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난소에 발생한 뮬러리안 점액성 경계성 종양 2 예

        조성범(Sung Bum Cho),이은주(Eun Ju Lee),박창수(Chang Soo Park),배덕수(Duk Soo Bae),이제호(Je Ho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9

        Borderline m llerian mucinous tumor of the ovary is the disease entity that was recently identified. Ovarian mucinous cystadenoma of borderline malignancy that contains foci of intestinal differentiation is well recognized. In contrast, m llerian mucinous borderline tumor has a mucinous epithelium of endocervical type which does not show intestinal differentiation and papillae architecturally similar to those of serous borderline tumors. Clinically, m llerian mucinous borderline tumor present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ose of intestinal mucinous borderline tumor. So far as now, none had died of disease recurrence. We report two cases of m llerian mucinous borderline tumor of ovary. Patients age was 24 and 29 years, and their FIGO stage was Ib and Ia, respectively. None of them showed any evidence of recurrence.

      • KCI등재

        안개농도와 표출크기에 따른 가변형 속도제한표지의 판독거리 분석

        조성범,이상수,김철용 한국ITS학회 2018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에서는 안개발생시 가변형 속도제한표지의 크기와 휘도에 따른 판독거리의 변화에 관한 현장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안개상황 모의 환경을 구축하였고, 속도제한표지의 밝기와 크기를 변동하면서 피실험자 실험을 수행하여 시정거리에 따른 판독 거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어진 휘도에서 시정거리별 판독거리는 표지의 크기에 따라 증가하지만, 완벽한 선형적인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짙은 안개 상황일수록 크기가 큰 가변형 속도제한표지가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가변형 속도제한표지의 운영 휘도를 증가할수록 판독거리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legibility distances of variable speed limit sign(VSL) for different sizes, luminances, and fog conditions through a field experiment. For this, extensive fog simulated environment has been constructed, and legibility distances are tested and recorded among test subjects for different luminances and sizes of VSL in control. Results showed that legibility distance increased as the size of VSL increased in the given illumination conditions, but it was not an exact linear trend. The size wa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determining legibility distance as the fog density increased, especially heavy fog conditions. In addition, the legibility distance also increased as the given illumination levels of VSL improved.

      • SCOPUSKCI등재

        혈액담즙증을 동반한 간외담관 소세포암종

        조성범 ( Sung Bum Cho ),박선영 ( Sun Young Park ),주영은 ( Young Eun Joo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4 No.3

        We report a case of small cell carcinoma of extrahepatic bile duct presenting with jaundice and hemobilia. A 59-year-old woman was admitted due to right upper quadrant pain and jaundice. An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2 cm sized mass in the extrahepatic bile duct.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revealed bloody discharge coming out of the papillary orifice in endoscopic view and a dilated extrahepatic bile duct with multiple irregular filling defects in cholangiogram. A coronal T2-weighted image revealed a hyper-intense mass at extrahepatic bile duct. Laparotomy was performed, and pathologic examination of resected specimen showed tumor cells having round to oval nuclei with coarsely granular chromatin and scanty cytoplasm, which were immunoreactive for synaptophysin and chromogranin A, compatible with the diagnosis of small cell carcinoma. The small cell carcinoma of bile duct, despite its rarity, should be considered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causes for obstructive jaundice and hemobilia.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186-190)

      • KCI등재

        E. coli O157:H7과 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억제에 대한 키토산과 소르빈산의 상승효과에 관한 연구

        조성범,이용욱,김정현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99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3 No.2

