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 울릉분지 표층퇴적물에서 농화배양한 금속환원미생물의 다양한 금속(Fe, Mn, Se, Au) 환원 및 생광물화작용 특성

        정혜연,김유미,정현이,노열 한국자원공학회 2016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3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verse metal-reduction and biomineralization by metal-reducing bacteria (MRB) enriched from marine sediments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Microbial diversity of the MRB was identified by 16S rRNA gene analysis. Microbial metal reduction was studied using diverse redox-sensitive metals [Mn(IV), Fe(III), Se(VI), Au(III)] as electron acceptors and various electron donors (acetate, formate, glucose, lactate, and pyruvate) at 8°C or 25°C. XRD and SEM/TEM-EDS were used to analyze mineralogical, chem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nerals formed by bacteria. The MRB including Shewanella sp., Clostridium sp., Vibrio sp. and others, formed rhodochrosite (MnCO3), and magnetite (Fe3O4)/siderite (FeCO3) by Mn(IV) and Fe(III) reduction processes, respectively. They also reduced Se(VI) and Au(III) into Se(0) and Au(0), respectively.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RB are able to reduce various redox-sensitive metals and they may influence biomineralization and cycle of metals and organic matter in subsurface environments. 이 연구에서는 울릉분지 퇴적물에서 금속환원미생물을 농화 배양하여 종 다양성을 확인하고, 다양한 유기물과 금속 산화물을 각각 전자공여체 및 전자수용체로 이용하여 8°C와 25°C에서 미생물의 금속환원능을 평가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은 XRD, SEM/TEM-EDS 분석을 통해 광물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농화배양된 금속환원미생물은 Shewanella sp. 와 Clostridium sp., 등 이며, 이 미생물에 의해 망간(IV)산화물은 능망간석(MnCO3)으로, 철(III)수산화물은 자철석(Fe3O4) 및 능철석(FeCO3)으로 상전이 되고, 셀레늄(VI)과 금(III) 이온은 각각 셀레늄(0)과 금(0)으로환원되어 침전되었다. 따라서 동해 울릉분지 표층퇴적물 내 다양한 금속환원미생물의 존재는 퇴적물 내 망간과 철을비롯한 다양한 금속의 순환과 광물 형성 및 집적에 기여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현대미술관내 인터렉티브 공간의 역할과 조건 : 아동관객의 교육적 경험을 위한 모색

        정혜연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3 미술과 교육 Vol.14 No.3

        동시대 미술관은 어린 아동관객을 위한 교육 요소로서 인터렉티브한 활동을 유도하는 상설 교육공간을 설치하고 있다. 미술관의 아동 관람객을 위한 상설공간은 교육프로그램과는 달리,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이 미술관의 모든 가족 관람객이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적극적인 의사 교환을 통해 학습자의 과거의 지식에 새로운 지식을 능동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렉티브 학 습을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는 MoMA의 “미술 실험실: 인물”과 MassMoCA의 “호기심” 두 상설 교육 공간의 사례를 통해 인터렉티브 공간의 조건과 소장품에 대한 해석의 논리를 연구하였다. 두 공간은 소 장품의 성격을 어떻게 반영하는지에 따라 다른 교육목표와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나,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신체적 탐구활동”을 통해 실제 소장품이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함께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 공”(Caulton, 1998)하는 인터렉티브한 활동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었다. 두 인터렉티브 공간의 교육활동은 현대미술의 시각적 은유, 상징, 병치를 연습해보는 활동을 통해, 특정한 몇 개의 소장품을 이해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닌 소장품 전체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해석력을 키우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또한, “놀이 는 통한 학습”이라는 상황을 제시하여 상상력을 통해서 이를 발전시켜, 아동이 자신의 현 상황을 다른 상황으로 치환하여 자신을 적용시키고, 전인적 발달을 증진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아동이 낯설 음에서 벗어나 편안함을 느끼는 교육 환경 안에서 소장품에 쉽게 접근, 참여하도록 목표하고 있다. Art museums today provide educational spaces for young children to experience interactive activities. Such interactive spaces open all the time during museums’ open hours; thus, all family visitors are able to explore the exhibited object regardless of their plan. Interactive spaces often pursue providing interactive learning experiences for visitors to connect their prior knowledge and new experiences in art museum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viewers and exhibited objec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was to investigate conditions of interactive spaces in art museums and the logics of interpreting their collections through two cases: Museum of Modern Art’s Art Lab: People and the Massachusetts Museum of Comtemporary Art’s Curiosity. The two educational spaces have different educational mission and natures based on how they reflect characteristics of their collections; however, both spaces encourage “individuals or group of people working together to understand real objects or artworks through physical exploration which involves choice and initiative” (Caulton, 1998). Through providing practices to understand visual metaphor and symbolic function, both interactive spaces induce child visitors to build their abilities to understand fundamental languages of contemporary art collections of the museums. The spaces also provide comfortable learning environment to explore the exhibited objects without restricts of no-touch rule for artworks.

