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이오센서 개발을 위한 발광 유전자의 대장균에서의 발현 시스템 분석

        조미미,김영두,강경숙,김숙경,양인철,박상열,이찬용,Cho, Mi-Mi,Kim, Young-Doo,Kang, Kyung-Sook,Kim, Sook-Kyung,Yang, In-Chul,Park, Sang-Ryoul,Lee, Chan-Yong 한국미생물학회 2009 미생물학회지 Vol.45 No.4

        발광 세균 Photobacterium과 Vibrio의 lux 유전자가 삽입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유전자 전이시킨 발광표현형 대장균이 내는 빛의 세기를 조사하였다. 여러 대장균 균주에 형질전환 시켰는 바, 빛을 내는데 관여하는 효소들을 코드하는 유전자를 모두 포함하는 Photobacterium leiognathi lux 오페론이 삽입된 재조합플라스미드(PlXba.pT7-3)가 형질전환된 대장균 43R (Escherichia coli 43R) 균주에서는 발광세기가 다른 균주에 비해 1,000배 이상 되었으며, Vibrio harveyi luxA 유전자와 luxB 유전자를 융합시킨 유전자가 삽입된 재조합플라스미드(VhluxAB.pT7-5)가 형질전환 된 대장균 43R (E. coli 43R)에서는 기질인 fatty aldehyde를 가하면 단일 콜로니에서도 빛을 볼 수 있게 되는 대장균 형질전환체를 얻었다. 또한 이들이 중금속에 노출되었을 때 생물발광이 감소하였으며, 이들 발광 대장균 형질 전환체가 담긴 고정화된 세포에서도 빛을 내는 것을 관측함으로써 이들 실험 결과들이 lux 유전자를 활용한 바이오센서 시스템 개발의 기반 기술이 될 가능성을 보였다. To provide the basis of biosensor based on the lux genes from bioluminescent bacteria of Photobacterium leiognathi and Vibrio harveyi, we test the expression of lux genes in several strains of Escherichia coli. The expression of the recombinant plasmid of PlXba.pT7-3, containing all lux genes requiring for light emission without adding substrate, in E. coli 43R was so strong to see the blue-green light in single colony as well as in the alginate immobilized cell. In addition, the light intensity was decreased by adding heavy metal ion such as cadmium and zinc ions. These result raise the possibility that a biosensor can be developed using the lux genes system.

      • KCI등재

        미래교육 교육과정 내용 분석: 미래교육 관련 국책연구기관 보고서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조미미,임선아 한국미래교육학회 2022 미래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미래교육에 대한 국책연구기관 보고서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미래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통찰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래교육에 대한 연구보고서 11편을 의미연결망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미래교육의 주요 키워드는 ‘미래지향’, ‘인공지능’, ‘학습주제’, ‘다양성’, ‘융복합’, ‘미래핵심역량’, ‘민주시민교육’, ‘사고력’, ‘교육정책’, ‘리터러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 주요 키워드 중, ‘교육개혁’은 ‘미래지향’, ‘미래핵심역량’ 그리고 ‘교육정책’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고, ‘미래핵심역량’은 ‘미래과학’과 ‘사고력’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미래과학’은 ‘학습주제’와 ‘융복합’과 서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내용’은 ‘다양성’, ‘리터러시’, ‘인공지능’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심성 지수를 확인한 결과, ‘미래지향’이 연결망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미래지향’을 중심으로 ‘학습주제’, ‘다양성’, ‘리터러시’, ‘인공지능’이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지향’, ‘학습주제’, ‘인공지능’은 전체 의미구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중심으로 주요 논점을 논의하였다.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 도덕과 교과서 키워드(keyword) 분석

        조미미(MI-MI JO)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문제연구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육과정 개선 필요성으로 제기되었던 핵심 개념 도입과 관련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도덕과 교과서에 구성된 주요 키워드(keyword)를 분석하고 핵심 키워드(keyword)를 탐색함으로써, 고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중요성과 사회적 맥락을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학교 인성 교육의 핵심 교과로 도덕과 교과서를 분석 텍스트로 삼았으며, 검정도서 목록 중에서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의 일반 선택과목인 ‘생활과 윤리’를 선택하였다. 교과서는 비정형 데이터로서 텍스트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이라는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였다. This study,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the core concepts that were raised as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existing curriculum, high school moral education and education were conducted by analyzing key keyword composed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orals and textbooks and searching for the key keyword. I tri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and the social context in more depth. As the subject of the study, moral textbooks were used as analysis texts as the core subject of school personality education, and 'Life and Ethics', a general elective course in the high school morality education department, was selected from the list of certified books. Textbooks used a statistical technique called text mining that extracts and analyzes meaningful information from text as unstructured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