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인권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도덕 교과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조성현,정영선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1 동북아법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seek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situations where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is emphasized in the school field.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nalysis criteria are establish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of prior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 and the 2015 revised moral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re analyzed based on these and is suggested where should be improved. The moral textbooks are analyzed focusing on the category and scope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roportion by category, education for human rights accounts for the largest percent of 44.2, followed by education on human rights by 33.7%, education for human rights the lowest of 22.1 percent. The emphasis on education for human righ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mainly deal with functional aspects of human rights. Second, in terms of proportion by area, the basic conceptual area for human rights is 24.4%, the laws and institutions on human rights area for human rights is 9.3%, and the analysis and resolution of human rights issues is 20.9%, the value and attitude area of ​​respect for human rights. 23.3%, participation and practice in solving human rights issues were 22.1%, showing a generally even distribution, but the laws and institutions on human rights were significantly lower.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significant improvement measures could be extracted. Education on human rights requires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the Basic Concept of Human Rights and developing terminology, and education for human rights requires various case studies related to students' daily liv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education through human rights, contents and methods for students to actually participate should be presented. The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arranged in a balanced manner by grade and, for human rights education is conducted integratedly, education on human rights, education for human rights, and education through human rights should be presented in one chapter.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textbook analysis, a research on textbook-oriented school curricula is needed to prevent human rights education from being conducted as a one-tim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인권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의 인권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분석 준거를 설정하고 2015 개정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분석하고 개선되어야 하는 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분석 준거는 초등 도덕과의 교육 목표와 리스터의 인권교육의 세 가지 측면,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제시한 내용을 재구성하여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분석대상은 인권교육과 관련이 있는 도덕과로 선정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정된 초등 3~6학년 도덕 교과서이다. 도덕 교과서를 인권교육 범주와 영역, 그리고 내용 요소로 분석하여,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주별 비중을 살펴보면, 인권을 위한 교육이 44.2%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다음은 인권에 대한 교육이 33.7%. 마지막으로 인권을 위한 교육이 22.1%로 나타났다. 인권을 위한 교육에 편중되어 있어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는 인권의 기능적인 측면을 주로 다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영역별 비중을 균형을 보면, 인권에 대한 기본 개념영역이 24.4%, 인권에 관한 법과 제도영역이 9.3% 인권문제의 분석 및 해결방안 모색영역이 20.9%, 인권존중의 가치와 태도영역이 23.3%, 인권문제 해결을 위한 참여와 실천이 22.1%로 대체로 고른 분포를 보이나 인권에 관한 법과 제도영역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개선방안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인권에 대한 교육은 ‘인권에 대한 기본 개념’의 내용 보완 및 용어 개발이 필요하며, 인권을 위한 교육의 경우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다양한 사례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인권을 통한 교육의 경우 학생들이 실제 참여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인권교육 내용을 학년별 균형있게 배치하고, 인권교육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단원에 인권에 대한 교육, 인권을 위한 교육, 인권을 통한 교육이 모두 제시되어야 한다. 인권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얻은 시사점과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 인권교육이 창의적 체험활동 등으로 일회성 인권교육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교과서 중심의 학교 교육과정의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수문곡선의 기저유출분리 방법에 대한 고찰

        조성현,문상호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2 지하수토양환경 Vol.27 No.1

        There are several methods for separating the baseflow from the hydrograph, and graphical methods (GM) have mostlybeen used. GMs are those that separate the baseflow from the direct flow simply by connecting rising point with inflectionpoint or points related to some duration from a hydrograph. Environmental tracer method (ETM) is another toolresearched and developed under several conditions to estimate the groundwater recharg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separate the baseflow component from a storm hydrograph by applying various GMs and ETM, and to compare theirresults. The baseflow component estimated by ETM was different from the results by GMs in terms of their shapes offluctuation and flow rates. Another important feature is that the form of the baseflow to which ETM is applied is similar tothat of a storm hydrograph. This similarity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selection of tracer that respond quickly to rainfal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