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근대초극’에서 ‘순수문학’으로 : 조연현 문학의 형성과 전개

        정종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0 한국문학연구 Vol.0 No.63

        이 글은 탄생 100주년을 맞은 비평가 조연현의 문학적 공과를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연현이 신체제기에 펼친 ‘비합리주의’의 비평은 그의 문학의 원형질을 형성했다. 식민지기에 형성된 그의 문학론은 해방 이후 비평론과 문학사 서술, 『현대문학』의 이념에 지속되면서 변용되었다. 이성과 합리를 맹신한 근대에 대한 비판은 서구 지성계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사상사적 흐름이다. 조연현의 비합리주의는 현실에서 일본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와 결부되거나, 해방 이후 순수문학을 특권화하며 부정적 유산으로 전락했다. 그렇지만, 그가 제기한 비합리주의의 문학은 한국 근대문학사상사의 중요한 한 과제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에 대한 비판은 이 중요한 과제를 끝까지 추구하지 못하고 자신의 정치적 행로를 정당화한 데 두어져야 할 것이다. 조연현의 삶과 문학은 한국문학에 여러 부정적 폐해를 남긴 것이 사실이지만, 사상사적 과제와 비평의 존재 방식, 그리고 문학 제도의 차원에서 여전히 탐구되어야 할 질문을 던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illuminate the literary achievement in Jo Yeon-hyeon (趙演鉉) as a critic with facing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birth. The criticism of ‘irrationalism’ that Jo Yeon-hyeon did spread in the new system era formed the archetype in his literature. His archetypal literature theory, which was developed in the colonial period, was transformed with being continued the theory of criticism and the narrative of literary history, the ideology of 『modern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The criticism of modern times that had a blind faith in rationality and reasonableness is an important thought-history flow, which can be found even in the Western intellectual system. Jo Yeon-hyeon's irrationalism is connected with the Japanese imperialist ideology in reality, but was demoted to negative legacy with privileging pure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However, it is a fact that the literature of irrationalism that he raised had been a critical task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Thought. Criticism on him will need to be put in justifying his political journey with failing to pursue this significant task to the end. It is a fact that Jo Yeon-hyeon's life and literature left many negative harmful effects in Korean literature, but are throwing a question, which will need to be still explored in the dimension of a thought-history task, of an existing method in criticism, and of a literature system.

      • KCI등재

        유관순 표상의 창출과 전승 : 해방 이후 제작된 유관순 영화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정종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9 한국문학연구 Vol.0 No.36

        Gwan-sun Yu was a woman titled Korean national hero as icon of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on Mar. 1, 1919) and as representative of sufferings and resistances in colonial era. Historically, the emblem of Gwan-sun Yu which symbolizes national sacrifice and resistance was formed primarily by Korean nationalist group, independent government faction and Ewha School alumni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A heroic life story on Gwan-sun Yu (authored by Yeong-taek Jeon, 1948; against a background of Gwan-sun Yu Memorial Foundation and Korea Bibliography Publishing Committee) and a film titled ‘Gwan-sun Yu’(directed by Bong-chun Yun, 1948) based on her life story become original texts for framework and popularization of Gwan-sun Yu's emblem that has been handed down to this generation of Korean society. In the Year 1948 texts of Jeon and Yun, the sacrifice of a bold Korean girl student from a mission school called Ewha School became construed in a sense of nationalist and Christian martyrdom, and took a position of ethical authority for national legitimacy. This way, her political symbolism complied with cultural state planning where ruling elites who dominated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regime for South Korea aimed to give Korean national essence to southern state. Yun's 2nd film release titled ‘Gwan-sun Yu’(released in 1959) formed a narrative on Gwan-sun Yu in association with historical memory on areas below the 38th Parallel(including Gyeongju). Here, a political mechanism of location works to identify ‘South Korean’ nation as homogeneous persons. Gwan-sun Yu's emblem after the April Revolution(Apr. 19, 1960) becomes a critical case that demonstrates conflicts and rivalry between stat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Yun's 3rd film release titled ‘Gwan-sun Yu’(1966) suggests an evolution of previous Gwan-sun Yu's emblem, which is a combination of civil self-images(pursuing universal values like freedom and philanthropy after the April Revolution) and enhanced nationalism(after the Korea-Japan Ministerial Meeting). Even in this period, Korean government was still committed to spotlighting Gwan-sun Yu as heroic figure to make propaganda for Korean nationalism and government-led racialism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ld War. In particular, Director Gi-deok Kim's ‘Gwan-sun Yu’(1974), a film produced under the rule of Revitalizing Reforms (Yusin) system and Emergency Measures, forms an emblem of Gwan-sun Yu which projects Yusin ideology in a combination of nationalism and patriarchal authority. In this film, Gwan-sun Yu is presented as a role model that internalizes the rules of ‘the Hwarang School’ established to educate contemporary teenagers in the ideology of Yusin, rather than as a heroine who resisted national injustice. 유관순은 1919년 3.1의 아이콘이자 식민지의 수난과 저항을 대표하는 여성 영웅이다. 민족의 희생과 저항의 상징인 유관순 표상은 해방 이후 민족주의 계열, 단독정부 수립파, 이화학원 동문들의 주도로 구성된 것이다. 유관순 기념사업회와 전기간행위원회를 배경으로 하는 1948년의 전영택의 전기,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윤봉춘의 영화 「유관순」(1948)은 이후 한국 사회에서 전승되는 유관순 표상의 골격을 결정하고 대중화한 기원의 텍스트들이다. 전영택과 윤봉춘의 1948년 텍스트를 통해 기독교 미션 이화학당 출신 소녀의 희생은 민족주의적, 기독교적 순교로 의미화되었으며, 민족적 정통성의 도덕적 권위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유관순의 정치적 상징성은 남한 단독정권 수립을 주도한 통치엘리트들이 남한 국가에 민족적 정수를 부여하고자 한 문화적 국가 기획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1959년 개봉된 윤봉춘의 두 번째 「유관순」 영화에서는 경주 등 38선 이남의 역사적 장소와 결부된 유관순 내러티브를 구성함으로써 ‘남한’ 민족을 균질화된 동일자로 구성하는 장소의 정치학이 작동하고 있다. 4ㆍ19 이후의 유관순 표상은 국가(정부)와 시민사회가 갈등하고 길항하는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1966년 윤봉춘의 세 번째 「유관순」의 시나리오에는 4ㆍ19 이후 자유, 박애 등의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시민적 자아상과 한일회담 이후 고양된 내셔널리즘의 열망이 결합된 유관순 표상이 제시되고 있다. 이 시기에도 국가(정부)는 여전히 유관순을 국가주의와 냉전 하의 관주도 민족주의를 선전하는 영웅상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유신헌법과 긴급조치 하에서 제작된 1974년 김기덕 감독 제작의 「유관순」에는 국가주의와 가부장의 권위가 결합된 유신 이데올로기가 투사된 유관순 표상이 구성되고 있다. 이 영화의 유관순은 불의에 저항한 영웅이라기 보다는 당대 청소년에게 유신 이념을 교육시키기 위해 설립했던 ‘화랑교육대’의 규율을 내면화한 역할 모델로 제시되고 있다.

