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앵커 기반 파일 유사도 예측 기법을 사용한 중복제거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정호민,고영웅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9 No.5

        Traditional data deduplication system adapts a file similarity prediction scheme to find a similar file in the deduplication server. Therefore, we can minimize transferring duplicated data blocks to the server. To improve overall performance of deduplication system,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execution time of file similarity comput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w overhead file similarity prediction scheme using anchor-based hashing algorithm. The key idea is to apply sampling approach when we compute the representative hash list for a file. Experiment result shows that the accuracy of anchor-based file similarity prediction is comparable to traditional approach. However, the execution time of anchor-based scheme is 4 times faster than traditional file similarity prediction scheme. 기존의 데이터 중복 제거 시스템에서는 중복 제거 서버에 존재하는 유사한 파일을 발견하기 위하여 파일 유사도 예측 기법을 사용하며, 중복된 데이터 블록이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 제거 시스템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파일 유사도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낮은 오버헤드로 파일 유사도를 예측할 수 있는 앵커 기반의 해시 알고리즘 기법을 제안한다. 주요 아이디어는 파일의 대표 해시 리스트를 계산할 때에 샘플링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앵커 기반의 파일 유사도 예측 기법의 정확도는 기존의 방식과 비슷하였으나, 수행 시간에 있어서는 앵커 기반 방식이 기존의 접근 방식에 비해서 4배 정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 중복 데이터 관리 기법을 통한 저장 시스템 성능 개선

        정호민 ( Ho-min Jeong ),김병기 ( Byung-ki ),김진 ( Kim Jin Kim ),고영웅 ( Young-woong K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1

        기존의 저장 방식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비효율적으로 처리해 왔지만 데이터 중복 제거 기법을 이용하면서 저장 공간과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데이터 중복 제거 알고리즘들은 수행시간이 길고 중복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중복 검색 및 제거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저장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저장 공간을 최소화하고 네트워크 대역폭을 줄일 수 있다. 주요 아이디어는 스트라이드 방식의 중복 검색 메커니즘이며 중복된 데이터 블록을 발견하는데 있어서 계산 시간을 줄여주고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리눅스 배포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스트라이드 방식이 저장 공간을 줄이고 중복된 데이터 블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을 보였다.

      • 중복 제거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폰 백업 시스템

        정호민 ( Ho Min Jeong ),김병기 ( Byung-ki Kim ),송창근 ( Chang-geun Song ),고영웅 ( Young-woong K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2

        스마트폰에서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가 증가하면서 스마트폰을 위한 백업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복 제거 기법을 적용한 스마트폰 백업 기술을 제안함으로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저장 공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제안하는 중복 제거 방식은 스마트폰에서 각 파일을 일정한 크기의 블록 단위로 분할하고 지문을 부여하고, 지문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방식이 네트워크 대역폭 및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중복 데이터 관리 기법을 통한 저장 시스템 성능 개선

        정호민(Ho Min JUNG),정호민(Young Woong KO)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7 No.1

        기존의 전통적인 저장 서버는 중복 데이터 블록에 의해서 저장 공간과 네트워크 대역폭의 낭비가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중복 제거 메커니즘이 제시되었으나, 대부분 Contents-Defined Chunking (CDC) 기법을 사용하는 백업 서버에 한정되었다. 왜냐하면 CDC 기법은 앵커를 사용하여 중복 블록을 쉽게 추적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일의 업데이트를 관찰하기 유리한 백업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저장 시스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중복 제거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다. 범용적인 중복제거 서버를 구축하기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백업 서버, P2P 서버, FTP 서버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에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중복 영역의 블록을 찾아내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저장 시스템을 관리하는 것을 보였다. Traditional storage server suffers from duplicated data blocks which cause an waste of storage space and network bandwidth. To address this problem, various de-duplication mechanisms are proposed. Especially, lots of works are limited to backup server that exploits Contents-Defined Chunking (CDC). In backup server, duplicated blocks can be easily traced by using Anchor, therefore CDC scheme is widely used for backup serv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e-duplication mechanism for improving a storage system. We focus on efficient algorithm for supporting general purpose de-duplication server including backup server, P2P server, and FTP server. The key idea is to adapt stride scheme on traditional fixed block duplication checking mechanism.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mechanism can minimize computation time for detecting duplicated region of blocks and efficiently manage storage systems.

