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독점의 부작용에 관한 역사적 사례 고찰 : 4·19혁명 전후 정보경찰을 중심으로

        정주진 한국국가정보학회 2022 국가정보연구 Vol.15 No.1

        During the end of Syngman Rhee's tenure, South Korea's national intelligence environment changed. As a major example, North Korea established a new clandestine operation system. As a response to that, South Korea strengthened the National Security Act. Intelligence cooperation channel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as also established. With these environmental changes, KCIC's function was diminished because of the assassination of KCIC commander who was a long-time helper for the president. As a result, the status of the intelligence police was relatively strengthened. Taking advantage of such changes in the intelligence environment, the intelligence police were deeply involved in the extension of the Syngman Rhee government. They attempted to assassinate the vice president, planned and executed fraudulent elections, fired at protesters. As a result, president Syngman Rhee resigned and the National Security Act was also reduced and revised again. North Korea tried to expand pro-North Korean forces. The new prime minister undertook a sweeping purge of the intelligence police. According to these policies, the public order was disturbed. This phenomenon occurred because the national intelligence system necessary to maintain social order collapsed. Accordingly, the Prime Minister promoted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Security Act and the creation of a new intelligence agency to restore social order. However, all these policies failed. There was no system that was able to comprehensively judge various intelligence at the national level. This defect in the national intelligence system served as an important factor of the military coup. Like this, intelligence monopoly causes the distortion of the democratic political order. 이승만 정부 말기에 이르러 북한의 김일성이 새로운 대남공작체계를 구축하고 그에 대응하여 국내보안정보활동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국가보안법이 개정되는가하면 한미간 정보협력채널이 구축되는 등 국가정보환경이 변화했다. 또한, 이승만정부 중기까지 정보경찰과 함께 국내정보의 양대축을 이루고 있던 특무대의 김창룡 대장이 암살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김창룡 독점지배체제로 운영되어온 특무대의 수장이 암살되자 상대적으로 정보경찰의 입지가 강화됐다. 그러한 정보환경변화에 편승하여 정보경찰은 장면부통령 암살을 시도하는가하면, 정부통령 부정선거를 기획하여 집행하고 이에 항의하는 시위대에 발포하는 등 정치문제에 개입했다. 그에따라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고 국가보안법이 축소개정됐다. 북한은 이러한 정세변화에 편승하여 위장평화공세를 벌이며 남한내부에 친북정치세력의 육성을 추진했다. 그리고 내각제개헌을 통해 집권한 장면정부는 이승만 정부 말기 정치에 개입한 정보경찰에 대한 대대적 숙청을 단행했다. 그 결과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정보수집활동이 위축되어 공공질서가 문란해졌다. 장면정부는 사회질서를 회복하기위해 국내정보수집활동을 강화하기위한 정보기구를 신설하고, 반공법 제정 및 국가보안법 재개정 등 법제 정비를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그리고 군,경찰,검찰에서 수집한 첩보를 국가차원에서 분석판단하는 정보체계를 구축하지 못했다. 이러한 국가정보체계의 마비는 군사정변을 촉발한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처럼 정보의 독점은 민주적 정치질서를 왜곡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한다.

