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M 기반 웹 이미지 분류에서 고수준 텍스트 특징들의 효과

        조수선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3 No.2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to increase the power of clustering Web images by using high-level semantic features from text information relevant to Web images as well as low-level visual features of image itself. These high-level text features can be obtained from image URLs and file names, page titles, hyperlinks, and surrounding text. As a clustering engine, self-organizing map (SOM) proposed by Kohonen is used. In the SOM-based clustering using high-level text features and low-level visual features, the 200 images from 10 categories are divided in some suitable clusters effectively. For the evaluation of clustering powers, we propose simple but novel measures indicating the degrees of scattering images from the same category, and degrees of accumulation of the same category images. From the experiment results, we find that the high-level text features are more useful in SOM-based Web image clustering. 본 논문에서는 웹 이미지의 분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이미지 자체에서 추출된 저수준의 비주얼 특징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관련된 텍스트 정보로부터 나온 고수준 시맨틱 특징들을 이용하는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이 고수준의 텍스트 특징들은 이미지 URL, 파일명, 페이지 타이틀, 하이퍼링크 및 이미지 주변 텍스트로부터 얻어진다. 분류 엔진으로는 Kohonen의 SOM(Self Organizing Map)을 사용한다. 고수준의 텍스트 특징들과 저수준의 비주얼 특징들을 동시에 사용하는 SOM 기반의 이미지 분류에서는 10개의 카테고리로부터 수집된 200개의 테스트 이미지들이 사용되었다. 분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간단하면서도 새로운 두 가지 척도, 즉 동일 카테고리 이미지들의 산포 정도와 집적 정도를 나타내는 각각의 척도를 정의하고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SOM기반의 웹 이미지 분류에서는 고수준의 텍스트 특징들이 보다 유용한 것임이 밝혀졌다.

      • 프락시 서버 기반의 인터넷 TV용 웹 브라우저 시스템

        조수선,김경일,마평수,Cho, Soo-Sun,Kim, Kyoung-Ill,Mah, Pyeong-S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논문지 Vol.7 No.8

        최근 몇 년 사이 보다 쉽고 간편한 인터넷 사용을 위하여 TV를 인터넷 단말로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TV용 웹 브라우저 시스템은 셋탑 박스와 TV 디스플레이를 실행 환경으로 하므로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르고 고유한 요구사항이 발생된다. 이러한 TV용 웹 브라우저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캐쉬 기능 뿐만 아니라 TV 환경에 적합한 HTML 변환 기능까지 포함하는 프락시 서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사용의 가장 보편적인 방법인 웹 환경을 일반 TV와 셋탑에 구현하기 위해 프락시 서버를 이용한 분산 구조를 소개하고, 이 프락시 서버의 주요 기능으로 TV-HTML 변환을 제안한다. Recently, there have been some trials to use a TV system as an Internet terminal for easier and more convenient use of Internet. Because a TV Web browser system has a TV display with a set-top box as an execution environment, it has some limits and there are specific requirements.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Web browser for TV needs the proxy server that includes HTML conversions for TV environments as well as general cash functions. In order to implement a Web environment on general TV and set-tops, we introduce a distributed structure using a proxy server and propose TV - HTML conversions as an important feature of the proxy server.

      • KCI등재

        컴퓨터학부 기초전공 수업에서 팀 활동에 대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활용성 연구

