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어머니의 의사소통능력과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정해진 한국교육과학융합학회 2024 교육과학융합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의사소통능력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원시, 안산시, 화성시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2세 ~ 만 5세 영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수행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의사소통능력, 양육태도, 양육효능감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다. 둘째, 어머니의 의사소통능력과 양육태도 사이의 관계는 양육효능감이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양육효능감 증진이 양육 태도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어머니의 의사소통능 력과 양육효능감을 동시에 증진시킬 수 있는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others’ communication abilities on their parenting attitud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61 mothers of children aged 2 to 5 years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uwon, Ansan, and Hwaseong cities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for correlation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correlation among communication ability,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ing 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ommunication abilities and parenting attitudes was partially mediated by parenting effic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proving mothers’ communication abilities and enhancing parenting efficacy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parenting attitudes. This confirm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that simultaneously enhance mothers’ communication abilities and parenting efficacy.
K리그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이 경기 시청 의도 및 직접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해진,이경훈,최석환 한국웰니스학회 2023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K리그 구단이 운영하는 공식 유튜브 채널의 콘텐츠 품질이 팬들의 경기 시청 의도 및 직접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K리그 구단의 유튜브를 활용한 마케팅의 기초자료 혹은 전략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온라인 종합축구 커뮤니티 및 팬 커뮤니티를 통해 비대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76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되는 13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363명이 응답한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version 25.0 프로그램을 사용했으며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 및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K리그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 중 유용성은 경기 시청 의도와 직접 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리그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 중 정확성은 경기 시청 의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 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리그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 중 최신성은 경기 시청 의도와 직접 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K리그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 중 공유성은 경기 시청 의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 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tents qualities of official YouTube channels operated by K League clubs on fans'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and in person, and to provide basic marketing data or strategy marketing data using K League clubs' YouTube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a non-face-to-fac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online soccer community and fan community, and a total of 363 people answered the questionnaire, excluding 13 who were judged to have responded insincerely,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IBM SPSS version 2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such procedures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usefulness of the K League club's YouTube contents qualitie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and in person. Second, among the qualities of YouTube contents in the K League club, accuracy was found to have little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but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in pers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latest qualities of YouTube contents in the K League club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and in person. Fourth, among the qualities of YouTube contents in the K League club, sharing was found to have little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but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in person.
SPECIAL ISSUES-월간<한전> 통권 400호 발간이 가지는 의미
정해진,Jeong, Hae-Jin 대한전기협회 2006 전기저널 Vol.- No.360
한국전력의 사보 월간<한전>이 통권 400호를 넘어섰다. 1970년 10월 통권 1호로 출항한 이래 36년만의 일이다. 한 기업이 30년 이상 존속하는 것도 드문 일이지만 하나의 제호로 30년 넘게 발간되어 온 잡지는 더더욱 드물다. 그만큼 기업의 뿌리가 깊고 튼실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일 것이다. 이 자체로도 참 대단한 일이지만 한국전력 사보의 역사는 그 이전으로 훨씬 더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러한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았으며 회사 내에서 조차도 제대로 정립되지 못한 점이 있었다. 지난 10월 한국전력은 월간<한전> 통권 400호 발간을 기념하는 전시회와 특집호를 내고 한국전력의 사보가 걸어온 길을 집중 조명했다.
