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 중부지역 조림지 소나무와 곰솔의 장기적 낙엽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동태변화

        이일환,조수언,이영상,원호연,Lee, Il-hwan,Jo, Soo-un,Lee, Young-sang,Won, Ho-yeon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3

        공주지역에 조림된 리기다소나무 군락에서 국내 대표 수종인 소나무와 방풍림으로 주로 조림되는 곰솔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의 함량 변화를 파악하였다. 분해 60개월 경과 후 소나무 낙엽과 곰솔 낙엽의 잔존율은 각각 42.12±5.30과 24.79±1.98%로 소나무와 곰솔의 낙엽 분해율은 곰솔 낙엽의 분해가 소나무 낙엽의 분해에 비해 빠르게 일어났다. 60개월 경과 후 소나무 낙엽과 곰솔 낙엽의 분해상수(k)는 각각 3.02과 3.59로 곰솔 낙엽의 분해상수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 낙엽의 분해과정에 따른 C/N, C/P 비율은 초기에 각각 14.4, 144.1이었으나 60개월 경과 후에는 각각 2.26와 40.1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곰솔 낙엽의 경우 초기 C/N, C/P 비율은 각각 14.4와 111.3로 나타났고, 60개월 경과 후에는 각각 3.06와 45.8로 나타났다. 낙엽의 초기 N, P, K, Ca, Mg 함량은 소나무 낙엽에서 각각 3.07, 0.31, 1.51, 16.56, 2.03 mg g<sup>-1</sup>, 곰솔 낙엽에서 각각 3.02, 0.39, 0.99, 19.55, 1.48mg g<sup>-1</sup>로 소나무 낙엽과 곰솔 낙엽의 질소와 인의 함량은 유사하였다. 60개월 경과 후 N, P, K, Ca, Mg의 잔존율은 소나무 낙엽에서 각각 231.08, 130.13, 35.68, 48.58, 36.03%이었고, 곰솔 낙엽에서 각각 143.91, 74.02, 28.59, 45.08, 44.99%로 나타났다.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the decay rate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eaf litter decomposition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in Gongju for 60 months, from 2014 to 2019. P. thunbergii leaf litter decomposed faster than that of P. densiflora. The decay constant of P. densiflora and P. thunbergii leaf litter after 60 months was 3.02 and 3.59, respectively. The initial C/N ratio of P. densiflora and P. thunbergii leaf litter were 14.4 and 14.5, respectively. After 60 months, C/N ratio of decomposing P. densiflora and P. thunbergii leaf litter decreased to 2.26 and 3.0, respectively. The initial C/P ratio of P. densiflora and P. thunbergii leaf litter were 144.1 and 111.3. After 60 months elapsed, the C/P ratio of decomposing P. densiflora and P. thunbergii leaf litter decreased to 40.1 and 45.8, respectively. After 60 months, the percentage of the remaining N, P, K, Ca, and Mg in decomposing P. densiflora leaf litter was 231.08, 130.13, 35.68, 48.58, and 36.03%, respectively. After 60 months, the percentage of the remaining N, P, K, Ca, and Mg in decomposing P. thunbergii leaf litter was 143.91, 74.02, 28.59, 45.08, and 44.99%,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an insight into the forest ecosystem function of coniferous fores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mount of nutrient transfer into the soil through a long-term decomposition process; this information i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paring counter measures for future climate and ecosystem changes.

      • KCI등재

        리기다소나무와 잣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 변화

        원호연,이영상,조수언,이일환,진선덕,황소영 한국환경생태학회 201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2 No.6