        조수선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2

        In this paper, availabilities of student-evaluations of team activities in the computer science basic classes were analysed. For the purpos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eer-evaluation, self-evalu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m. Moreover, the gap between peer-evaluation scores and self-evaluation scores was analyzed. When a one-sample t-test was performed, it was found that the gap was very significant. However, the size of the gap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classes. That is, regardless of grade level, the students' self-evaluation scores tended to be on average higher than the evaluation scores received from peers. Finally,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p in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scor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ap in scor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ther word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endency of evaluation for students with high or low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s the availability of student-evaluations of team activities in the evaluation of team-based instruction.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and peer-evaluation indicates the objectivity of student-evaluation. Although it is clear that the self-evaluation score is higher on average than the score received from peers, it is more useful in terms of objectivity because it does not vary according to grade, subject, or academic achievement.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학부 기초전공 수업에서 팀 활동에 대한 학생평가의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동료평가, 자기평가, 학업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이들 사이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아냈다. 이어서 동료평가 점수와 자기평가 점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일표본 t-test를 실시했을 때 그 차이 값은 매우 유의미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차이의 정도는 두 클래스에서 다르지 않았다. 즉 학생들은 학년에 상관없이 본인 스스로에 대한 평가 점수가 동료들로부터 받은 평가 점수보다 평균적으로 후한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동료평가, 자기평가 점수의 차이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점수 차이와 학업성취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즉,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이든 낮은 학생이든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하는 경향성은 다르지 않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팀 기반 수업에서 학생평가가 개인별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음을보여준다. 자기평가 점수와 동료들로부터 받은 점수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학생평가의 객관성을 나타낸다. 비록 자기평가 점수가 동료로부터 받은 점수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이 학년이나 과목에 따라서 또는 학업성취도에 따라서달라지지 않으므로 객관성 면에서 더 활용가치가 높다.

      • KCI등재후보

        SNS 미디어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인식 및 행태에 관한 연구 : 대학생 이용집단 FGI를 통한 선험적 연구

        조수선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0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을 베이스로 하는 무수한 서비스들 중에서 SNS 미디어 이용시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이슈와 관련하여 미디어 특성별 선택과 이용 동기, 프라이버시에 침해에 대한 염려, 프라이버시 보호전략, 노출범위 및 비용, 그리고 책임소재 등에 대한 패턴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SNS 미디어 이용으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 사례들과 이와 관련해 진화되고 있는 프라이버시권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대학생 이용자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하여 그들의 SNS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을 관련 변인들과 함께 분석하고 있다. 적극적 이용자 몇몇을 제외한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SNS 미디어 이용시 자신의 정보와 컨텐츠 그리고 의견 등의 노출 확률이 높아지는 것과 범위가 확대되는 것을 경계한다. 반면 자신에게 이득이 있다고 판단되면 기꺼이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포기하기도 한다. 시스템내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에 대한 믿음, 자신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고 있다는 자신감, 프라이버시를 해칠 수 있는 서비스의 설정을 자신이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은 이용자로 하여금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인식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nd pattern among media choice/motivation, privacy concern, privacy protection strategy, and privacy responsibility attribution in the context of SNS media environment.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several cases of privacy invasion vis SNS and theoretical concept of privacy progressed. Second, this study analysed SNS privacy issues and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 of FGI(focus group interview of university student). With the exception of active SNS users, most of SNS users demonstrated to wary of extending self-disclosure vis SNS. However, It is also observed SNS users were willing to give up their privacy when a service were offered with remarkable benefits. SNS users was likely to recognize that they have solely responsibility of privacy invation because of privacy protection function offered by a system, self-efficacy to manage and control effectively, and availability of choosing unwanted ancillary services.

