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 Case of Cat Scratch Disease Confirmed by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Bartonella henselae DNA
정주영,구자욱,김상유,유영삼,한태희,임성직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7
We report a case of cat scratch disease (CSD) caused by Bartonella henselae in a 14-year-old boy who developed lymphadenopathy in the right cervical area, after a raising canine pet for 10 months. The cervical lymphadenopathy persisted for 14 days. Immunofluorescent antibody testing for B. henselae with the patient's serum was 1:64 posi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alysis using the patient's lymph node aspirates for B. henselae DNA was also positive. This is the first case of cat scratch disease confirmed by PCR for B. henselae DNA in children. Bartonella henselae DNA에 대한 PCR 검사로 확진된Cat Scratch Disease 1례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소아과,이비인후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과 정주영·구자욱·김상유·유영삼*·한태희†·임성직 CSD는 고양이에 긁히거나 물린 다음에 발생하는 자가제한적 국소 림프선염을 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 CSD는 소아와 성인에서 비교적 흔한 인수 공통질환이며, 특히 소아 연령의 림프선염과 원인 불명열의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CSD는 고양이 벼룩에 존재하는 배설물에 있는 B. henselae가 고양이의 발톱이나 이빨에 물리면서 인체에 접종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감염 경로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B. henselae는 고양이 벼룩 뿐 아니라 개벼룩, 쥐이 및 진드기 등의 다양한 매개 곤충에 존재하여 다양한 가축과 야생동물을 감염시킨다. 최근에는 고양이 벼룩에 교차 감염되는 애완용 개가 중요한 중간 숙주로 대두되었다. CSD는 애완용 개나 고양이와 접촉하거나 긁힌 기왕력과 전형적인 임상증상, 조직 소견, 혈청학적 검사에 의해 주로 진단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PCR을 이용하여 최종 진단을 하게된다. 저자들은 10개월간 애완용 개를 키웠던 14세 남아에서 진단된 CSD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국내 소아에서 PCR로 진단된 최초의 CSD 증례인 점에 의의가 있다. 환아의 발열과 경부 림프선염은 10일 정도 지속되었으나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고 회복되었다. 환자의 혈청에 대해 시행한 B. henselae 간접면역 형광법 검사는 1 : 64 양성이었으며 경부 림프선 흡인물을 대상으로 시행한 PCR 검사에서 B. henselae DNA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여성 수형자의 어머니됨의 경험 - 교도소내의 양육 유아자를 중심으로 -
정주영 아시아교정포럼 2016 교정담론 Vol.10 No.3
본 연구는 교도소 안에서 아기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여성의 어머니됨의 경험에 대해 세 명의 연구대상자를 중심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C 여자교도소 내 양육 유아자 총 6명 중 3명에 대하여 2016년 9월부터 11월까지 일대일 개별면담으로 개인별 각 60분씩 2회기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이들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면담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더 풍부하게 하기 위해 연구자의 저널과 교도관과의 인터뷰, 연구 대상자의 그림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알게 된 것은 다음과 같다. 양육 유아자들은 교도소 내에서 아기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아기를 통해 사랑을 경험하며 이는 더 나아가 이들로 하여금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을 갖게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아기가 자라기엔 열악한 환경인 교도소에서 아기에게 다양한 놀이감이나 자극을 줄 수 없음을 가슴아파하며, 아기가 자신과 같이 처벌을 받고 있다는 마음이 심리적 이중처벌을 받고 있다고 여겼다. 하지만, 이 모든 과정이 자신으로 하여금 진정 어머니가 됨을 느끼게 만든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교도소 내에서는 사회에서보다 아기에 대한 마음가짐이 더 절절해지며, 삶의 의지를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삶의 사각지대라 할 수 있는 교도소 내에서 아기를 키우는 여성수형자들의 경험을 통해 양육 유아자들의 현실을 파악하고 나아가 향후 여성수형자들에 대한 교정처우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is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3 female prisoners who gave birth to a baby and are raising a child in a female prison in Korea. The 3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all 6 child-rearing prisoners in the female prison and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for each inmate so as to collect the details of their child-rearing experience through their story-telling processes. The researcher’s journal, an interview with a correctional officer in the female prison, and a picture drawn by a female prisoner were included in order to enrich the content of data. Findings are as follows: (1) Child-rearing female prisoners got to experience love in the child-raising process and extend this feeling of love for caring for others. (2) They felt dismayed by the adverse prison situation where appropriate child care such as diverse playing tools or toys and optimal learning stimulus for the child are not plausible — feeling “double punishment” due to the feeling of passing their own penalty to the child in the prison as well as the lack of care for the other child outside the prison. (3) Child-raising prisoners, however, felt and realized that the whole process and experience of staying with their child together inside the prison facility made them a real and true mother who could develop deep feelings of attachment to the child inside and outside of the prison and therefore a strong will to survive under any life circumstances. They realized that a true caring mother is always being together with sincere heart and listening to children with sincere heart. (4) Child-raising female prisoners felt the feelings of thanking and understanding others resulted from the situation only in the plight of limitation of everything for child-care that could have been possible if they had raised the child outside the prison. This study reveals what the experience of being a mother in the prison while raising a child is like and further suggests policy directions for the rehabilitation and education of female prisoners in general so that they could successfully be reintegrated into the society after release.