        We examined the nutrient dynamics during the leaf litter decomposition rate and process of Pinus rigida and Pinus koraiensis in Gongju for 21 months from December 2014 to September 2016 as a part of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rogram in Korea. The remaining weight rate of P. rigida and P. koraiensis leaf litter was 58.27±4.13 and 54.08±4.32%,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P. koraiensis leaf litter decomposed faster than P. rigida leaf litter. The decay constant (k) of P. rigida leaf litter and P.koraiensis leaf litter after 21 months was 0.95 and 1.08,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P. koraiensis leaf litter decayed faster than P. rigida leaf litter probably due to the difference of nitrogen concentration between the two. The C/N ratio of P. rigida and P. koraiensis leaf litter was 64.4 and 40.6, respectively, initially, and then decreased to 41.0 and 18.9, respectively, after 21 months. The C/P ratio of P. rigida and P. koraiensis leaf litter was 529.8 and 236.5, respectively, and then decreased to 384.1, 205.2, respectively, after 21 months. The contents of N, P, K, Ca, and Mg were 6.78, 0.83, 2.84, 0.99, and 2.59 mg/g, respectively, in the P. rigida leaf litter and 10.90, 1.87, 5.82, 4.79, and 2.00 mg/g, respectively, in the P. koraiensis leaf litter, indicating that the elements except the magnesium showed higher contents in P. koraiensis. After 21 months elapsed, remaining N, P, K, Ca, and Mg was 88.4, 77.6, 26.7, 50.5 and 44.5%, respectively, in decomposing P. rigida, and 114.4, 61.3, 7.6, 115.2 and 72.0%, respectively, decomposing P. koraiensis leaf litter. 국가장기생태연구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주요 조림수종인 리기다소나무와 잣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영양염류 함량 변화를 파악하였다. 분해 21개월경과 후 리기다소나무 낙엽과 잣나무 낙엽의 잔존률은 각각 58.27±4.13, 54.08±4.32으로 잣나무 낙엽의 분해가 리기다소나무 낙엽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개월경과 후 리기다소나무 낙엽과 잣나무 낙엽의 분해상수(k)는 각각 0.95, 1.08로 잣나무 낙엽의 분해상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 낙엽과 잣나무 낙엽의 초기 C/N 비율은 각각 64.4, 40.6 이었으나 21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41.0, 18.9로점차 감소하였고, C/P 비율은 리기다소나무 낙엽과 잣나무 낙엽에서 초기에 각각 529.8, 236.5에서 21개월경과 후384.1, 205.2로 감소하였다. 낙엽의 초기 N,P,K,Ca,Mg 함량은 리기다소나무 낙엽에서 각각 6.78, 0.83, 2.84, 0.99, 2.59 mg/g 이었으며, 잣나무 낙엽에서 각각 10.90, 1.87, 5.82, 4.79, 2.00 mg/g으로 마그네슘을 제외한 원소의 함량은잣나무에서 높았다. 21개월 경과 후 N,P,K,Ca,Mg 잔존률은 리기다소나무 낙엽에서 각각 88.4, 77.6, 26.7, 50.5, 44.5% 이었으며 잣나무 낙엽에서 각각 114.4, 61.3, 7.6, 115.2, 72.0%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구상나무 종자의 채집지에 따른 발아특성

        강근혜,황부영,이승훈,김성훈,조수언,박은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1

        Abies koreana wilson is a native plant in Korean peninsula and it has been consider asendangered spec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at to develop efficient proliferationtechnique of Abies koreana Wilson designated as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for climate change. The seeds of A. koreana were collected from 4 populations and their seed germination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oth on in-vivo and in-vitro, separately. At in-vivo, the fastestgermination was observed on 21 days after plantation of 004818 and 004825 seeds collectedfrom Byeoksoryeng, and at in-vitro on 8 days after plantation of 004696 and 004818 seedscollected from Nogodan and Byeoksoryeng. The highest and lowest germination rates wereobserved, for the in-vivo, in 004825(48.5%) seed collected from Byeoksoryeng and 004703(0.5%) seed collected from Deokyu Mountain, respectively, and for the in-vitro, in 004694(36%)seed collected from Dwaejipyeongjeon and 004703(0.7%) collected from Deok-yu Mountain. Asresult of suggesting that the germination rates are varied between in vivo and vitro even forsame species and the weight and shape have no effects on germination rate. 구상나무(Abies Koreana Wilson)는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기후변화 생물지표수종으로 지정되어 점차 쇠퇴해가는 구상나무의 효율적인 증식을 위해 종자를 활용한증식기술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4개의 집단으로부터 구상나무 종자를 채집하고 집단간 종자 및 발아특성에 대하여 기외와 기내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기외에서는 벽소령 004818과 004825종자가 21일부터 최초 발아를 시작하였으며 기내의 경우 노고단 004696종자와 벽소령 004818종자가 8일부터 최초 발아하였다. 기외에서 가장 높은 종자의 발아율은 벽소령 004825종자가 48.5%로, 가장 낮은 종자의 발아율은 덕유산 004703종자가 0.5%로 조사되었으며, 기내에서는 돼지평전 004694종자가 36%로, 덕유산004703종자가 0.7%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같은 종자임에도 기외와 기내에서의 종자 발아율에 차이를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종자의 중량과 형태는 발아율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