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치해석기법을 이용한 실내시험장 압력특성해석 및 개념설계

        정희영,박관진,김남혁,Jung, Hui-Young,Park, Kwan-Jin,Kim, Nam-Hyuk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7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0 No.1

        For evaluating a large caliber ammunition tests, indoor ballistic test range is required to reduce the noise and fragments occurring during the test.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indoor ballistics test range design, we carried out the analysis of the indoor test range using the AUTODYNE hydrodynamic code before its construction. The 120 mm tank ammunition is adopted as a reference model and we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 distribution at fire area, the structure design at impact area, the over-pressure applied to the tunnel, and the sabot stopper desig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indoor ballistic test range.

      • 메타버스 상호연동 표준화 동향

        정희영,강신각,H.Y. Jung,S.G. Khan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3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8 No.3

        This paper presents a review of standardization activities toward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metaverse platforms, which is a research hotspot in the metaverse. The metaverse is often considered as the evolution of the current mobile Internet. Like for the Internet, interoperability is essential to provide continuous user experiences over different metaverse service environments. However, current metaverses have limitations in providing interoperability in terms of portability of services, digital objects, such as identity and avatars, and economic system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e metaverse industry and open-source communities have recently begin to develop metaverse interworking standards. We describe activities conducted by various representative standardization bodies such as the Metaverse Standardization Forum, W3C (World Wide Web Consortium) Open Metaverse Interoperability, Open Metaverse Foundation, Open Metaverse Alliance for Web3, and Metaverse Alliance. In addition, we discuss how to counteract interoperability issues from the Korean perspective.

      • IP 망에서의 마이크로 이동성 관리 기술 연구 동향

        정희영,최성곤,김용진,Jung, H.Y.,Choi, S.G.,Kim, Y.J.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0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5 No.6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화를 주도하는 ITU 및 3GPPs에서는 모든 데이터 트래픽과 시그널링의 전송에 IP를 이용하는 All-IP 네트워크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All-IP 네트워크에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그 중 효율적인 이동성 관리 문제는 All-IP 네트워크의 실현을 위하여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과제 중의 하나이다. 본 고에서는 IP 망에서의 효율적인 이동성 관리를 위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마이크로 이동성 관리 기술의 연구 동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 차세대 유무선통합망에서의 IP 이동성 기술 표준화 동향

        정희영,박우구,Jung, H.Y.,Park, W.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4 No.3

        유선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은 그 동안 개별적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망 운영자의 강한 요구에 따라 차세대 유무선통합망으로 발전하고 있다. 차세대 유무선통합망은 IP 기반의 All-IP 망으로서 사용자는 다양한 액세스 망을 통하여 자유롭게 접속하며, 무선 액세스의 활성화로 고정 사용자보다는 이동 사용자가 주가 되는 망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망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요구사항 중의 하나가 다양한 액세스망 간을 이동하는 사용자에 대한 심리스한 서비스 제공이다. 이러한 다양한 이기종 액세스망 간의 이동은 기본적으로 IP 이동성 지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최근 IP 이동성 지원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IP 기술의 대표적인 기관인 IETF 뿐만 아니라 유선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의 대표적인 표준화 기관인 ITU-T, 3GPP에서도 관련 표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IP 이동성 지원 기술에 대하여 주요 표준화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하여 논한다.

      • 차량네트워크에서 지연감내형 네트워킹 연구동향

        정희영,정재훈,추창연,홍용근,Jung, H.Y.,Jeong, J.H.,Choo, C.C.,Hong, Y.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7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2 No.4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자율주행차(Autonomous vehicle 또는 Self-driving car)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에서도 차량에 대한 끊김 없는 연결을 제공하는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기술이 필수적이다. 현재 커넥티드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 네트워크(Vehicular network) 기술은 교통시스템 인프라 기반의 단일홉(Single-hop) 무선통신 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단일홉 통신은 커버리지가 교통시스템 인프라가 구축된 지역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차량 네트워크가 현재보다 더욱 넓은 지역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차량 자체가 이동형 라우터 역할을 수행하여 차량 간의 전달을 통해 정보를 원거리로 전달할 수 있는 다중홉(Multi-hop) 통신 도입이 필요하다. 다중홉 차량 네트워크는 차량의 높은 동적 특성으로 인해 다수의 도전적인 기술적 이슈들을 가진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술 이슈 중 차량 네트워크의 높은 이동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종단 노드 간 비연결성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인 지연감내형 차량 네트워킹(Delay-tolerant vehicular networking) 기술에 대한 주요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지연감내형 차량 네트워킹의 기술적 배경 및 주요 관련 기술들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개발이 필요한 기술 이슈들을 정리한다.