        최근 산업의 발달로 인한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식품을 미생물의 증식으로부터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한 천연식품보존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지구상에 풍부한 천연자원인 키토산과 합성화학보존제인 소르빈산을 사용하여 그람음성 병원성 식중독 원인균인 E. coli O157:H7과 대표적 그람양성 식중독 원인균인 Staph. aureus에 대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5. coli O157:H7에 대한 키토산의 최소발육억제농도는 pH 5.0에서 500 ppm, pH 5.5에서 250 ppm, pH 6.0에서 500 ppm, 그리고 pH 6.5에서 2000 ppm이었으며, Staph. aureus에 대한 키토산의 최소발육억제농도는 pH 5.0에서 31.3 ppm이었으며 , pH 5.5 이상에서는 62.5 ppm이었다. 소르빈산의 최소발육억제농도는 pH 5.0에서 500 ppm, pH 5.5에서 1500 ppm, 그리고 PH 6.0 이상에서는 2000ppm이상이었다. Staph. aureus에 대한 소르빈산의 최소발육억제농도는 pH 5.0에서 1500ppm이었으며, pH 5.5 이상에서는 2000 ppm 이상이었다. E. coli O157:H7에 대한 키토산과 소르빈산의 병 용처리효과는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6.5에서는 키토산농도 500 ppm과 소르빈산 500 ppm농도에 발육이 억제되었으나 pH 5.0에서는 키토산농도 250 ppm과 소르빈산 31.3 ppm에 억제되었다. 한편, Staph. aureus에서는 pH에 대한 영향이 별로 없었으며, 키토산의 영향을 크게 받으나 소르빈산의 영향은 거의 없었다. pH 6.5, 37℃의 조건하에서 E. coli O137:H7은 키토산 500 ppm 및 소르빈산 500 ppm 처리와 키토산 250 ppm 및 소르빈산 250 ppm 병용처리군에서 모두 증식이 억제되었으나 키토산과 소르빈산 단독처리군에서는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균의 증식이 계속되었다. Staph. aureus는 소르빈산에 영향을 받지않았으며 병용효과보다는 키토산에 대한 영향이 컸다. pH 5.5, 37℃의 조건하에서 E. coli O157:H7은 키토산 500 ppm, 250 ppm 단독첨가시와 병용처리시 모두 3시간 이내에 균증식이 억제되었다. Staph. aureus의 경우는 키토산 50 ppm 단독처리군과 키토산 25 ppm과 소르빈산 2000 ppm 병용처리군에서 균증식이 사면되었다. E. coli O157:H7에 대한 키토산과 소르빈산병용처리시 MIC와의 상관관계는 pH 6.5에서 R=0.95(p<0.01), pH 6.0에서 R=0.99(p<0.01), pH 5.5에서 R=0.97(p<0.01), 그리고 pH 5.0에서 R=0.99(p.0.01)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Staph. aureus에 대해서는 소르빈산의 병용처리에 의한 효과는 거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종합하면 pH변화에 따른 키토산과 소르빈산 단독 및 병용처리로 인한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 천연식품인 키토산을 병용함으로써 인체에 영향이 있는 합성화학보존제인 소르빈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또한 식품의 보존성을 더 증가 또는 유지시킬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ynergistic effect of chitosan and sorbic acid as a new food preservative. So i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inhibitory effect on growh of E. coli 0157:H7, gram negative pathogenic food borne disease bacteria and of S. aureus, gram positive food borne disease bacteria in chitosan, sorbic acid and combination of chitosan and sorbic acid. Minimun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chitosan in E. coli 0157:H7 was 500 ppm at pH 5.0, 250 ppm at pH 5.5, 500 ppm at pH 6.0, and 2000 ppm at pH 6.5, while in Staph. aureus 31.25 ppm at pH 5.0 and 62. 5 ppm at more than pH 5.5. also, MIC of sorbic acid in E. coli 0157:H7 was 500 ppm at pH 5.0, 1500 ppm at pH 5.5, and 2000 ppm at more than pH 6.0, while in Staph. aureus 1500 ppm at pH 5.0 and more than 2000 ppm at more than pH 5.5. Due to the effect of pH in E. coli 0157:H7, MIC of combined chitosan and sorbic acid was 500 ppm of chitosan with 500 ppm of sorbic acid at pH 6.5, but 250 ppm of chitosan with 31.3 ppm of sorbic acid at pH 5.0. In Staph. aureus, there was great effect of chitosan, but neither effect of pH nor sorbic acid. When E. coli 0157:H7 were treated with 500 ppm of chitosan with 500 ppm of sorbic acid and 250 ppm of chitosan with 250 ppm of sorbic acid at pH 6.5, they were inhibited. But, they were increased at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bacteria at 1000 ppm of chitosan in 18 hours, at 500 ppm of chitosan in 36 hours. There was no effect of growth inhibition with sorbic acid but great effect with chitosan on Staph. aureus. The correlations between MICs of chitosan and sorbic acid in E. coli 0157:H7 accoding to pH were higher than those in Staph. aureus. R values in E. coli 0157:H7 were 0.95 (p<O.Ol), 0.99 (p<O.O1), 0.97 (p<O.Ol), and 0.99 (p<O.Ol) at pH 6.5, 6.0, 5.5, and 5.0 respectively. The synergistic effect of chitosan and sorbic acid in E. coli 0157:H7 could be confirmed from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he food preservation would increase or maintain by using sorbic acid together with chitosan, natural food additive that did no harm to human b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