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과 IPM 미래 전망: 화분매개자 친화형 병해충 종합관리 (IPPM) 전략

        정철의 한국응용곤충학회 202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0 No.1

        우리나라의 사과 병해충 종합관리는 지난 40여 년간 빠른 진화를 거치며 농작물 중 가장 앞선 시스템으로 발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약 중심의 병해충 방제는 천적이나 화분매개자들을 통한 생태계 서비스를 저해하고 있다. 사과는 전형적인 타가수분 작물로서, 곤충 화분매개는 생산량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현행 사과 IPM체계에 화분매개자 등 유용생물 활동을 조장할 수 있는 방안을 추가하여 화분매개 친화형 병해충 종합관리(Integrated pollinator-pest management, IPPM)을 제안한다. 해충군 관리는 기본적으로 발생 예찰, 관리 의사결정, 관리방안의 동원 등 기존 체계를 따른다. 그리고 농업생태계 내 기능적 새생물 다양성 확대를 위한 경관 조작, 화분매개자의 먹이와 번식을 지원하는 화분매개서식처의 조성 등의 생태공학적 접근, 선택적이며 저독성 농약의 적기 적소 처리 등을 제안하고 그 실천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와 새로운 병해충의 출현 등 변화하는 환경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의 중요한 방향타기 되기를 기대한다. Integrated pest management system in Korean apple has significantly advanced for last few decades. However harmful effects of pesticides threats the ecosystem services of natural enemies and pollinators. Apple require cross-pollination and Insect pollination with diversity and abundance is one of the keys to profitable apple production in quantity and quality as well. Thus crop protection tools are to be administered in harmony to meet the pest suppression and protection of beneficial organisms such as natural enemies and pollinators. Adding onto the established IPM system, integrated pollinator-pest management (IPPM) concept is proposed as the future direction of apple IPM. For this, ecological enginnering of creating habitats for pollinators, landscape management and agroecosytem diversification as well as selective soft pesticide uses on time guided by pest monitoring and phenologyand targeted delivery are further proposed. Recent shift of agroecosystem from climate change and new pest outbreaks require new paradigm of pest management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production.

      • KCI등재

        한국 농업에서 곤충 화분매개 서비스를 통한 식량 생산 증진 기능 평가

        정철의,신종화 한국응용곤충학회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1

        Animal pollination is an important ecosystem service provided mostly by diverse insect groups such as bees and hover flies. Maintain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securing the nutritional balance are closely tied to human wellbeing.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pollination dependent food production in Korean agricultural system. Crop production data were obtained from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data of 2015. By implementing pollination dependency, crop production and market price, contribution of insect pollination to crop production increase were estimated from total 71 crops including 12 cereals, 19 fruits, 18 field vegetables, 13 greenhouse vegetables and 9 specialty crops. Mean pollination dependency of all crops were 29.2% and it was higher on fruits, specialty crops and greenhouse vegetables as well, but low (7.5%) in cereal crops. Pollination dependent (PD) production was estimated as 17.8% of total agricultural crop production with the economic value of 6,850 (6,508-7,193) billion won. Especially, PD production of greenhouse vegetables accounted 49.2% followed by fruits of 42.9%. Even specialty crop also showed higher PD production (35.9%). It was obvious that pollination is the vital service for agricultural production as well as nutritional security in Korea. Further protection and enhancing the pollination service were discussed with integrated pollinator-pest management (IPPM) strategies. 동물 화분매개는 대부분 벌과 파리 등의 곤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매우 중요한 생태계 서비스 중 하나이다. 농업생산성의 유지와 영양분의 안정적 공급은 인류 복지의 근간이 된다. 이 연구는 한국 농업에서 화분매개가 식량 생산 증진에 미치는 기능을 평가하였다. 2015년 농업총조사, 농촌진흥청 농업 소득자료집, 기타 시장가격 자료 등의 농작물 재배와 생산액에 대한 자료에 화분매개 의존도를 반영하였다. 12개의 식량작물, 19개 과수, 18개 노지 채소와 13개 시설 채소 그리고 9개의 특용작물 등 71개 작물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전체 작물의 화분매개 의존도는 평균 29.2%이었으며, 식량작물이 가장 낮은 7.5%로 나타났다. 화분매개 의존량은 전체 농작물의 17.8%이었으며 그 경제적 가치는 6조 8.5천억원 (65.1-71.9천억원)으로 추정되었다. 화분매개 의존 생산량은 시설 과채류에서 49.2%로 가장 높았고 과수가 42%, 특용작물이 35.9%를 차지하 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곤충 화분매개는 한국 농업 생산에서 핵심적 과정이며 식량-영양안보적 관점에서 보호증진해야 하는 과정임이 분명해졌다. 농업에서 화분매개자를 보호하고 화분매개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관리 전략으로 병해충-화분매개 통합관리(IPPM)개념과 추진 전략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 벌류를 이용한 기후변화 지표종 선발

        정철의,금은선,정성민,Sunil Arya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중요한 환경 교란 요소이다. 생물군집으로 대표되는 생태계의 기본 구조는 구성 생물의 기후를 포함하는 다양한 환경에 대한 적응의 결과로 나타난다. 최근 1세기에 걸친 기후변화의 패턴은 생물종의 분포 지역과 밀도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으나, 특정 생물은 그 변화를 가시적으로 보여주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생물들은 그 변화의 외적 표출은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지표생물의 발굴은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의 변화와 적응, 그 영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농생태계 내 서식하는 벌류 곤충 중 기후변화를 지표할 수 있는 생물종을 선발하고자 선발 기준의 개발 및 발생 모니터링을 통해 지표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 KCI등재

        겨울 세대 일벌의 생산 시기와 환경 분석: 월동폐사 문제 고찰

        정철의,배윤환 한국양봉학회 2022 韓國養蜂學會誌 Vol.37 No.3

        Winter is the most risky period for honey bee colonies especially in temperate climate region with severely harsh cold temperature. Compared to summer generation, winter generation honey bees live longer ap. 5 months and regulate the colony temperature in the range of 7 and 25°C with expense of food store during summer. The paper reviewed some experimental works on the timing of winter bee producti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nter bees relative to summer bee, size and quality of winter bee social structure for the successful overwintering. Also,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ectoparasitic mites, Varroa destructor and Tropilaelaps mercedesae was further discussed. Some future research questions relative to the severe weather phenomena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Some Evidences of Aerial Dispersal of Twospotted Spider Mites from an Apple Orchard into a Soybean Field

        정철의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Vol.8 No.3

        Dispersal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po-pulation dynamics of a species as well as its distri-bution and persistence. Here, partial evidence of aerial dispersal of twospoted spider mite from an apple or-chard to a contagious soybean field was described.Also, a mechanistic dispersal model was simulatedusing meteorological data and falling sped of twos-related with the observed distribution of twospotted spider mites within a soybean field. Further implication of the aerial dispersal and its modeling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