      • KCI등재

        소련 군정기 북한정보 체계 형성 과정

        정주진 한국국가정보학회 2018 국가정보연구 Vol.11 No.2

        Various kinds of Soviet intelligence agency have entered North Korea during Soviet military administration. MGB, Voennaya Komendatura, Counter-intelligence operational groups are representative organizations. The MGB North Korean branch was an organization that controlled the Soviet military and the communist party in Korea. Voennaya Komendatura was an organ that inhibited anti-soviet and anti-communism activities and that secured security. The Soviet Counter-intelligence Corps searched for spies who infiltrated the military and political officers in military were in charge of political maneuvering and psychological warfare. Their mission was to expand the influence of the communists and to disrupt the unity of the free force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is clandestine operation, the Soviet army recruited the guerilla units of Kim Il Sung who were trained as intelligence gathering agents. And the Soviet Union chose Kim Il Sung as the leader of North Korea. During this process, the Soviet Korean was recruited and the communication route with the South Korean Communist Party was made. In addition, the Soviet intelligence agency developed a task force for the division of the nation. Soviet intelligence agency developed as follows; fragmentation and confrontation between Syngman Rhee and Kimgu, abandonment of the General Elections, Soviet support intelligence activities of US-resident communists, etc. The following points were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e Soviet Union used the Kim Il Sung group to build a North Korean intelligence system. And various types of Soviet intelligence agencies advanced into North Korea and established Soviet intelligence systems. Also, the Soviet Union was gathering high-level intelligence about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spies that infiltrated British intelligence agencies. 소군정 시기 소련의 국가보안부, 경무사령부, 방첩대 및 정치군인조직이 유입됐다. 해방직후 평양에 설치된 국가보안부는 소련군 및 남북 공산당을 통제하는 정보기관이었다. 경무사령부는 반소ㆍ반공 활동을 억제하고 치안을 확보하는 기관이었다. 소련군 방첩대와 정치조직은 군에 침투하는 스파이를 색출하고 심리전을 전개했다. 한반도에 진출한 소련 정보기관의 역할은 공산세력 규합과 민족진영 분열이었다. 이러한 비밀공작을 위해 제88특별정찰여단 출신들을 정보요원으로 활용하고 김일성을 북한 공산당 지도자로 선정했다. 이 과정에서 정보활동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자 소련 정보기관 소속 한인들을 투입하고, 남한 좌파들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대남 연락루트를 개척했다. 공산세력 규합과 함께 민족진영 분열과 그에 필요한 첩보수집 공작이 전개됐다. 이승만과 김구간 갈등조장 및 총선방해공작, 재미 공산주의자들의 친소활동, 남파 공작원 양성학교 설립운영, 영국 정보기관 침투 KGB 요원들의 암약 등이 대표적이다. 이 연구는 소련이 제 88 특별정찰여단 출신들을 북한에 투입하여 첩보수집에 활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미국이 전쟁종료 직후 광복군과 미 전략정보국 합동 공작팀을 해체한 것과는 대조적인 조치였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소련 정보기구가 북한에 유입되어 소련식 정보체계를 수립하는 과정도 파악할 수 있었다. 그 외, 영국정보기관에 침투한 KGB 요원들을 통해 미국의 대한반도 비밀정책이 고스란히 소련에 유출되는 경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미 정보협력의 이완과 6․25전쟁 예측 실패

        정주진 한국국가정보학회 2020 국가정보연구 Vol.13 No.1

        The United States failed to predict the Korean War. Most of the failure studies in the past have been focused on the misjudgment of US policy makers. In contras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laxation of Korea-US intelligence cooperation. Assuming that the relaxation of the ROK-US intelligence partnership in the early Cold War failed to forecast war,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reason for failure. Based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eory, observing the process of Korean-US cooperation, refraction and relaxation. US OSS promoted various operations during the Pacific War. The main reason was that Koreans and Japanese were similar in appearance. However, due to the early surrender of Japan, not all were implemented. After the war,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ried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s, but was cut off by the United States. Instead, the US CIC emerged as the core of ROK-US relation during the occupation of Korea. The Korea-US-Japan intelligence cooperation system was formed based on the US CIC. However, as the Kore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and the USFK withdrew, an abnormality ocurred. MacThur refused to lead the KMAG. Accordingly, the US Ambassador to the ROK was in charge of KMAG. An unfavorable situation in which civilians command military organizations has emerged. Instead, MacArthur installed KLO as its own intelligence gathering organization. And the CIA worked independently of MacArthur Command. As a result, the ROK-US intelligence partnership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US Embassy Seoul, KLO, CIA Far East Branch. This split made it difficult for Washington to judge Korea's intelligence. These cracks have been a major factor in the failure of the Korean War. 미국은 6․25전쟁을 예측하는데 실패했다. 그동안의 정보실패 연구는 대부분 미 정책결정권자들의 오류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이와 달리 이 글에서는 한미 정보협력의 이완에 주목한다. 냉전초기 한미 정보협력관계가 약화됨으로써 전쟁을 촉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보고 이를 규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역사적 제도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미협력이 생성되고 굴절․이완되는 과정을 보면 태평양전쟁 시기 미 OSS는 일본인과 외모가 유사한 한국인의 정보공작적 가치를 매우 높게 평가하며 다양한 합동공작을 전개했다. 그러나 일본의 조기항복 등으로 모두 불발됐다. 한국임시정부는 이때 형성된 한미협력관계를 전쟁이 끝난 후에도 지속시키려고 노력했으나 미국측의 비협조로 단절됐다. 대신 남한에 진주한 미 방첩대가 한미협력의 주역으로 등장했다. 동경 맥아더사령부의 지휘를 받는 미 방첩대를 고리로 한미일 정보협력체계가 구축된 것이다. 하지만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미 방첩대가 철수하면서 한미협력관계에 이상이 생겼다. 대한민국 최초 국가정보기구였던 대한관찰부가 5개월여 존속하다 해체됨으로써 한국측 파트너가 없어졌다. 한국군 훈련․편성권을 가진 주한미군사고문단에 대한 지휘를 맥아더가 거부함으로써 문관인 주한 미대사의 관할로 편입됐다. 대신 맥아더 사령부는 한국에 주한연락사무소를 설치해서 독자적으로 정보를 수집했다. 그 결과 한국에서 미국으로 연결되는 정보보고 라인이 주한 미대사관, 주한연락사무소, CIA 극동지부로 분열됐다. 이와 같은 보고체계의 분산은 정보수집의 책임을 모호하게 만들고, 워싱턴에서의 한국정보 판단을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보고라인 균열이 6․25전쟁을 예측하는데 실패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 KCI등재

