of nozzle sizes, nozzle-to-plate distances, and volumetric flowrates. The operation modes were classified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lectrostatic spraying modes. From the experiment, it is found that the nozzle diameter and the volumetric flowrate influence the spraying pattern while the applied voltage and nozzle-to-plate distance have a more defined impact on the determination of the modes. A novel spray map diagram was provided according to Reynolds number and electric field intensity. This diagram will serve to predict which modes will occur at certain geometric and flowrate conditions.
조연주,안력,최병호,홍은석,최욱진,이혜지 대한응급의학회 2015 대한응급의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2
자발적 부신출혈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성인에서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단측성 부신출혈은 양측성에 비해 보고된 예가 드물다. 부신 출혈은 급성 부신 기능 부전과 같은 내분비계의 문제뿐만 아니라 복강 내 출혈로 혈역학적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처치를 필요로 하지만,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은 대부분 비 특이적으로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에 어려움이 있다. 성인에서 발생하는 부신출혈은 외상, 항응고제 사용이나 응고장애 질환, 패혈증, 수술, 종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외상이나 특이 병력 없이 갑작스러운 측복통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서, 명확한 출혈의 원인이 없이 발생한 단측성 부신 출혈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