      • 동적 모드 변경을 제공하는 중복 제거 서버

        정호민 ( Ho Min Jung ),김진 ( Jin Kim ),고영웅 ( Young Woong K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1

        현재 중복 제거 기술은 클라이언트 기반 중복 제거 모델, 인라인(in-line) 중복 제거 모델 그리고 포스트 프로세스(post-process) 중복 제거 모델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부하를 모니터링하여 시스템 부하에 따라 중복 제거의 핵심 작업을 동적으로 변경한다. 즉, 클라이언트가 유휴하고 서버의 자원 사용량이 높은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기반 중복 제거 모델로 동작시키고, 클라이언트의 자원 사용량이 높고 서버가 유휴한(idle) 경우에는 인라인 중복 제거 모델로 동작시킨다. 그리고 전체 시스템이 과부하인 경우는 포스트 프로세스 모델로 동작하게 된다. 제안하는 방식에 대한 실험 결과 전체 시스템의 처리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DBMS를 이용한 중복 파일 제어 메커니즘 설계 및 구현

        정호민(Ho-Min Jeong),김진(Jin Kim),고영웅(Young-Woong Ko) 한국정보과학회 강원지부 2007 한국정보과학회 강원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1 No.1

        인터넷과 PC 사용의 증대로 개인 사용자, 소규모 그룹의 중요한 팡리 백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용 백업 소프트웨어의 규모나 비용이 개인 또는 소규모 그룹에 맞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의 범용 시스템을 기반하고 빈번한 수정이 요구되는 파일그룹에 유리한 백업에 초점을 두는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백업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DBMS에 저장하고, DBMS의 데이터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중복 파일 제어 기능을 구현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효율적인 중복제거 메커니즘을 적용한 백업 시스템

        정호민 ( Ho-min Jeong ),김병기 ( Byung-ki Kim ),유재봉 ( Jae-bong Yoo ),김진 ( Jin Kim ),고영웅 ( Young-woong K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1

        인터넷과 PC 사용의 증대로 개인 사용자, 소규모 그룹의 중요한 파일 백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용 백업 소프트웨어의 규모나 비용이 개인 또는 소규모 그룹에 맞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의 범용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백업 시스템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백업 서버에 자동으로 백업 및 복구를 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 KCI등재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중복 제거 백업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정호민(Ho Min Jung),김진(Jin Kim),고영웅(Young Woong Ko)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7 No.4

        중복 제거 백업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식은 소스 기반(SBA: Source-Based Approach), 인라인(ILA: In-Line Approach) 그리고 포스트 프로세스(PPA: Post-Process Approach) 접근 방식으로 분류된다. 현재 대부분의 상용 시스템은 ILA 또는 PPA 방식으로 구현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일부 연구진을 중심으로 SBA가 연구되고 있다. 중복 제거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면서 운영 환경에 따라서 적합한 방식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왜냐하면, 각 방식의 오버헤드 및 자원 사용량 등이 분석되지 않아서, 일부 운영 환경에서 자원 사용의 비효율성과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중복 제거 백업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으며,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가 지정하는 모드로 동작이 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복 제거 시스템을 SBA, ILA 그리고 PPA로 동작시키면서 각각의 성능을 비교 분석함으로 각 모드 별 특징과 장단점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The implementation approaches of data deduplication backup system divide into several modes including SBA (source-based approach), ILA (in-line approach) and PPA (post-process approach). Currently, most commercial systems are implemented and operated in an ILA and PPA approach, and some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SBA approach. As data deduplication systems are widely used, to choose an appropriate mode considering operation environment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than ever. Because the overhead of each mode and resource usage was not fully studied, in some operating environments, use of system resources can lead to inefficiency and poor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propose a data dedupl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mode. The proposed system can be operated in a mode that a user specifies, therefore, this system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operate the proposed system with the SBA, ILA, and PPA mode, respectively, and we present the measurement results wit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ode-specific performance and overhead.

      • 파일 지문으로 중복 파일을 제거한 클러스터링 백업 시스템 설계

        정호민 ( Ho-min Jeong ),고영웅 ( Young-woong K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2

        기존의 백업시스템에서는 데이터의 중복을 고려하지 않고 백업 데이터 전부를 저장하기 때문에 저장 용량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백업 데이터의 각 파일에 대해서 일정한 크기의 블록 단위로 파일지문을 부여하고 파일지문이 동일할 경우 하나의 사본만을 공유하는 방법으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제안하는 백업 시스템은 중복되어 발생하는 데이터에 대해 하나의 사본만 백업함으로써 백업되는 데이터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백업되는 파일 블록에 대해서 클러스터링 기술을 사용함으로서 입출력 성능 향상을 고려하였다.

      • CRC64해시를 이용한 에너지 효율적인 파일 전송 기법 설계 및 구현

        정호민 ( Ho Min Jung ),강성운 ( Sung Woon Kang ),이정근 ( Jeong Gun Lee ),고영웅 ( Young Woong K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1

        모바일 단말에서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구현할 때,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단말에서 파일 전송을 수행함에 있어서 에너지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주요 아이디어는 클라이언트 부분에서 전송하려는 파일을 128Kbyte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고 CRC64를 사용하여 블록의 해시를 서버로 보내 블록을 전송할 지 결정한다. 보내고자 하는 블록이 서버에 있는 크기만큼 대역폭을 줄이면서 모바일 단말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것이다. 실험 결과 5% 이상의 중복율을 가지는 파일에 대해서 제안하는 기법이 배터리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음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