        정부수립 전후 국가정보체계 형성 과정

        정주진 한국국가정보학회 2019 국가정보연구 Vol.12 No.2

        US Army Counter Intelligence Corps led the South Korean intelligence during the occupation of Korea. This agency had a mix of investigation and intelligence functions. At that time, Anti-Soviet and Anticommunist groups also had its own secret organization. Wh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s established, Syngman Rhee agreed to make the Korean Research Bureau newly, as the heir of US CIC. Accordingly, the 971st CIC procured, trained, assigned personnel for K.R.B.. The deployment was completed in early October 1948. At the same time, Korean CIC were also organized in preparation for the withdrawal of the US military. The position of the intelligence police in the intelligence community has been weakened due to the shrinking of organizations. Syngman Rhee made a lot of efforts to obtain parliamentary approval for K.R.B.. However, it failed to obtain parliamentary approval. For that reason, there was also the clandestine activities of North Korea. As a result, K.R.B. has been suspended since March 1949. Subsequently, the plan to create another national intelligence agency under prime minister failed against the National Assembly. The US CIC withdrew from Korea in May 1949. In the process of the withdrawal, the US CIC function was briefly transferred to K.R.B. and returned to the Korean CIC. Early in government establishment, failure to create a national intelligence organization composed of civilians, with the frequent treason and subversive activities, strengthened the influence of the ROKA G-2. Until the day of the Korean War, ROKA G-2 was the de facto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this reas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onal intelligence of government launch time such as combination of intelligence and investigation, relative comparative advantage of military intelligence, and political intelligence collection were formed. 미군정기 정보활동은 미 방첩대가 주도했다. 미 방첩대는 방첩수사이외 정치정보까지 수집했다. 수사와 정보가 융합된 구조였다. 미군정기 반소·반공단체와 정치지도자들도 사설정보조직을 만들어 독자적 정보활동을 전개했다. 정수수립 시기 이승만과 미 정보기관은 민간기구인 대한관찰부를 만들어 미 방첩대 업무를 인계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미군측에서 대한관찰부 직원을 선발해서 교육한 후 1948년 10월초 미 방첩대에 배치했다. 미 정보기관은 철수에 대비해서 한국군내에 방첩대도 신설했다. 한국군 방첩대는 육군본부 정보국 산하조직으로 설치됐다. 경찰이 독립부처가 아닌 내무부 산하 국으로 축소되면서 정보경찰의 위상은 약화됐다. 이승만은 국회의 대한관찰부 승인을 끌어내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실패했다. 거기에는 북한의 대남공작도 개입되어 있었다. 그 결과 대한관찰부는 1949년 3월 이후 활동을 중단했다. 대한관찰부 해체 후 국무총리 직속으로 사정국을 만들려는 계획도 국회반대로 무산됐다. 미 방첩대는 1949년 5월 한국에서 완전 철수했다. 철수 과정에서 미 방첩대의 기능은 일시적으로 대한관찰부로 넘어갔다가 최종적으로 한국군 방첩대로 이관됐다. 정수수립 초기 민간인으로 구성된 국가정보기구 설립에 실패한데다 군내 반란사건이 연이어 일어남에 따라, 비상계엄이 수시 발동되면서 육본 정보국의 위상이 강화됐다. 6.25전쟁이 일어날 때까지 육본 정보국은 실질적인 국가정보기구였다. 그에 따라 정보와 수사의 융합, 군사정보의 상대적 우위, 정치정보수집이라는 정부수립 시기 한국적 국가정보기구의 특성이 형성됐다.

