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CAD 수단을 이용한 벡터형 공간자료의 위상 검출과 격자도면화를 위한 유틸리티 개발

        조동범,임재현 한국조경학회 1999 韓國造景學會誌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CAD-based tool for rasterization of polygonal vector map in AutoCAD. To identity the layer property of polygonal entity with user-defined coordinates as topology, algorithm in processing entity data of selection set that intersected with scan line was used, and the layers were extracted sequentially by sorted intersecting points in data-list.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for querying and modifying topology, two options for mapping were set up to construct plan projection type and to change meshes' properties in existing DTM data. In case of plan projection type, user-defined cell size of 3DFACE mesh is available for more detailed edge, and topological draping on landform can be executed in case of referring DTM data as an AutoCAD's drawing. The concept of algorithm was simple and clear, but some unexpectable errors were found in detecting intersected coordinates that were AutoCAD's error, not the utility's. Also, the routines to check these errors were included in algorithmic processing. Developed utility named MESHMAP was written in entity data control functions of AutoLISP language and dialog control language(DCL) for the purpose of user-oriented interactive usage. MESHMAP wa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data handling and time comparing with GRIDMAP module in LANDCADD which has similar function.

      • KCI등재

        도시 배후 산 지형 스카이라인 경관의 조망 특성과 경관 대표성 평가 - 시점 위치에 따른 무등산 조망경관 분석을 중심으로 -

        조동범,Cho, Tong-Buhm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5 No.6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skyline an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Mt. Mudeung (1,186m) from various viewpoints. Mt. Mudeung,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of Gwangju City, has been recognized as a natural landmark and theme of paintings. By analyzing the perspective from 32 points with a digital terrain model, some landscape indices of the skyline were derived and the relationships are discussed. Assessment of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ith 21 adjective variables and representativeness to 15 landscape photographs of the mountain were accomplished. 1.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f the skyline indices,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m the angle from the visual axis and number of skyline jumps, the vertical angle fluctuation and number of jumps per degree, the visual depth fluctuation and vertical angle fluctuation of skyline, and between the vertical angle mean and number of jumps per degree. Meaningful 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number of jumps of skyline to number of jumps per degree and the angle from visual axis to visual distance. However, in the representative assessment no difference was found on the angle from visual axis of viewpoints. On the other hand, it seemed to relate representativeness with visual clarity based on visual distance. 2. We found 4 factors "familiarity", "fluctuation of skylines", "openness", and "feeling of texture" i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f semantic differential assessment. When considering the results of assessment for representativeness, adjective words for familiarity and openness seemed to have a close assessment. Specifically,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landscape representation was highly assessed in a view which could be seen from the higher parts to the lower part of hill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management of viewpoints which could get a scene from intermediate to distant, and locating a high elevation is important. 3. In the picturesque expression of Mt. Mudeung, various impressions from the different points, a skyline based on the top of Mt. Mudeung and a mono structure by overlapping hills were common characteristics. These common characteristics were also partially found through the analysis of topographical landscape indices and landscape images. Therefore, the viewpoints for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management should be selected in natural or open spac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역사 소설의 서사 양상과 미의식 연구 -류주현, 『조선총독부』를 중심으로

