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원 사상이 제자 정이에게 미친 영향

        정환희 동양고전학회 2021 東洋古典硏究 Vol.- No.82

        도통적 관점에 따르면 정이는 주돈이를 사사했다. 이러한 관점은 학자들로 하여금 주돈이와 정이의 사승관계 여부에 관해 초점을 갖게 하면서 정이가 진실로 스승으로 모셨던 호원을 간과한다. 1056년 정이는 낙양의 태학에서 호원을 만나 스승으로 모셨다. 본 논문은 정이의 스승인 호원(胡瑗)의 사상을 논한 뒤, 정이의 주요 저작이라 할 수 있는 「안자소호하학론(顏子所好何學論)」과 『이천역전(程氏易傳)』에서 호원 학문의 영향을 논한다. 호원은 본성은 선하고 감정은 악의 내원이라 규정하였는데, 정이가 청년시기 작성한 「호학론」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또한 호원은 『주역구의(周易口義)』에서 역을 변역(變易)의 의미로만 간주하고 유가적인 입장에서 『주역』을 해석한다. 이 점 역시 정이의 『이천역전』에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관찰을 근거로 하여 필자는 정이의 사상 형성에 있어 그 누구보다도 호원의 역할이 상당했다고 결론 내린다.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n daotong(道統, transmission of Dao), Chengyi did sit at Zhoudunyi's feet. This description brings the focus to whether or not they had a master-pupi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also leads to the overlook of Chengyi’s true master, Huyuan. In 1056, Chengyi met Huyuan at Taixue(Imperial University) in Luoyang and enlisted him as a master. This paper discusses the thought of Huyuan, and the influence of Huyuan's scholarship on the main works of Chengyi. Huyuan recognizes that human nature is good and emotions are the source of badness, and it is also reflected in Chengyi's the Yanzisuohaohexuelun. Huyuan emphasizes Yi(易) as a meaning of change(變易) and interprets the Yijing from the Confucian perspective. These Huyuan’s perspectives are also reflected in Chengyi's the Yichuanyizhuan. From this point of view, I conclude that Huyuan's academic role is more significant than anyone else in shaping Chengyi's thought.

      • KCI등재

        소식과 정이의 마음공부론 비교 - 소식의 경(敬) 공부론 비판을 단초로 하여

        정환희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32 No.-

        본 논문은 소식이 정이의 경 공부론을 비판한 것을 단초로 하여, 소식과 정이의 마음공부론을 상호 비교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유와 무의 범주를 통해 촉학과 낙학의 공부론적 특징을 근원적으로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 소식은 감정과 의도란 현상적 자아를 소거해나가야 한다는 ‘없음’의 논리로 나아가고 정이는 자아의 주재를 통해 삿됨을 대체해나가야 한다는 ‘있음’의 논리로 나아간다. 마찬가지로 소식이 세간의 예법을 넘어서는 탈세간주의의 방향으로 나아간다면, 정이는 엄숙주의와 예법주의로 교육의 방향을 정립한다. 이러한 점은 인간 및 도덕수양에 관한 근원적 사유노선의 차이를 노정하므로, 소식이 정이의 경 공부론을 비판한 것은 필연적인 것이었다.

      • KCI등재

        만물일체와 리일분수 -「서명」을 바라보는 두 시선과 그 공부론

        정환희 한국교육사상학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3

        Zhangzai`s Ximing argues that all beings in the universe are born in the same origin, heaven and earth, so that we all have a moral obligation to others. The universal meaning of this Ximing was praised by Chenghao who defined ren(仁) as Wanwuyiti(all things as one body, 萬物一體). Yangming also incorporated the concept of Wanwuyiti into his ideas. However Chengyi and Zhuxi emphasized both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while proposing the concept of Liyifenshu(one principle and many manifestation, 理一分殊). These two views of ximing also align with their thinkerʼs each theory of education. Chenghao and Yangming seeks to find a state where all things are united by intuition of their inner self. On other hand, Chengyi and Zhuxi emphasized a daily study(日用工夫) and Gewu(格物, investigation of things) that proposes to investigate principles of individual things and ultimately realize a universal principle penetrating the individual principles. Originally, the keyword to explain Zhangzai`s Ximing, Wanwuyiti and Liyifenshu implies the major ideological divergence of Confucianism, and later became the terms representing the school of principle(理學) and mind(心學). 장재의 「서명(西銘)」은 우주의 모든 존재가 건곤에서 근거하였으며, 우리 모두가 타자에 대해 도덕적 의무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서명」에 대해 정호는 만물일체론적 관점을 제기하였으며, 양명 역시 만물일체 개념을 자신의 사상에 취입시켰다. 이에 반해 정이와 주희는 리일분수 개념을 통해 보편적 원리와 차등적 질서 모두가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서명」을 보는 시각으로서 만물일체와 리일분수는 그들의 공부론과도 조응한다. 정호나 양명은 자기 내면에 직입해 만물일체적 경지를 구하고자 한다. 즉 자기 자신의 본래성을 직관하여 이원적 분별을 버리고자 한다. 이에 반해 정이와 주희는 개별적 사물・사태의 이치를 학습하는 것으로부터 배움을 착수할 것을 강조하는데, 그것의 대표적인 사례가 쇄소응대나 격물 공부를 강조하는 것이다. 본래 장재 「서명」을 해명하는 키워드였던 만물일체와 리일분수는 유학의 주요한 사상적 분기를 노정하므로, 심학과 리학을 대표하는 용어가 되었다.