      • KCI등재

        한반도 평화를 위한 평화구축과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의 유효성

        정주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2 통일과 평화 Vol.14 No.2

        평화구축(peacebuidling)은 적극적 평화의 실현을 위해 사회와 공동체 차원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접근과 노력을 통칭한다. 평화구축은 무력 갈등을 겪었거나 무력 갈등에 취약한 사회뿐만 아니라 민주주의가 정착한 사회에도 적용된다. 그 당위성은 민주주의 사회에도 다양한 폭력이 존재하고 적극적 평화의 실현이 필요한 데서 기인한다. 남북한 대결의 종식과 한반도 평화의 실현이 필요한 한국 사회에도 평화구축은 적용될 수 있다. 평화구축은 사회 구성원들의 참여와 역량 형성, 그를 위한 상향식 접근을 필요로 한다. 평화 실현을 위한 사회와 공동체의 변화는 구성원들의 필요에 기반해야 하고 구성원들스스로 그 필요를 확인하고 원하는 변화를 제안 및 합의할 수 있어야 한다. 한반도 평화를 위한 평화구축 또한 참여, 역량 형성, 상향식 접근 등을 필요로 한다. 일반 국민의 참여, 논의, 합의를 통한 통일국민협약 도출을 위해 실행된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는 국민의견 수렴과 합의를 위한 사회적 기제이자 방식으로서의 정당성과 유효성, 그리고 평화구축 접근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코리아게이트의 국가정보론적 해석

        정주진 한국국가정보학회 2023 국가정보연구 Vol.16 No.1

        한국 중앙정보부는 1970년대 대미 영향력사업을 추진했다. 미국의 대한여론을 한국에 우호적으로 바꾸려는 사업이었다. 하지만 미국 언론이 이를 미국 지도층 매수사건으로 규정하고 ‘코리아게이트’라고 이름 붙여 문제화했다. 이 사건으로 한미관계는 극도로 악화됐다. 이 사건은 그동안 미국측 자료를 바탕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에 대한 성찰로 이 글에서는 비밀정보기관으로서의 한국의 중앙정보부 관점에서 이 사건을 조망해본다. 당시 박정희 정부는 주한미군 감축을 저지하고 한국에 대한 군사원조를 확대하기 위해 미 의회 의원들을 중심으로 대미 로비를 시도했다. 미국정부가 공화당 중심의 행정부와 민주당 중심의 의회로 이원화되자 국익을 도모하려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그러나 사업이 노출되면서 박동선의 중앙정보부 에이전트논란, 미국 망명자들이 제보한 중앙정보부 공작계획의 집행여부 등 많은 논란이 일어났다. 미 FBI와 미 의회는 2년여에 걸쳐 이 사건을 조사하며 중앙정보부 로비사업의 실체를 규명하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박동선이 중앙정보부 에이전트라는 사실 등을 입증하는 데 실패했다. 이 연구를 통해 1970년대 중앙정보부의 대미 영향력 사업은 그 당시 안보상황을 고려한 시의적절한 사업이었으나 냉전시기 자유진영 최전방 기지로서의한국의 전략적 가치를 간과한 진보성향 프레이저 의원 중심 미국 일부 지식인들의 편협한 한국비판, 중앙정보부의 협조자들에 대한 보안관리 부족과 지휘라인의 혼선 등으로 사업이 언론에 노출되고 사건을 수습하는 과정에서도 미숙하게 대응하여 한미관계가 악화됐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Development of a Rapid Detection Method for Potato virus X by Reverse Transcriptio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정주진,조상윤,이왕휴,이귀재,주호종 한국식물병리학회 2015 Plant Pathology Journal Vol.31 No.3

        The primary step for efficient control of viral diseases is the development of simple, rapid, and sensitive virus detection. Reverse transcriptio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T-LAMP) has been used to detect viral RNA molecules because of its simplicity and high sensitivity for a number of viruses. RT-LAMP for the detection of Potato virus X (PVX) was developed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o demonstrate its advantages over RT-PCR. RT-LAMP reactions were conducted with or without a set of loop primers since one out of six primers showed PVX specificity. Based on real-time monitoring, RT-LAMP detected PVX around 30 min, compared to 120 min for RT-PCR. By adding a fluorescent reagent during the reaction, the extra step of visualization by gel electrophoresis was not necessary. RT-LAMP was conducted using simple inexpensive instruments and a regular incubator to evaluate whether RNA could be amplified at a constant temperature instead of using an expensive thermal cycler. This study shows the potential of RT-LAMP for the diagnosis of viral diseases and PVX epidemiology because of its simplicity and rapidness compared to RT-PC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