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처리 이론에 기반한 유아 안전교육 교재·교구 디자인 가이드 개발에 관한 연구

        조경호,김현정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1 No.3

        Background : Early childhood is a period when the potential risk of safety accidents is relatively high due to unforeseeable factors, and an effective measure to prevent this is to give toddlers the knowledge and ability to prepare for safety accidents. Howeve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is relatively delayed compared and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afety education educational materials seem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bine the case studies on educational materials in infant safety edu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in order to establish design characteristics that correspond to toddlers' cognition in the process of using the educational materials. Methods : This study identified the basic contents and areas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studies on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materials, selected the design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age in the process of using the safety education educational materials by introducing the human learn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inciples, and derive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safety education educational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infant cognition through Delphi method. Results : Through the study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using them, this study classified the existing educational materials into five types.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processing, this study divided the process of using educational materials into basic cognition, interaction, and advanced practice stage. This study also derived six elements of the basic cognition stage, nine elements of the interaction stage, and six elements of the advanced practice stage and identified the rank of overall importance through three Delphi surveys. Conclusions : In the process of using safety educational materials, audiovisual elements are the beginning stage of the learning process using the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basic cognition stage in perspective on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receiving accurate stimuli information and concentration in the toddlers' learning process. In the interaction stage, various materials can be utilized to provide the toddlers with direct sensory experiences, to encourage the toddlers to acquire safety knowledge. Moreover, The study identified that the function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the use stage and situation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functional aspects and that active feedback has played an active role in bringing toddlers' psychological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emotional aspects. 연구배경: 유아기는 예측 불가능한 요인으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잠재적 위험성이 높은 시기에 해당하고, 이를 예방하는 유효적인 조치는 유아에게 안전사고에 대비하는 지식과 능력를 습득하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해마다 상승한 유아 비정상적 사망 추세에 대비하여 유아 안전교육의 발전은 상대적으로 지연되고 있으며, 특히 유아의 인지를 고려하고 안전교육을 보조하는 교재·교구 개발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으로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 안전교육 교재·교구 사례조사와 정보처리 이론을 결합하여 교재·교구 사용과정에서 유아 인지에 해당하는 디자인 특성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유아 안전교육과 교재·교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조사를 통하여 유아 안전교육의 기본 내용 및 영역을 파악하고, 인간의 학습과 정보처리의 원리과정을 도입하여 안전교육 교재·교구가 사용과정에서 정보처리단계에 해당하는 디자인 특성을 선별한 다음, 전문가 델파이 조사(Delphi method)를 통하여 유아 인지에 해당한 안전교육 교재·교구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 유아 안전교육 교재·교구 사례 및 사용과정 연구를 통하여 기존 교재·교구를 다섯 가지 유형(출판물, 영상물, 장식물, 일반 완구, 전용 교구)으로 구분되었으며, 교재·교구의 사용과정을 정보처리관점에서 사용과정은 기초인지, 상호작용, 심화연습의 3단계로 구분되었고, 3차례 전문가 델파이 조사결과를 통하여 기초인지단계 6개 요소, 상호작용단계 9개 요소, 심화연습단계 6개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전반적인 중요도 순위를 파악하였다. 결론 : 유아 안전교육 교재·교구의 사용과정에서 시청각 요소는 교재·교구를 사용한 학습 과정의 초보 단계이고 인간 정보처리 관점의 기초인지 단계이며, 유아의 학습 과정에 정확한 자극 정보 접수와 주의력의 집중에 대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상호작용 단계에서는 여러 가지 재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물리적 질감으로 유아에게 온도, 거친 정도 등의 직접적인 감각 경험을 제공하여 유아가 안전 지식을 습득하도록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심화연습단계의 교재·교구의 피드백 요소는 피드백 기능적 표현과 특성적 표현 두 가지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다. 기능적 측면에서는 교재·교구의 사용 단계와 사용상황의 정확성에 관한 판단 기능이 포함하여야 하고, 정서적인 측면에서는 적극적인 피드백은 유아의 심리상의 성취감과 만족감을 가져다주는데 적극적인 작용을 이룬 사실을 파악하였다.