VR을 위한 유화풍 손그림 2D 애니메이션 제작 방식 연구: 일출과 일몰 장면 구현을 중심으로
정해진,김호남,이현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Currently, VR is mostly produced with 360° cameras or 3D graphics. However, hand-drawn animation can also be used to produce VR images. But the normal hand-drawn images and animations produced on paper or screen are heavily distorted when they are projected or mapped on three-dimensional space within VR. Therefore, one should anticipate this distortion and draw a calculated picture. This study examines how to create the hand-drawn images and animation for a 3D VR environment efficiently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drawing style of the artist, We found three methods for this. Currently, the methods of drawing on a VR environment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method utilizes pre-existing software applications like Tilt-Brush and Quil-Brush which allow the artist create her drawing inside VR space. But these methods create 3D fragments instead of brushstrokes, they are not 2D images. The second method is an analog way with equirectangular drawing. Antonio Araujo's VR panoramic grid drawing method is the example for this. The third method is the digital way that applies distortion in real time. We explored drawing enabled with the 3D layer function, which shows the current drawing in a 3D space by placing a virtual camera. Based on the preliminary research, we attempted to produce a hand-drawn animation with a strong brushstroke images in order to create the imaginary scene in VR space-time where sunrise and sunset occur simultaneously. We used 3D layer function in Photoshop, but we also found the problem in this process and suggests the ad hoc solu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of further development in hand-drawn images for VR video and we hope to this study serve as a initial research for such topics. 현재 VR은 대부분 360도 카메라로 촬영된 실사영상이나 3D 그래픽으로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손그림 애니메이션도 VR 영상 제작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손그림 이미지와 이들을 통해 제작되는 애니메이션은 대부분화가에 의해 종이평면이나 스크린 상에 그려지고 제작되지만, VR 속 삼차원 공간으로 옮겨지면 왜곡되게 된다. 따라서 왜곡을 미리 예측하고 계산한 그림을 그려줘야 한다. 본 연구는 평면 위에서의 화가의 전통적 그리기 방식을 유지한 채 제작된, 손으로 그린 평면 이미지를 3차원의 VR 환경 내에 적용키 위한 방법론을 살펴본다. 현재 VR 상에서 드로잉 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는 VR 환경 내부에서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이는 틸트 브러쉬와 퀼 브러쉬 등의 소프트웨어로 가능한데 이는 엄밀히 손그림 드로잉이기 보다는 삼차원 조각으로 이뤄진 이미지라 할 수 있다. 그 밖에 평면 프레임에 맞추어 그림을 그린 뒤 VR 환경으로 맵핑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는 아날로그적 방법과 왜곡을 실시간으로 적용하는 디지털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아날로그적 방법은 등장방형도법의 그리드 활용법을 활용한 안토니오 아라우조의 VR 파노라마 그리드 드로잉 방법이 있으며, 디지털 방식으로는 가상의 카메라를 3D 공간상에 배치하여 화가가 직접 프레임에 그림을 그리면 실시간으로 이를 등장방형도법의 그림으로 바꿔주는 3D 레이어 기능이 있다.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방식의 장단점을 확인하며, 음(陰)과 양(陽)이 공존하는 시공간으로서 일출일몰이 동시에 일어나는상상적 시공간을 강한 붓터치의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려 했다. 이 작업 중 발견된 3D 레이어의 병합 문제, 가까이 있는 물체의 왜곡현상 등의 문제점을 소개하며, 3D 오브젝트와 2D 손그림을 적절히 혼용하는 제작법 등을 그 대안으로 제안한다. 본 연구는 VR환경에서 다양한 손그림 이미지가 사용되는 방법론이 향후 더 발전될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현시점의 방법론적 모색을 담아내는 기록이자, 향후 관련 분야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역할하길 기대한다.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2. 1997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정해진,박종규,최현용,양재삼,심재형,신윤근,이원호,김형섭,조경제,Jeong, Hae-Jin,Park, Jong-Kyu,Choi, Hyun-Yong,Yang, Jae-Sam,Shim, Jae-Hyung,Shin, Yoon-Keun,Yih, Won-Ho,Kim, Hyung-Sup,Cho, Kyung-Jae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1
We investigated the phytoplankton community from June to September 1997 in the waters off Kohung, Korea where red tides dominated by harmful dinoflagellates had occurred from August to September or October since 1995. We took water samples five times from 5 depths at 6 or less stations in this study period. The most dominant harmful dinoflagellate during the red tide which had outbroken on August 24, 1997 was Gyrodinium impudicum, not Cochlodinium polykrikoides. On August 21 just before the harmful red tide occurred the abundance of G. impudicum at the inner bay station, 90cells $ml^{-1}$, was higher than that at the outer bay station. However, on August 27 just after the red tide had outbroken, the abundance of G. impudicum at the inner bay station did not increase, whereas that at the outer bay increased rapidly and reached to the maximum of 30,000 cells $ml^{-1}$. Instead, diatoms such as Skeleltonema costatum, Chaetoceros pseudocurvisetus, Pseudonitzschia pungens rapidly increased at the inner bay station where fresh water from lands has reached. The high abundance of diatoms might have inhibited the growth of red tide dinoflagellates at this station. The transport of already formed red tide patches from offshore areas, aggregation of scattered cells driven by physical forces, and/or competition between diatom and dinoflagellates might be responsible for this appearance of dense red tide patches at the outer bay s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