      • KCI등재

        관람객에게 말을 거는 미술관 라벨: 브레라 회화관의 가족 라벨

        정혜연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3 미술과 교육 Vol.24 No.1

        오늘날의 미술관에서는 관람자가 소장품을 통해 자신을 발견하고 느끼는 감정적 교류를 만들어내기 위해 소장품과의 “연결고리”를 제공하려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 관람자에게 작품에 대한 해석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가장 기초적인 방식인 라벨이 작품에 대한 미술사적 정보를 습득하도록 하는 도구가 아니라 자신만의 의미를 만들어 낼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탈리아 밀라노에 있는 7세기 궁전 건축의 브레라 회화관 가족 라벨에 관한 사례 연구이다. 브레라 회화관의 가족 라벨은 관람자에게 작품과 관계를 맺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되어 브레라 회화관의 대표작이 아닌 비교적 덜 알려진 작품들에 대해 관객들의 견인력과 유지력을 끌어내고 있다. 일반 라벨이 미술사적 사회문화적 맥락, 특히 종교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비해, 가족 라벨은 관람객에게 작품을 해석하는 자극(provocation)을 제공하고 작품에 등장하는 사물이나 사람에 주목하도록 하는“소셜 오프젝트”의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브레라 회화관의 가족 라벨은 관람객이 자신의 정체성을 반영할 수 있는 문장과 정답이 없는 질문에 답을 찾도록 한다. 그 과정에서 아동을 포함한 가족 관람객은 자신만의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는 작가-되기를 실천한다.

      • KCI등재

        참여와 공유를 창조하는 교육프로그램 설계: 예비 박물관/미술관 교육자를 위한 대학원 수업의 실행연구

        정혜연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과 교육 Vol.23 No.2

        박물관/미술관의 온라인 교육 활동은 오프라인 교육 활동과 마찬가지로 교육 활동 참여자의 관심과 현 상황을 반영하고, 그들을 변화 가능한 집단으로 인식하며, 그들에게 삶의 의미를 찾도록 만드는 활동이어야 한다. 본 연구는 2020년 코로나로 인한 온라인 교육 활동의 증가에 따라 온라인 교육 활동의 계발 연구는 코로나의 지속 여부를 넘어 박물관/미술관 교육 종사자들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해 필수적이라 판단하고, H 대학교 교육대학원 박물관/미술관 2의 수업을 팬데믹 시대의 박물관/미술관을 위한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개발로 전환한 수업에 관한 실행연구이다. 수업에서 예비 박물관/미술관 교육담당자들은 박물관/미술관이 참여적 문화 기관임을 인지하였고, 방문객이 자신의 의미를 만들고 그 생각을 공유하고 연결되는 온라인 교육 활동을 설계하였다. 교수자와 수업 참여자는 사이먼(Simon, 2010)의 참여의 기본 원리를 근간으로 참여의 조건과 과정을 어떻게 설계해야 관람자에게 참여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지 함께 연구하였다. 수업 참여자들은 특정 박물관/미술관과 전시를 선정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대상자를 설정하고, 이용자들에게 사회적 상호작용을 추구하도록 독려하여 소통의 수단과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수업 참여자의 참여적 온라인 교육 활동 설계는 결과로서의 교육 활동이 아니라 더 깊은 참여를 유도하는 과정으로 계획했다. 참여자들은 온라인 박물관/미술관의 교육 활동 설계에 있어 “나에게서 우리”로의 이행 장치를 만들려 노력하였다.

