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정하림,정남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e-PBL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n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e-pbl on the unit of 'My Environmental-friendly Life'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6th grade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tilized in the study and collected research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WIN 14.0 program.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e-PBL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environmental litaracy of students. Second, in comparing the subordinate areas of environmental litaracy, the e-PBL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ongnitive and the affective areas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environmental litaracy of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behavioral area between two groups.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과 6학년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단원 내용을 기반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e-PBL 수업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e-PBL 수업을 실험반에, 전통적 수업을 통제반에 적용하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설계를 바탕으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자료는 윈도우용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e-PBL 수업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환경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환경 소양의 함양에 더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환경 소양의 하위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을 실시한 집단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행동적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강화학습 기반 고속도로 갓길차로제 운영 알고리즘 개발 연구
정하림,박상민,강성관,윤일수 한국ITS학회 202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2 No.4
본 연구는 고속도로 상의 반복적인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 중 하나인 고속도로 갓길차로제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강화학습 기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강화학습의 DQN을 활용한 갓길차로제 운영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미시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 VISSIM을 활용하여 경부선 기흥IC-수원IC 구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강화학습 에이전트를학습시켰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효과평가는 크게 이동성과 안전성의 두 가지 측면에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DQN 기반 갓길차로제 운영을 통해 시간당 최대 26km/h의 속도 개선 효과가 발생하였으며, DQN 에이전트는 기존 운영 기준인 60km/h 보다 약 10km/h 높은 속도로 갓길차로제를 운영하였다. 안전성 효과의 경우 기존 운영 방식과 DQN 기반 운영을 통해 발생되는차량 간 상충건수를 비교하였고 산출된 상충건수의 차이가 크지 않아 10km/h의 운영 기준 속도의 차이가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강화학습 기반 고속도로 갓길차로제 운영은 이동성 측면에서는 분명한 효과가 존재하였고 현재 운영 기준 속도의 조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동차 시트의 인간공학적 디자인에 따른 착좌 안락감 및 압력분포 평가
정하림,최준원,양승완,박준규,김도용,송창현,김종배,김한성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3 의공학회지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slim seats with ergonomic design to improve seat comfort and expand the interior space. Two seat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a sample seat designed based on hip shape and spinal alignment and a normal seat with a flat design without curves. Subjects sat in both the sample seat and a normal seat applied to the vehicle simulator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next part of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wo different postures: a driving posture and a relaxed posture. The subjects filled out a comfort questionnaire immediately after sitting and after 30 minut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fort in the sample seat was found to be more comfortable than the normal seat. However, no significant dif- ference was noted for the relaxation posture. Pressure distribution was also recorded immediately after sitting and after 30 minutes. In the case of pressure distribu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ssure in the sample seat was more evenly distributed in both the driving and relaxed postures than in the normal sea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rgo- nomically designed sample seat greatly improved seating comfort and pressure distribution compared to the normal seat, which is a general vehicle seat design.
정하림,이영택,박상민,조현배,윤일수,Jung, Harim,Lee, Young-taek,Park, Sangmin,Cho, Hyunbae,Yun, Ilsoo 한국ITS학회 2021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0 No.4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화물 운송이 도로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물차 군집주행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화물차 군집주행은 연속된 두 대 이상의 화물차들이 하나의 군집을 구성해 주행하는 것으로 도로 용량의 증가와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물차 군집주행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교통 조건, 화물차 군집주행 운영 조건에 따른 시나리오를 생성하였다. 화물차 군집주행 운영 조건의 영향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평균통행속도, 차로변경방해건수, 진출입구간방해건수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군집 내 화물차 수, 군집 내 화물차 간격, 군집 간 간격은 평균통행속도와 차로변경방해 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집주행 화물차 비율이 LOS와 무관하게 평균통행 속도와 차로변경방해건수에 강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Korea, interest in truck platooning is increasing because most cargo transportation is done by road. Truck platooning is the operation of two or more trucks in a row to form one platoon, which can increase road capacity and improve fuel efficiency.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effect of truck platooning on traffic flow, scenarios were created according to traffic conditions and truck platooning operating condi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truck platooning operating conditi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average travel speed, the number of lane change disturbance, and the number of disturbance in the entry/exit sec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trucks in the platoon, the spacing of trucks in the platoon, and the spacing between platoon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average speed and the number of lane change disturbance In addition, the truck platooning ratio was found to have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travel speed and the number of lane change disturbance regardless of the LOS.
메타분석을 이용한 자율주행자동차 혼재교통류 영향 분석에 관한 연구: 연속류 도로를 중심으로
정하림,조민경,윤일수,박상민 한국ITS학회 202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2 No.6
Recently, there has been a worldwide increase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utomated vehicles for commercializ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level 3 autonomous vehicles on continuous-flow roads will be introduced and will increase. Consequently,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ixed traffic flow with automated vehicles based on the market penetration rate (MPR). However, the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dependently, and the results have shown different trend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mpact of automated vehicles on mixed traffic flow on uninterrupted roads through a meta-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size estimated from an MPR of 75% or high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