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배연탈질 석탄회 중 암모늄염의 용해 특성

        조성덕,김재관,김종진 한국공업화학회 2002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02 No.0

        배가스처리장치[SNCR(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를 설치·가동중인 석탄화력에서 발생하는 탈질 석탄회 중 암모늄염은 주로 Ammonium Bisulfate와 Ammonium Sulfate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탈질 석탄회 매립시 암모늄염의 용출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에 의한 주변 환경오염을 예측을 위한 사전연구로서 배연탈질 석탄회를 증류수 및 해수에서의 암모늄이온 및 암모니아 용해특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이온 간섭이 없는 증류수에서의 암모늄과 암모니아가 평형을 이루는 pH는 9.6으로 이론적으로 계산한 pH 9.3 과거의 실측오차 범위내에서 농도평형이 이루어 졌으며, 해수의 경우 각종 이온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온간섭에 의해 pH 10.3에서 평형이 이루어 졌다.

      • KCI등재

        바이두(百度) 번역기의 한문고전 번역 수준과 향후의 과제

        조성덕,박종훈,이종웅,김우정 근역한문학회 2019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3 No.-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quality of translations of Chinese classics in Baidu translation system and examine a few aspects to get better results in enhancing the translation quality. Baidu Translate is a multilingual neural network-based machine translation service, designed to simultaneously learn multilingual models trained on parallel corpora. The neural machine translation model extracts linguistic features without any preprocessing on the language data, which is an end-to-end learning approach for automated translation. In the analysis, 46 kinds of documents from the Pre-Qin period of China to the Ming Dynasty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 Korea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deep learning approaches using a massive amount of classical Chinese corpora were hardly seen in the system. However, the translation closely followed the original when using back-translations, which implies that the system was trained on Chinese classic data to some degree. Another important point to note is that almost the same level translations were shown in the translation system on the texts with special marks, side dots, and common marks. The implication is that Baidu translation system was able to learn meanings of sentences from the context and translate the original text containing common marks well as much as the text with special marks. On the text without marks, however, the sentences were not properly translated in terms of word spacing. Third, translation mistakes coming from misunderstanding of constituents or lexical meanings occurred frequently. Other translation errors include the interruption from words that come before and after, loss of meaning, and misunderstanding of the different types of proper nouns. The details of our proposal are as follows: A large set of good quality training data should be offered to produce good translations. It is hard, however, to collect high quality language data at the individual or small-scale research institute level. In this sense, the initiatives led by government institutions for data preprocessing, refinement should be backed so that high quality corpora can be collected and used in the neural machine translation system. In addition, more research on preprocessing of parallel corpora best-fitted to algorithms should be conducted. Given that literal texts are definitely lacking, we should examine methods to tag basic elements, substantives, predicates, and function words of sentences along with the marking system problem from every angle and fine more fundamental solutions. Thirdly, it is imperative to examine all the necessary information when translating literary Chinese to Korean so that the best-fitting algorithm can be used for translation.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will be unavailable to obtain and utilize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from the isolated language, or Chinese classics, to the agglutinative language, Korean. 본고는 문언문 번역 기능이 탑재된 바이두 번역기를 통해 문언문의 번역 수준을 살펴보고 더 나은 번역 결과를 얻기 위해 보완되어야 할 내용을 살펴본 것이다. 중국의 바이두 기계번역 시스템은 강력한 신경망 엔진이 장착되어 있으며 다양한 언어의 병렬코퍼스를 하나로 합쳐 학습하도록 설계되었다. 신경망 기반의 기계 번역 모델은 언어의 자질 정보를 스스로 추출하여 별도의 언어학적 전처리 과정이 없이 종단간 학습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형태소 분석 이하의 과정은 생략하고 전처리 과정에 해당하는 표점을 한 경우와 표점을 하지 않은 경우로 나누고 문언문의 유형 및 난이도에 따라 번역 결과에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본 후, 번역상의 주요 오류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중국의 선진시기부터 명대에 이르기까지 46종의 문헌과 한국의 『조선왕조실록』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량의 문언문 코퍼스를 심층학습한 정황은 찾을 수 없었다. 다만 중문 번역문을 문언문으로 역번역했을 때 원문과 동일하게 번역되는 것으로 볼 때 일정 정도의 문언문 데이터를 확보하여 번역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상세표점 텍스트, 방점 텍스트, 기본 표점 텍스트에서 대체로 동일한 번역 결과를 보였다. 이것은 바이두 번역기가 기본 표점만으로도 전후 문맥을 스스로 판단하여 상세표점에 준하는 번역을 해내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표점이 없는 텍스트에서는 띄어쓰기와 붙여 쓰기 모두 번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문장 성분을 올바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어휘의 의미를 잘못 선택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그 밖에도 전후에 위치한 다른 어휘의 간섭으로 인한 오류, 결역, 고유명사를 잘못 파악한 오류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질의 코퍼스를 최대한 많이 확보하여야 한다. 하지만 개인이나 소규모 연구기관에서는 양질의 코퍼스를 충분히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국가기관의 주도 하에 수집된 번역물을 신경망 기계번역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정제‧가공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 둘째, 알고리즘에 최적화된 병렬코퍼스 가공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문언문은 코퍼스의 양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만큼, 표점 문제를 비롯하여 기본적인 문장성분을 태깅하거나 체언/용언/관계언 등만 태깅하는 방법 등을 다각도로 살펴 코퍼스의 빈곤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셋째, 문언문을 한국어로 옮길 때 필요한 정보들을 면밀하게 살펴서 문언문-한국어 번역에 최적화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고립어인 문언문과 교착어인 한국어의 번역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들을 독자적으로 확보해 활용할 수 없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어휘의 의미를 올바로 선택하지 못하는 오류나 전후에 위치한 다른 어휘의 간섭으로 인한 오류, 고유명사를 판독하지 못해 발생한 오류 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전을 포함한 문언문에서의 사용빈도가 반영된 자료를 제공해주는 것도 필요하다.