      • KCI등재
      • 풀림모사 기법을 이용한 NC 터릿 작업에서의 공구경로 최적화

        조경호,이건우 대한기계학회 1993 대한기계학회논문집 Vol.17 No.5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 관점에서 공구경로 최적화를 위한 기존 방 법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기존의 공구경로 산출 방법에서는 고려되지 않는 공구대의 공구 장착 현황(turret configuration)이 최적화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로, 제작과 관련한 구속조건(manufacturing con- straints)이 최적화 과정에 직접 반영되어야 한다. Since the punching time is strongly related to the productivity in sheet metal stamping, there have been a lot of efforts to obtain the optimal tool path. 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efforts have the basic limitations to provide the global optimal solution because of the inherent difficulties of the NP hard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 The existing methods search the optimal tool path with limiting tool changes to the minimal number, which proves not to be a global optimal solution. In this work, the turret rotation time is also considered in addition to the bed translation time of the NCT machine, and the total punching time is minimized by the simulated annealing algorithm. Some manufacturing constraints in punching sequences such as punching priority constraint and punching accuracy constraint are incorporated automatically in optimization, while several user-interactions to edit the final tool path are usually required in commercial systems.

      • 공무원 직종, 직군, 직렬체계 정비방안

        조경호,주효진 한국행정연구원 2004 기본연구과제 Vol.2004 No.-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화, 다원화, 개방화, 전문화로 상징되고 있는 행정환경의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공직의 전문성과 인사관리의 탄력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직종, 직렬체계를 재설계함으로써, 인사개혁을 기반으로 하는 정부혁신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정부의 경쟁력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크게 다섯 가지 영역을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직종, 직렬 개편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둘째, 우리나라 현행 직종, 직렬에 대한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며, 셋째, 미국과 영국의 직종, 직렬체계를 중심으로 한 공무원인사개혁을 벤치마킹하여 우리나라 공직분류체계 정비를 위한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고, 넷째, 부처의 인사담당자와 공무원직장협의회 임원급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현행 공직분류체계에 대한 실증적 조사를 실시하며, 마지막으로,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행정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직종, 직렬 정비방안들을 제시해 보고 이를 토대로 정부인력관리체계의 효율성을 극대화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정부인력관리체계의 효율화를 극대화하기 위해 현행 공무원의 직종, 직렬체계에 대한 정비방안들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직종에서 먼저 업무의 성격이 유사하고, 특정분야의 전문성과 조직운영(인사관리)의 유연성을 강화해 행정운영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직종을 통·폐합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일부 특정직공무원의 경우 근무 부처만 다를 뿐 일반 행정을 다수 수행한다는 분석결과를 가지고 볼 때 일부를 일반직으로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일부 특정직공무원 중 일반직으로 통합해도 무방한 부분도 있다. 그리고 기능직의 일부 직렬이 일반직 기술 직렬과 유사성이 높다는 점에서 일부 기능직공무원을 일반직으로 통합하는 방안이 있다. 또한 비경력직에서 계약직은 별도직종으로 구별하지 않고 임용방법의 하나로 모든 공무원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고용직은 폐지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현행 직군과 직렬체계에서 유사한 업무를 통합하여 전문성 강화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게 하고, 직렬간 형평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직렬을 재조정한다. 즉 공안직군과 행정직군을 정비하는 방안으로 업무의 성격이 유사한 경우 직렬들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행 공안직군에서는 우선적으로 업무의 성격이 아주 유사한 직렬들인 보호관찰+소년보호+교정, 마약수사+검찰사무 직렬들을 통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현행 행정직군에서 문화+공보 직렬들을 통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고, 사회복지직렬은 노동 직렬과 통합하여 복지노동직렬로 전환하는 방안도 가능하다고 본다. 이와 함께 현행 공안직군과 행정직군에 포함되어 있는 직렬 중에서 출입국관리+관세 직렬을 통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행정직군에 최근 행정수요가 급증하는 새로운 전문행정분야를 대상으로 직렬을 신설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즉 현재 추세가 평가와 감사를 통합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고 이는 업무 성과에 대한 공정한 분석과 평가를 통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감사 직렬을 폐지하는 대신 정책분석평가 직렬(또는 평가직렬)을 신설하여 통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정책의 진단, 분석, 평가, 변화관리 기능은 각각 독립적이기보다는 상호 연계되어 처리되는 기능들이라는 점과 각각의 기능들이 정책품질관리의 핵심수단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 이러한 기능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는 직렬의 신설이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균형적인 인사관리를 통한 인사관리의 형평성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기술직군에서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는 일부직군들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 즉 현행 기술직 직군에서 먼저 광공업+농림수산+물리, 환경+교통+시설을 통합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으며, 소수직렬인 물리직군의 폐지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다섯째, 업무가 유사하고, 유기적으로 연계된 융합 기술적 가치가 높은 부분은 직렬간의 통합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현행 기술직군에 포함된 일부 직렬들의 통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업무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건축+토목, 지적+축지, 금속+기계, 축산+수산+임업+농업, 보건+의무+의료기술+약무+간호, 항공+수로+선박 직렬들을 통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급변하는 IT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전자+전기, 전자통신+통신기술+통신사+전송기술 직렬들을 통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여섯째, 현재 행정변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대한 새로운 행정수요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21세기를 선도하는 분야로 떠오르고 있는 생명유전공학 직렬을 신설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The contemporary government environment is increasingly governed by infomatization, diversity, openness, and professionalization. Classification structure and system has a key role in promoting public service competitiveness and realization of government innovation. Classifying and dividing jobs and occupations should work closely with the changing nature of government environments. This report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classification in modern governments, especially in Korean government, and is performed to provide effective way of classifying occupational groups and job series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prestige of public service and increasing competitiveness of government services in Korea. For this study, theories and practices in the field of classification are reviewed, current system is analyzed, US and UK cases are benchmarked for innovation, and surveys from practitioners and scholars are conducted. The foreign case benchmarking provided us with informativ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in the process of brainstorming. The surveys produced insightful information about the changing nature of public service and problems and prospects of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eyes of government employees. The results of the four activities are used to redesign alternative ways to reclassifying occupational groups and job series. The results would be summarized in four parts. First, seven current occupational groups can be regrouped and redesigned on the basis of job similarities. Parts of special groups such as foreign service group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general service group. Temporary contracting group may be reconsidered not as a group but a way of appointing potential candidates to public service across all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Second, the current job series would be redesigned to promote professionalism and equity in the public service. For example, the nature of jobs in many public safety related series are very closely interrelated each other, in general. We found that there were much interactions between the protection observation series and the juvenile protection series, and those two had many similarities in duties and responsibilities. The jobs in the customs series and the immigration controls can also be integrated to provide comprehensive and efficient services. Third, needs for public service and government capabilities should also be reflected in the system redesigning process. The needs for developing skills and competency in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should be reflected in the new system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expertise survey, evaluation series or analysis and evaluation series could be created. The creation of new series like life genetics could also be considered as an example. Fourth, equity among series or occupations in the personnel processes is considered seriously in the report. Relatively small series like physics series can be combined broadly with other similar series to increase job mobility and career development. In a sense, current society is well characterized as `fusion` society. Various mixed skills and technologies are created and the jobs and duties are becoming more interrelated each other. For example,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are closely related, land register and geodetic jobs are also interrelat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공공부문의 단체교섭과정과 동반자적 협력규칙 모색