      • KCI등재

        Articulating the Transnational in Pearl Buck’s The New Year

        정혜연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22 미국학 Vol.45 No.2

        In 1968, Pearl Buck published her third story about Korea, The New Year. In this work, the readers see how Korea and its people are inscribed with American “orientalist” discourse. At the same time, it makes clear that Korea’s “exportation of American culture” has rendered post-war Seoul a “transnational space” of sorts (Cole and Haddad 4) and some of its people have taken on a “flexible citizenship” of a transnational subject who has multiple cultural literacies at their disposal. Thus, in my discussion of The New Year, I investigate how the competing discourses of the nation-state and the transnational are played out within the pages of this novel. I examine how Buck’s narrative gestures towards the transnational just as it evokes the American nationalist discourse by which Korea and its people (especially its women) are relegated as the Oriental Other in relation to the American Self.

      • KCI등재후보

        “A Guide to Bad Motherhood”: Failure of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in Sula

        정혜연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3 젠더와 문화 Vol.6 No.1

        This essay reads Toni Morrison’s Sula(1973) as a fictionalized rendering of Sigmund Freud’s observations in "Female Sexuality"(1931/1964); in this novel, Morrison scrutinizes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and its correlation to female sexuality and ultimately offers Sula as a critical survey of African-American motherhood. To this end, Morrison arguably posits three separate sets of mother-daughter relationships and three distinct women whose sexualities are very much the result of this crucial relationship. In so doing, Morrison rewrites the narrative of motherhood in Sula by presenting Sula and Nel as surrogate mothers of one another. The failure and fatality of "real" mother-daughter bonds engender a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Sula and Nel as the two turn to each other for motherly love and nurturance. Subsequently, I submit that Sula and Nel’s relationship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erotic underpinnings of mother-child relationships, rather than that of lesbians; reborn to their surrogate mothers, Nel and Sula re-experience Freud’s infantile psychosexual stages, in hopes that their surrogate mothers will better prepare them in their road to integration with society. This relationship, however, also falls short of their expectations in this world of bad black mothers and isolated daughters.

      • KCI등재

        통역잠재력 검사지 개발

        정혜연 한국독어학회 2011 독어학 Vol.24 No.-

        Nicht alle bilinguale Menschen sind in der Lage, Gesprochenes in einer anderen Sprache sinngemäß wiederzugeben. Nur ein Teil der Bilingualen verfügt über die distinktiven Eigenschaften, die die Kompetenz eines Dolmetschers ausmachen. Diese Dolmetschkompetenz geht über das sprachliche Können hinaus und ist demnach nicht mit der sprachlichen Kompetenz von Bilingualen gleichzusetzen. Diese Kompetenz, oder genauer gesagt, das Potenzial für diese Kompetenz frühzeitig zu entdecken, liegt nicht nur im Interesse der Lernenden, sondern auch der Lehrenden, zumal sie dadurch möglicherweise einen maximalen Ausbildungseffekt erzielen könn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versucht, diesem Potenzial durch die Entwicklung und Durchführung eines Eignungstestes auf die Spur zu kommen. Entwickelt wird der Test für „die Spätbilingualen“ im Sinne von Li(2001), d.h. die Bilingualen, die die zweite Sprache erst nach der Kindheit erworben haben. Dieser Test zielt demnach darauf ab, die potenzielle Dolmetschkompetenz der Testpersonen im Bereich „Konferenzdolmetschen (Konsekutiv- sowie Simultandolmetschen)“ zu erschließen. Zu testen sind insgesamt sechs Bereiche, die jeweils eine Subkompetenz von Konferenzdolmetschern darstellen. Dazu zählen u.a. multilinguale Kompetenz, Sprachwechsel, extralinguistisches Wissen, Aufmerksamkeitsaufteilung, Gedächtnis und psychologische Komponenten (Motivation und Stressmanagement). Bei der Entwicklung der einzelnen Testaufgaben wird vor allem auf deren Prognosenwerte Wert gelegt (Wie zuverlässig lässt sich mit dem Resultat der Testaufgaben die Entwicklung der Dolmetschkompetenz von Testpersonen voraussagen?). Abschließend wird eine Reihe von Methoden angewendet, um die Validität des Testes und die Reliabilität des Testergebnisses sicherzustellen. Diese Arbeit ist als ein Beitrag zur Translationskompetenzsforschung zu verstehen, einem relativ jungen Forschungszweig, der unter anderem in Europa verbreitet ist, und in meinen früheren Beiträgen von 2009, 2010 und 2011 behandelt wur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