      • 미래인터넷 연구동향 및 추진 전략

        정희영,양선희,김도영,전우직,김순철,Jung, H.Y.,Yang, S.H.,Kim, D.Y.,Chun, W.G.,Kim, S.C.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2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7 No.3

        다양한 서비스의 등장과 이에 따른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라 인터넷은 이미 단순한 정보통신 기술수준을 넘어서 사회 인프라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은 초기 설계 시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사용을 고려하지 못하고 설계되어 여러 가지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현 인터넷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 정보사회의 인프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연구가 미래인터넷이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수립한 "미래를 대비한 인터넷 발전계획"(2011. 6.)의 주요 내용을 간단히 소개하고 이 계획에 기반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의 주요 미래인터넷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본다. 또한 현 인터넷에서의 한국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인터넷 기반 사회를 한국이 주도하기 위한 추진 전략을 제시한다.

      • 인터넷 데이터 집중화 문제와 대응연구 동향

        정희영,고남석,Jung, H.Y.,Koh, N.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4 No.6

        The Internet is evolving into a fundamental social infrastructure, similar to electricity and water. In particular, the role of the Internet is becoming more critical as the global digital transformation infrastructu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is trend, we note that the Internet is monopolized by a few large organizations even though it was originally designed as a purely distributed system. In this paper, we have reviewed the domination trends, especially in terms of data consolidation. In addition, we have summarized the corresponding research activities from the Internet Society, EU Horizon-2020, and Decentralized web. Further, this paper proposes an approach to address the data consolidation issue from the Korean perspective.

      • IETF SeaMoby WG 표준화 동향

        정희영,Jung, H.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1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6 No.4

        IP 기술은 개방성과 유연성, 규모성 등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나 비 연결성의 최선형 서비스로 차후 활성화 될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용하기에는 아직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QoS와 이동성 제공 및 무선구간에서의 오버헤드 문제 등이다. 본 고에서는 기존의 Mobile IP 방법과는 다른 새로운 마이크로 이동성 기술을 다루기 위하여 최근 신설된 IETF의 SeaMoby WG의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최근까지 작성된 문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 조사야 확인용 film을 이용한 자궁 경부암 환자의 조사야 정확성 연구

        정희영,권영호,정덕양,황웅구,김유현,Jung Hee-Young,Kweon Young-Ho,Jeong Deok-Yang,Whang Woong-Ku,Kim You-Hyun 대한방사선치료학회 1995 大韓放射線治療技術學會誌 Vol.7 No.1

        1. Purpose : 30 patients with uterine cervical cancer who had been treated at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of Korea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 1994. to December. 31, 1994. were analyzed to the radiation field accuracy using verification films. 2. Methods and Materials : 30 patients were divided by 6 groups, 5 patients respectively : Group (1) : Standard physique, supine not-fixed Group (2) : Standard physique, supine fixed Group (3) : Obesity physique, supine, not-fixed Group (4) : Obesity physique, supine, not-fixed Group (5) : Obesity physique, prone, not-fixed Group (6) : Obesity physique, prone, fixed All groups were taken verification fimls during the whole treatment period, and it compared with simulation films and portal fimls, 3. Results : This results suggest that all patients should be immovilized and especially obesity physique patients should be treated by prone position in order to reduce radiation field discrepancy. In addition, this results should help to prescribe appropriate safty margins for patients simulation.

      • Mobile IPv4와 Mobile IPv6 연동 표준기술

        정희영,고석주,민재홍,Jung, H.Y.,Koh, S.J.,Min, J.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3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8 No.6

        차세대 망이 IP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IP 망이 현재의 IPv4에서 IPv6 기반의 망으로 점차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두 종류의 망이 상당기간 공존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환경에서의 심리스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IPv4와 IPv6에서의 이동성 관리기술인 Mobile IPv4와 Mobile IPv6 간의 연동기술이 필수적이다. 본 문서에서는 IPv4 망과 IPv6 망이 공존하는 경우 망간에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Mobile IPv4와 Mobile IPv6 간의 연동 표준기술을 IETF에서 제안되고 있는 기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