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정하림,남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e-PBL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n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e-pbl on the unit of 'My Environmental-friendly Life'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6th grade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tilized in the study and collected research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WIN 14.0 program.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e-PBL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environmental litaracy of students. Second, in comparing the subordinate areas of environmental litaracy, the e-PBL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ongnitive and the affective areas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environmental litaracy of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behavioral area between two groups.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과 6학년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단원 내용을 기반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e-PBL 수업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e-PBL 수업을 실험반에, 전통적 수업을 통제반에 적용하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설계를 바탕으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자료는 윈도우용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e-PBL 수업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환경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환경 소양의 함양에 더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환경 소양의 하위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을 실시한 집단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행동적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Next-Generation Chatbots for Adaptive Learning: A proposed Framework

        정하림,유주헌,한옥영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3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4 No.4

        Adaptive has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in Education Technology (EdTech), with personalized learning experience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Next-generation chatbots, including models like ChatGPT, are emerg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se advanced tools show great potential for delivering personalized and adaptive learning experiences. This paper reviews previous research on adaptive learning and the role of chatbots in education. Based on this, the paper explores current and future chatbot technologies to propose a framework for using ChatGPT or similar chatbots in adaptive learning. The framework includes personalized design, targeted resources and feedback, multi-turn dialogue models, reinforcement learning, and fine-tuning. The proposed framework also considers learning attributes such as age, gender, cognitive ability, prior knowledge, pacing, level of questions, interaction strategies, and learner control. However, the proposed framework has yet to be evaluated for its usability or effectiveness in practice,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framework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 field of study. Through proposing this framework, we hope to encourage learners to more actively leverage current technologies, and likewise, inspire educators to integrate these technologies more proactively into their curricula. Future research should evaluate the proposed framework through actual implementation and explore how it can be adapted to different domains of study to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ts potential applications in adaptive learning.

      • KCI등재후보

        무선 방송 스트림에서 위치기반 상위-k 질의

        정하림,조병구,연돈 한국정보과학회 2009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25 No.3

        This paper explores the problem of processing a novel type of location based queries, named the location based top-k query, which involves both of spatial and non-spatial specification for the data objects in the wireless data broadcasting system. The location based top-k query, issued by a mobile user, aims to retrieve the k data objects that best match the user’s specification on the spatial and the non-spatial attributes of data objects. We present two methods for the processing of location based top-k queries on the wireless broadcast stream. The first method makes use of the aggregate R-tree (aR-tree), a variant of the R-tree. Although the aR-tree can be used for processing location based top-k queries on the broadcast stream, it may deteriorate the search performance, especially in terms of the tuning time. With this problem in mind, we propose a novel R-tree variant index structure, called the bit-vector R-tree (bR-tree) to facilitate processing of location based top-k queries on the broadcast stream. The search algorithm on the broadcast bR-tree is also discussed. Our simulation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the bR-tree method significantly outperforms the aR-tree-based naive method in terms of the tuning time, while maintaining similar or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the access time. 본 논문은 무선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공간 속성뿐만 아니라 비공간 속성을 활용하여 이동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위치기반 질의인 위치기반 상위-k 질의를 정의하고, 무선 방송 스트림에서 위치기반 상위-k 질의를 수행하기 위한 두 가지 기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기법은 방송 데이터의 공간·비공간 속성을 기반으로 R-tree의 변형인 aggregate R-tree (aR-tree)를 구축하고 방송 스트림에 배치한다. 하지만 aR-tree는 위치기반 상위-k 질의 수행 시 튜닝시간 성능을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두 번째 기법은 bit-vector R-tree (bR-tree)를 활용하여 위치기반 상위-k 질의를 수행한다. 성능평가를 통해 bRtree 기법이 aR-tree 기반의 단순한 기법에 비해 튜닝 시간 측면에서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더 나은 접근 시간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강화학습 기반 고속도로 갓길차로제 운영 알고리즘 개발 연구

        정하림,박상민,강성관,윤일수 한국ITS학회 202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2 No.4

        본 연구는 고속도로 상의 반복적인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 중 하나인 고속도로 갓길차로제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강화학습 기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강화학습의 DQN을 활용한 갓길차로제 운영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미시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 VISSIM을 활용하여 경부선 기흥IC-수원IC 구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강화학습 에이전트를학습시켰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효과평가는 크게 이동성과 안전성의 두 가지 측면에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DQN 기반 갓길차로제 운영을 통해 시간당 최대 26km/h의 속도 개선 효과가 발생하였으며, DQN 에이전트는 기존 운영 기준인 60km/h 보다 약 10km/h 높은 속도로 갓길차로제를 운영하였다. 안전성 효과의 경우 기존 운영 방식과 DQN 기반 운영을 통해 발생되는차량 간 상충건수를 비교하였고 산출된 상충건수의 차이가 크지 않아 10km/h의 운영 기준 속도의 차이가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강화학습 기반 고속도로 갓길차로제 운영은 이동성 측면에서는 분명한 효과가 존재하였고 현재 운영 기준 속도의 조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교통류에 영향을 주는 화물차 군집주행 운영 조건 분석

        정하림,이영택,박상민,조현배,윤일수,Jung, Harim,Lee, Young-taek,Park, Sangmin,Cho, Hyunbae,Yun, Ilsoo 한국ITS학회 2021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0 No.4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화물 운송이 도로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물차 군집주행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화물차 군집주행은 연속된 두 대 이상의 화물차들이 하나의 군집을 구성해 주행하는 것으로 도로 용량의 증가와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물차 군집주행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교통 조건, 화물차 군집주행 운영 조건에 따른 시나리오를 생성하였다. 화물차 군집주행 운영 조건의 영향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평균통행속도, 차로변경방해건수, 진출입구간방해건수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군집 내 화물차 수, 군집 내 화물차 간격, 군집 간 간격은 평균통행속도와 차로변경방해 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집주행 화물차 비율이 LOS와 무관하게 평균통행 속도와 차로변경방해건수에 강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Korea, interest in truck platooning is increasing because most cargo transportation is done by road. Truck platooning is the operation of two or more trucks in a row to form one platoon, which can increase road capacity and improve fuel efficiency.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effect of truck platooning on traffic flow, scenarios were created according to traffic conditions and truck platooning operating condi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truck platooning operating conditi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average travel speed, the number of lane change disturbance, and the number of disturbance in the entry/exit sec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trucks in the platoon, the spacing of trucks in the platoon, and the spacing between platoon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average speed and the number of lane change disturbance In addition, the truck platooning ratio was found to have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travel speed and the number of lane change disturbance regardless of the L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