정주영,박정구,최일배,오제범,김수겸,김경연 한국냄새환경학회 2010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9 No.1
폐플라스틱의 물질재활용 방법 중 하나인 열분해 용융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흄은 인체에 해로울 수 있고, 또한 사업장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어 악취 민원을 유발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일부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장을 대상으로 용융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의 배출특성을 조사하여 적절한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용융과정 중 발생된 악취농도는 조사대상 사업장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용융온도와 원료의 이물질 오염상태에 기인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용융온도가 320°C로 유지될 경우 복합악취농도가 100,000배를 초과하는 사업장도 확인되었다. 한편, 용융온도를 감소시키면 배출되는 악취농도도 비례하여 급감하는 것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일부 사업장에서 채취한 배출가스를 정성⋅정량 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황화합물, 알데하이드, VOCs 등의 지정악취물질이 고농도로 측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페놀 및 시클로헥산과 같은 냄새 유발물질이 다수 검출되었다. 다양한 악취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점액성 타르물질은 기존 악취방지시설의 운영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설의 적정 방지시설은 직접연소산화장치가 가장 효과적이고, 또한 악취물질과 타르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용융설비의 열원으로 활용하면 경제적 운영이 가능하다. Odorous compounds emitted from the melting process for material recycling of plastic have an effect on the sensory annoyance to the nearby resid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alodor in the domestic plastic recycling plants. The olfactometric results showed that the odor concentration among the surveyed pla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lting temperature and material sources. The higher melting temperature led to the higher odor concentration. In particular, as for a plant where melting temperature was 320°C, the odor concentration exceeded 100,000 dilution ratio. However, as the temperature was reduced, the odor emission decreased gradual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reduction of the melting temperature is effective measure to decrease the emission of odor compound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odorous compounds showed that regulatory odor substances such as sulfur compounds, aldehydes and VOCs were found with high concentration in the exhausted gases. Liquid tar in the exhausted gases makes it difficult to remove odorous compounds with traditional odor control devices. In order to eliminate both odorous compounds and liquid tar effectively, a combustion method is strongly recommended in these plants.
정주영,안영식,홍광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육방법 등과 관련하여 교육부 혹은 시도단위 교육청에서 지정, 운영하고 있는 연구학교에 대해 이를 운영해 본 현장교사들의 견해를 탐색해 보는데 있다.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해 연구학교 수행경험이 있는 교사 9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학교 경험이 있는 또 다른 교사 5인을 대상으로 성찰일지를 작성케 하여 그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나타난 연구학교 운영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먼저, 연구학교 운영의 문제점은 첫째, 계획서 작성에 대한 부담감, 둘째, 연구 수행을 위한 환경의 문제, 셋째, 연구자의 연구 역량 부족, 넷째, 연구학교 평가의 부적절성, 다섯째, 연구시간의 부족, 여섯째, 연구학교에 대한 지나친 간섭, 일곱째, 연구학교 지원을 위한 정보 창구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첫째, 연구학교 계획서의 간소화, 둘째, 연구학교 선정 및 평가 기관의 독립성과 전문성 확보, 셋째, 연구학교 주제 선정의 주체가 단위학교가 되도록 함, 넷째, 연구학교 정보의 축적과 공유를 위한 학회 구성, 다섯째, 연구학교 운영을 위한 자율권 보장, 여섯째, 연구자의 연구역량 지원 등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의 현장감 있는 요구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이를 통해 연구학교 운영을 위한 정책 수립의 자료로 참고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서울지역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정주영,이인수,박균열,이수진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서울지역 중・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 간 종단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능력 변인의 경우, 1차년도에서 6차년도에 이르는 시간경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성숙도 변인 역시 1차년도에서 6차년도에 이르는 시간경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 흐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관계를 보인 반면, 진로성숙도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강화 프로그램 정착, 입시제도가 아닌 진로발달단계를 고려한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 중・고등학교에의 진로진학상담교사 추가 배치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maturity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is study used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data.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results was followed. firs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value wa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 time course from middle school 1st grade to high school 3rd grade. Second, career maturity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 time course from middle school 1st grade to high school 3rd grade. Third, previou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ater career maturity, but the previous career matur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at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정주영 한국통합교육학회 2015 통합교육연구 Vol.10 No.2
This review was conducted to discuss new directions in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inclusive education. In order to put together many research papers about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the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many papers on inclusive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articles on the special education were reviewed. This paper reviewed and discussed that the relations betwee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 few considerations on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the constructive suggestions on procedure of curriculum development, the need of conceptual agreement on inclusive education between stakeholders. The educational needs of all the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and without special needs were fulfilled by a considerable change of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Many of variables on inclusive education have been incorporated in this change. This paper suggested that the full and complete realization of inclusive education could put into action when inclusive education were fully provided through the universal and comprehensive curriculum after due consideration on the individual difference among the various students 이 연구는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우리나라의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해 논의하고, 논의 결과에 따라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첫째, 일반교육 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어떠한 위상과 관계를 정립해야 하는가?, 둘째, 실제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다양한 특수교육의 교육적 여건에 따라 어떠한 차별성이 고려되어야 하는가?, 셋째, 교육과정의 만족도를 높이고 적용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개발 절차는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 것인가?, 넷째,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개념적 합의를 통해 실질적인 교육과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어떻게 통합교육을 이해해야 할 것인가? 결국, 통합교육을 위한 변화는 장애 학생뿐만 아닌 모든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한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장애 학생들이 충분한 교육적 경험에 참여하기는 어려우며, 전체 교육의 차원에서 모든 학생을 고려한 교육과정과 생활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때 진정한 통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hot carrier effect를 줄인 contact구조 최적화
鄭周榮 水原大學校 1997 論文集 Vol.15 No.-
We have analyzed contact structure dependent hot carrier effect in quarter micron nMOSFETs. We measured the DC stressed current degradation characteristics, substrate current characteristics, and hot carrier induced photon emission characteristics for various contact structured MOSFETs with W/L=20/0.25 micron. From the above experiments, we consistently observed that the degradation increases rapidly as the number of contact cuts increases while current driving capability improves only moderately. We have analyzed the reason of this trade-off relation through MEDICI device s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