        조동범 픽션과 논픽션학회 2023 픽션과논픽션 Vol.5 No.1

        류주현은 1948년 단편 「번거롭고 요란스러운 거리」를 『백민(白民)』에 발표하며 등단한 이래 역사 소설과 신문 연재소설에 큰 성과를 냈다. 특히 역사 소설에 매진하여 『조선총독부』, 『대한제국』, 『대원군』 등의 대표작을 남겼다. 이중에서도 『조선총독부』는 방대한 한국 근대사를 치밀하게 재현한 역작이다. 하지만 그는 역사 소설가라는 제한된 범주에 갇힘으로써 올바른 평가를 받지 못했다. 심지어 역사 소설에 대한 평가 역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한국문학사를 기술한 저작 중 그의 활동을 상세하게 기술한 책도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류주현 문학을 대상으로 한 학술 연구 역시 미진하다. 역사 소설을 비롯한 류주현 문학 전반에 대한 평가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역사 소설이 갖는 가치는 공적 담론을 만들고 그것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는 데 있다. 역사적 사실을 작가의 의도에 따라 치밀하게 조직함으로써 역사적 사실은 더 강력한 의미와 효용을 갖는다. 역사 소설의 소설적 허구는 역사적 사실과 중첩되며 실재성을 부여받는다. 『조선총독부』는 치밀한 자료 조사를 통해 역사적 사건의 실체에 가까이 다가서고자 한다. 물론 객관적 사실 이외의 부분은 작가의 상상력을 통해 기술될 수밖에 없지만 역사적 사건이 작품을 이끈다. 류주현은 역사 소설이 갖는 실제와 진실을 재현하고자 했다. 그런 점에서 『조선총독부』는 역사 기록으로 유효한 가치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류주현의 역사 소설에 대한 문제는 남는다. 역사적 사실의 진위 여부와 작가의 사상적, 정치적 입장에 따라 작품의 내용과 해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류주현이 역사적 사실을 정교하게 파악한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소설이라는 특성상 작가의 사견이 개입되기 마련이고 이때 등장인물의 성격과 사건에 대한 판단은 판이하게 달라질 수 있다. 『조선총독부』는 작가의 집요한 취재와 끈기 있는 집필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일제강점기 모두를 아우르고 있으며 사건의 방대함 역시 돋보인다. 1,700여 명에 이르는 등장인물에 주요 인물만도 백 명이 넘는다. 그만큼 복잡한 사건과 구조를 띨 수밖에 없는 작품이다. 류주현은 이렇게 방대한 작업을 치밀하게 구조화했다. 역사 소설에 천착해 온 류주현의 작품은 역사의 사실과 소설의 허구라는 경계를 오가며 빼어난 문학적 결과물을 내놓았다는 점에서 돋보인다. 류주현은 왕성한 집필 활동과 당대 독자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았음에도 문학사에서 소외된 작가다. 더구나 역사 소설 분야에서 독보적인 성취를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장르에 대한 평가 역시 인색한 형편이다. 역사 소설 이외에도 다수의 작품을 남겼다는 점에서 류주현에 대한 평가는 총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가운데 류주현의 소설은 비로소 제대로 된 의미를 부여받게 될 것이다. Since debuting in 1948 with the short story A Troublesome and Noisy Street, published in Baekmin (白民), Ryu Joo-hyun's has achieved significant success in historical novels and serialized newspaper novels. Particularly devoted to historical novels, he has left behind representative works such as Chosen Governor-General, Great Korean Empire, and Daewongun. Among them, Chosen Governor-General stands out as a monumental work meticulously reproducing the extensive modern history of Korea. However, confined to the restricted category of a historical novelist, he has not received proper evaluation. Furthermore, even the assessment of his historical novels has not been conducted thoroughly. In works detail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re is a complete lack of detailed descriptions of his activities. Additionally, research focused on Ryu Joo-hyun's literature is also lacking. There is a need for a fresh establishment of evaluations for Ryu Joo-hyun's historical novels. The value of historical novels lies in creating public discourse and allowing it to be shared. By meticulously organizing historical facts according to the author's intention, historical facts gain stronger meaning and utility. The fictional elements of historical novels overlap with historical facts and gain authenticity. Chosen Governor-General aims to approach the essence of historical events through careful research. While parts outside objective facts are inevitably described through the author's imagination, historical events guide the work. Ryu Joo-hyun's wanted to recreate the reality and truth inherent in historical novels. In that regard, Chosen Governor-General possesses valid value as a historical record. However, issues remain regarding Ryu Joo-hyun's historical novels. The accuracy of historical facts and interpretations of the content may vary depending on ideologic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Although Ryu Joo-hyun's clearly understood historical facts, the nature of the novel allows the author's opinions to influence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and events, leading to different interpretations. Chosen Governor-General is a work that highlights the author's thorough research and persistent writing. It encompasses the entir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vastness of the events is also prominent. With over 1,700 characters, including more than a hundred main characters, it is a complex work with intricate events and structure. Ryu Joo-hyun's meticulously structured such a massive undertaking. His works, traversing the boundary between historical facts and fictional elements, stand out as outstanding literary achievements. Despite receiving attention from contemporary readers and having prolific writing activities, Ryu Joo-hyun's was marginalized in literary history. Moreover, despite his exceptional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historical novels, evaluations of this genre are also sparse. Considering his numerous works beyond historical novels, the assessment of Ryu Joo-hyun's should be comprehensive. In this context, Ryu Joo-hyun's novels will finally receive proper significance.

      • KCI등재

        허수경 시의 디아스포라와 오리엔탈리즘 인식 연구

        조동범 국제한인문학회 2023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6

        본 연구는 허수경 시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시공간과 동양 인식을 파악하고자했다. 허수경의 시에서 장소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고향 진주로부터 서울, 독일 등으로 이어지는 삶의 여정은 허수경 시의 공간성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시 세계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것은 디아스포라를 근간으로 한 시적 사유로이어진다. 뿐만 아니라 허수경 시의 디아스포라는 고고학 발굴 현장인 시리아, 이라크, 터키, 이집트 등에서의 체험을 통해 세계사 속 동양의 역사와 위치를현재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또한 오리엔탈리즘의 시선 속에 타자로 남은, 동양에 대한 현실 인식을 떠올리게 한다. 허수경 시의 공간은 장소만을 표상하지 않는다. 허수경의 시는 디아스포라와 오리엔탈리즘을 통해 타자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며 세계 인식을 확장한다. 시인의 삶으로부터 비롯된 디아스포라는 개인적 체험에 머물지 않고 사회적 문제로확장된다. 허수경 시의 비극성으로 언급되는 전쟁과 난민의 문제는 디아스포라의 비극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한 현대인의 삶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정처 없음과 타자성 역시 허수경 시의 주요한 소재이다. 이때 타자성은 오리엔탈리즘과 연관된 개념이기도 하다. 발굴 현장에서 마주하게 되는 동양의 역사와 시간, 삶과 세계는 서양 중심으로 재편된 역사 속에과거의 영광을 상실하고 말았다. 동양의 역사는 오리엔탈리즘의 가운데 열등한세계로 폄훼되었다. 허수경 시인이 응시하고 있는 발굴 현장 역시 오늘날 오리엔탈리즘의 관점에서 퇴락한 역사일 뿐이다. 허수경 시에 재현된 오리엔탈리즘의 비극은 바로 여기에서 시작된다. 또한 난민을 통해 제시된 디아스포라의 문제 역시 오리엔탈리즘과 무관하지 않다. 그런 점에서 허수경 시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오리엔탈리즘은 긴밀한 관계에 놓인다. 허수경 시의 디아스포라와 오리엔탈리즘은 타자로 남은 이들에 대한관심과 애정을 근간으로 한다. 그러나 시인은 동· 서양을 대립된 세계로 인식하지 않는다. 허수경은 과거와 현대의 비극을 동시에 아우르고 있는데, 비극적 시공간을 초월하는 방식으로 디아스포라와 오리엔탈리즘의 문제를 작품화한다. 그리하여 그는 타자성의 비애를 정치하게 포착해내며 타자와 같은 세계에 남으려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