      • KCI등재

        어머니의 자존감과 심리통제 및 행동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성덕,한세영 한국인간발달학회 2013 人間發達硏究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self-esteem,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ontrol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Mothers of 387 preschoolers from 3 to 5 year-old attending to 7 kindergartens located in Chungcheong and Gyeonggi area(boys 52.5%, girls 47.5%) responded to questionnaires which were sent out to them. The data thu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the SPSS and AMOS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self-esteem clearly had an influence upon psychological and behavior control, and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had an influence on the ways that young children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However, mother's behavior control had no effect on young children's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a mother's self-esteem on young children's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however, the effect of mother's self-esteem on young children's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was mediated by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Second, mother's self-esteem had an influence upon children's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Moreover, the effect of a mother's self-esteem on young children's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was mediated by the mother's psychological and behavior control. In conclusion, the effects of a mother's control behavior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under discussion.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factors which effect mothers (such as self-esteem) if we are to help prevent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 KCI등재

        한국문헌 소재 이체자 정형화 방안(3)–鼻, 芻, 大, 匕, 厶가 포함된 자형을 중심으로–

        조성덕 근역한문학회 202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6 No.-

        본고는 한국고문헌에 나타난 異體字를 정리하고 이를 표준화하는 데 어떠한 과정이 필요하며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기존의 국가DB에서는 가독성을 이유로 대부분 正字로 입력하였으나 사전은 DB와는 달리 구조상 변별성이 있는 자형은 별도의 자형으로 인정하여 수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별도의 字形으로 인식될 수 있는 字形을 기준으로 유형을 나누고, 그 유형들이 과연 별도의 표제자로서의 가치가 있는지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口’와 ‘目’에 이어 변화가 다양한 鼻, 芻, 大, 匕, 厶 등이 포함된 자형의 변화를 검토한 것이다. 이 중 大ㆍ匕ㆍ厶 등은 口ㆍ目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으로 쓰일 때는 자형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지만, 다른 글자들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때도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검토유형에 포함하였다. 일부 자형은 정자로 통합하는 것이 타당한 경우도 있었으며, 어떤 자형은 원래 형태로 정형화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어떤 자형은 어느 쪽으로 정형화하는 것이 좋은지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한국고문헌에는 중국이나 일본의 문헌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자형들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한국문헌의 이체자 연구를 토대로 다른 한자문화권 국가의 경우와 어떻게 다른지 판별함으로써 한자문화권의 同異性을 확인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question about how to organize and standardize the variants Characters in Korean old works. When old books digital database produced by the Republic of Korea, is to replace standard characters input with variants for readability reasons, so its original data and database data are inconsistent. But, want to publish a Character dictionary about Korean unique glyph, you should include all variants of each Character. But we can't get all the income in Character glyph. We must judge the rationale.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and type characteristics of variant Characters are mentioned, and the possibility that variant Characters are prefixes is also explained. After research charater which contain with various components ‘口’ and ‘目’ research, focus on studies which contain with various components "鼻, 芻, 大 匕, 厶." When compenents 口ㆍ目 and 大ㆍ匕ㆍ厶 is used own, can not find any change in the shape, but when a compound or combine with other components, shape changes to various type, have to include to discussion group. Some Characters suitably summarize standard characters; some characters need new glyph characters; some characters are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classification to generalize. Through this study, found that many variants characters in Korean old works, do not exist in Chinese and Japanese. I hoped that a comparative study of the variant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ill prov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ultural circle of Han-characters in 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