        조경호,하재룡,주재복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02 정부학연구 Vol.8 No.1

        이 글은 공공부문 노사간 발생하는 갈등과 분쟁이 조정되고 해결되는 과정에서 어떤 규칙들이 제공될 때 보다 동반자적이고 협력적인 행동이 나타나며 해결의 가능성을 높여주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이론적·경험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한 논문이다. 분석결과 공공부문, 특히 공기업의 노사간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서는 단체교섭과정에서 실질적 참여규칙, 상호이해 교환규칙, 사실노정규칙, 적극적 중재자규칙, 신뢰형성규칙 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규칙으로는 형식적 참여규칙, 상호 입장고수규칙, 기정사실화를 통한 정당화 규칙, 소극적 조정자 규칙, 약속 불이행에 의한 상호불신규칙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규칙들은 갈등의 시기와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The study begins with the following question; what rules facilitate the settlement of the collective bargaining in the public sector?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about cooperation rules and by analyzing three cases of public enterprises, this study comes to three conclusions: First, the dispute is at large resolved by the five rules, which are the discursive mutual participation, the reciprocal beneficence, the fact-based argumentation, the active role of coordinators, and the rule forming the trust. Second, the rules blocking cooperation, include the formal participation, sticking to their own position, the self-interest justification, the existence of passive coordinators, and the rule of the distrust. Finally,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ose rules is contingent on time and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