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밀도 항공레이저측량 기반의 산림자원관리 디지털트윈 구축

        조성환(Jo, Seong Hwan),조기성(Cho, Gi Sung),이현직(Lee, Hyun Jik) 대한토목학회 2023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10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산림재난 대응 및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정밀한 산림자원정보의 구축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전통적인 산림조사 방법은 표본조사를 통해 취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산림에 적용하는 면적 기반 조사방식으로 전수기반의 수목단위 데이터 취득이 어려워 각종 산림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산림자원 정보 생성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넓은 산림 면적에 대해 고밀도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취득이 가능한 항공레이저측량 기반의 수목개체추출을 통해 연구대상지내 수목에 대한 위치좌표, 수고, 흉고직경과 같은 산림구조정보 및 산림 바이오매스, 탄소저장량 등 산림생장정보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산림 디지털트윈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산림에서 발생하는 산사태 및 훼손과 같은 시계열적 변화에 대한 원인 분석 및 과학적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에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문화재 3차원 모델링을 위한 지상 LiDAR와 UAV 정확도 비교 연구

        임성하(Seong-Ha Lim),조기성(Gi-Sung JO),이호진(Ho-Jin Lee) 대한공간정보학회 2017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0

        문화재의 현황 파악 및 복원을 위한 3차원 모델링에 있어서 지상 LiDAR와 UAV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대상 문화재에 대해 지상 LiDAR 측량을 실시하고 UAV 영상을 취득하였다. 이를 통해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의 정확도를 비교하고 3차원 모델의 중첩분석 및 융합 모델을 생성하였다. 그 결과, 문화재의 변위 및 변형을 감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3차원 모델링의 경우에는 지상 LiDAR를 이용한 정밀한 모델링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UAV 모델은 지상 LiDAR 모델에 비해 급격한 굴곡이 발생하는 부분을 상세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지만 UAV 모델은 모델링을 수행하는 범위가 넓으며 실물 문화재의 모델링이 가능한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종적으로 지상 LiDAR 모델과 UAV 모델의 이점을 살린 융합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문화재의 기초자료 구축 분야에서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