      • KCI등재후보

        정이와 양시,『西銘』을 논하다

        정환희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28 No.-

        In the work Guishanji(龜山集), there are letters exchanged between ChengI(程頤) and YangShi (楊時). Among the letters, three specific letters reveal the position of XiMing(西銘) within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In the first epistle, YangShi notes that XiMing emphasizes the universality of moral principles and neglects the inadequacy of moral conduct. In response to this, in the second epistle, ChengI claims that Yangshi’s an understanding of Ximing is not appropriate, by inventing the concept of Liyifenshou(理一分殊). Yangshi did not fully understand Chengi’s perspective, and in the third epistle, he defends his position. As researchers believe, their discussion obviously left behind the unique concept of the Liyifenshou. But in terms of the Ximing debate, the discussions on both sides were not productive.

      • KCI등재

        장재(張載)의 공부론 연구 — 「동명(東銘)」을 단초로 하여

        정환희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30 No.-

        In Confucian intellectual history, ZhangZai's DongMing was neglected when compared to Ximing. However, this paper discusses the theory of cultivation with regards to DongMing and intends to clarify its meaning. This study will briefly discuss the meaning of DongMing, and then move into the main concepts of ‘emptiness(虛)’ and ‘vital energy(氣)’ within the philosophy of ZhangZai. Finally, this study will illustrate the theory of cultivation with regards to DongMing in terms of the ‘preservation of originality’ and ‘vigilant against temperament’. Through these discussions, I argue that ZhangZai's DongMing must be re-evaluated.

      • KCI등재

        교회 구성원의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통한 다문화 시대 기독교교육의 과제에 대한 고찰

        정환희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09 국제이해교육연구 Vol.4 No.2

        성서는 이미 오랫동안 다양성을 인정하는 다문화 사회의 지혜를 가르치고 있다.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모든 기독교인의 고백은 그의 창의성을 토대로 나타나는 다양성에 대한 존중으로 나타나야만 한다. 다양성에 대한 억압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행위이자 성서에서 지속적으로 경고하고 있는 인간의 오만함Titanism의 표현이다. 인간의 오만함으로 인한 배제와 차별은 부정의이다. 하나님은 이 길에서 돌아서는 모든 자를 구원하기 위해 오늘도 성서를 통해 가르치고 있다. 필자는 이주 외국인 중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바라보는 한국 교회 구성원들의 관점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강한 기독교인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고 (2) 개종이 문화 접변 현상에 의해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3)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개종 강요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4) 여성에 대해 타 종교인이라기보다는 사회적 약자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조사 결과를 통하여 한국 기독교인들이 교육에 의해 긍정적인 미래를 추구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제 1형 당뇨병 소아환자에서 발생한 당뇨병성 신병증 1례

        정환희,박성신,김성도,조병수,Jung, Hwan-Hee,Park, Sung-Sin,Kim, Sung-Do,Cho, Byoung-S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0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2 No.2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또는 인슐린 작용의 장애로 발생하는 대사질환이다. 그 중 제1형 당뇨병은 흔히 혈당 조절이 어려우며 눈과 신장을 침범하는 미세혈관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당뇨병성 신병증은 소아에서 흔하지 않지만 신부전까지 일으킬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그런데, 많은 연구들에서 당뇨병이 사춘기 전에 발생하는 경우보다 사춘기나 그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에 미세혈관 합병증의 발생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사춘기 전에 발생한 소아 당뇨병성 신병증은 국내에서 보고된 예가 거의 없는 상태로, 저자들은 여러 차례의 당뇨병성 케톤산혈증의 과거력이 있으며 혈당 조절이 불량했던 제 1형 당뇨병 소아 환자에서 혈뇨와 단백뇨가 관찰되어 조직 검사를 통해 사춘기 전에 발생한 당뇨병성 신병증을 확진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Diabetes mellitus(DM) is a metabolic syndrome caused by deficiency of insulin secretion and a consequence of insulin resistance. Poor glycemic control is a common finding in children with Type 1 DM(T1DM). Approximately 60% of the young patients with T1DM develop abnormalities in the eyes and 15-20% in the kidney. Diabetic nephropathy (DN) is a serious metabolic complication of T1DM that leads to renal failure. Some clinical studies report that the duration of prepubertal diabetes may contribute less to the development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than pubertal and postpubertal duration. There have been few cases of DN in prepubertal patients with T1DM in Korea. Thus we report a case of a 12-year-old female with T1DM who had poor glycemic control and was diagnosed as DN in a prepubertal period. It was proven by renal biopsy after microscopic hematuria and proteinuria were detected through the mass school urinary screening program.

      • KCI등재

        소강절의 심성론과 수양론 연구

        정환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선도문화 Vol.24 No.-

        본 연구는 소강절의 심성수양론을 분석·종합·평가하고자 한다. 그는 본성을 리법적으로 이해하고, 마음은 본래 허한 것이라 본다. 감정을본성과 대비되는 것으로 여겨 악의 내원으로 삼는다. 그는 사사로운 감정과 사려의 발출을 지양하는 무위의 수양법을 제시한다. 각 사물에 내재된 본연성을 존중하기 위해 사물의 이치에 대한 학습[觀物]을 강조한다. 이러한 소강절의 관점은 정주리학의 심성수양론에서 반복되므로, 정주리학의 형성과정에서 소강절의 영향은 상당한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is, synthesis, assess a ShaoYong(1011~1077)’s theory of xinxing and cultivation. Shaoyong understands xinxing metaphysically, regards emotion as contrasting with xinxing and makes it the source of badness. To preserve a degradation of xinxing, he suggests a method of restraint that limits the unwanted emotional and thoughtful output. This method respects the a inherent naturalness in each object, so it is associated with learning about the principle of things. Since his viewpoint is repeated in the theory of Chengzhu school, his influence on confucianism intellectual history was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