      • KCI등재

        국내 언론의 성평등과 양성평등 용어 사용 분석: 언론사, 기자의 성, 기사 종류별 차이를 중심으로

        조수선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54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t meanings of two similar terms: ‘Sung-pyoungdeung’ and ‘Yangsung-pyoungdeung to identify both implication and discrimination of two terms in the context of our society. In English, the direct translation of both terms is ‘gender equality’; however,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religious sector and women representatives about how these two terms are appropriately used. The study identifies and analyzes the usage of these terms in two major newspaper: Chosun Ilbo, a conservative source and Hankyoreh, a liberal source. Consequently, Hankyoreh has more stories of two terms than Chosun Ilbo in a total number of news and more Sung-pyoungdeung stories than Yangsung-pyoungdeung stories.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porter’s gender found in Chosun Ilbo. Female reporters wrote more stories with those two terms than male reporters did in Hankyoreh. Moreover, female reporters of Hankyoreh wrote more Sung-pyoungdeung stories than Yangsung-pyoungdeung stories. Compared to other subjects of coverage, Hankyoreh covered gender equality/cognition/education in Sung-pyoungdeung stories and birth/fostering/home in Yangsungpyoungdeung stories most frequently. Both newspapers do not statistically differ in terms of centeredness and tone of each story. Finally, several implications of those finding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언론의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성평등’과 ‘양성평등’의 용어 선택차이를 분석함으로서 우리 사회가 이들 용어를 어떻게 의미 구분하여 사용하는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성평등과 양성평등 용어 모두‘gender equality’라는 영어로 번역되고 있으나 현재 국내에서는 이 두 용어의사용과 관련하여 여성계와 종교계 간의 갈등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조선일보>와 <한겨레>에 나타난 성평등 용어와 양성평등 용어 기사에 대한 빈도 및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기사 수에서 <한겨레>는 <조선일보>보다 각각 해당 기사의 빈도가 더 높았고 양성평등 용어 기사보다 성평등 용어기사를 더 많이 다루고 있었다. 기자 성별 차이는 <조선일보>에서는 나타나지않았고 <한겨레>에서는 두 용어 관련 기사를 전체적으로 여성기자가 남성기자 보다 더 많이 작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겨레>의 여성기자는 두 용어 기사들 중 성평등 용어 기사를 더 많이 작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 는 성평등 용어 기사들 중 성평등/인지/교육 소재를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고양성평등 용어 기사들 중 출산/육아/가정 소재를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다. 두 신문 모두 기사 중심성과 톤 관련 용어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함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 KCI등재

        어린이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미디어 인식과 중재방식 : 전업어머니, 직장어머니, 아버지 집단의 차이를 중심으로

        조수선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24 No.1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media awareness, parental mediation style, and the need for media education among these three parental types―full-time mothers, working mothers, and fathers. Media awareness was divided into negative content perception and negative influence of media, and parental mediation style was divided into technical application, parental supervision, and dialogue guidance. It was examined how those variables affect the need for media education for each parental type. Fathers were found to be the lowest in all variables, and working mother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negative content perception. In all three groups, the influence of dialogue guidance on the need for media educ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use of technology had the lowest influence. For full-time mothers and working mothers, negative content percep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hile fathers were found to be parental supervision. Finally, based on these differences of findings, guidelines for media education by parental types are proposed. 본 연구는 어린이의 주보호자 유형을 전업어머니, 직장어머니, 아버지로 분류하여 이들 세 집단 간 미디어 인식, 중재방식, 그리고 미디어교육 필요성의 차이를 분석한 후각 부모 유형별 미디어 인식과 중재방식이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하였다. 미디어 인식은 미디어의 부적절 콘텐츠와 부정적 효과로 구분하고중재방식은 기술적용, 부모감독, 대화지도로 나누어 측정하여 이들 변인이 각 부모 유형별 미디어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아버지는 모든 변인에서 최하위로 나타났고 직장어머니는 부적절 콘텐츠를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집단 모두 대화지도가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기술적용은 가장 낮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업어머니와 직장어머니는 부적절 콘텐츠 인식이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으로 나타난 반면 아버지는 부모감독으로 나타났다. 직장어머니는 미디어에 대한 부정적 효과 인식이 미디어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집단이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부모집단별 미디어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Web Image Clustering with Text Features and Measuring its Efficiency

        조수선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7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10 No.6

        This article is an approach to improving the clustering of Web images by using high-level semantic features from text information relevant to Web images as well as low-level visual features of image itself. These high-level text features can be obtained from image URLs and file names, page titles, hyperlinks, and surrounding text. As a clustering algorithm, a self-organizing map (SOM) proposed by Kohonen is used. To evaluate the clustering efficiencies of SOMs, we propose a simple but effective measure indicating the accumulativeness of same class images and the perplexities of class distributions. Our approach is to advance the existing measures through defining and using new measures accumulativeness on the most superior clustering node and concentricity to evaluate clustering efficiencies of SOM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high-level text features are more useful in SOM-based Web image cluste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