      • KCI우수등재

        북천지역 자연학습 체험단지 초성을 위한 기본 계획(I) -하상분석, 대기질 및 생태분석-

        정종현,최석규,조세환 한국환경보건학회 2002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28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ucture of geographical conditions, the riverbed, the meterological and atmospheric examinati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e food chain and the ecosystem, in order to establish a basic plan for preparing a natural learning area of environmental ecosystem in Bukchun and its surroundings, Gyeongju.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Bukchun is a first grade which extends 6km along the road from Bomun bridge to the junction of Hyungsangang. The basin area is 7.10$\textrm{km}^2$ and the slope is 1/200~1/300. Gyeongju has good atmospheric conditions, i.e. SO$_2$0.011 ~0.017ppm, CO 0.8~ 1.5ppm, NO$_2$0.013~0.019ppm, $O_3$0.013~0.020ppm, TSP 85~142$\mu\textrm{g}$/㎥, PM-10 47~90$\mu\textrm{g}$/㎥ and Pb 0.057 ~0.129$\mu\textrm{g}$/㎥, which is below the annual and daily averages, and is little lower than those of Pohang and Ulsan. The ecosystem of Bukchun i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food chain, which includes birds such as the grey and white herons at the top of the food chain. This study also considers the development of the river's in terms of culture, environment and ecology concept.

      • KCI등재

        사실, 과학 그리고 문학의 신생-신체제기 한국 대중소설에 나타난 ‘기술적’ 주체와 문학의 재편

        정종현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3 No.-

        Japan’s Fundamentals of National Policy issued just after the Konoe Cabinet had been launched on July 22, 1940 proclaiming the New Order Movement liste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rationalization of production while prioritizing technological advancement as a key policy. Serial novels in newspapers during the period became gradually marginalized with socialist ideologies and modern literature represented as pathological or erotic while the male gender-based subjectivity of technology based on science was being centralizing. The narratives where scientific elites as heroes obtained universal subjectivity by re-forming colonial selves were made. However, these narratives were limited to individual dimensions so that there was no way of avoiding dilemma that all of the nation or people couldn’t turn into universal subjects through technology. As soon as the Pacific War broke out, this science- oriented policy deteriorated into technology for mobilization with literature also incorporated into one of the medium. 1940년 7월 22일 2차 고노에(近衛) 내각의 출범과 함께 시작된 신체제의 「기본국책요강(基本國策要綱)」은 과학의 획기적 진흥과 생산의 합리화라는 항목을 두어 과학진흥을 국가기본정책 중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 문화장(場)에서도 과학은 사회주의와 개인주의, 자유주의 등 이전의 서구적 근대라는 보편성을 대체하는 새로운 보편 표상으로 제시되었다. 신체제기의 신문연재소설들은 병적이고 에로스적인 것으로 표상되는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근대문학을 과학을 기반으로 하는 남성젠더적 기술적 주체성을 중심으로 주변화하였다. 또한 식민지의 과학엘리트를 주인공으로 삼아 과학을 통해 왜소한 식민지적 자아를 성형하고 보편적 주체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서사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성공의 서사는 개인의 차원에 국한되었으며 민족과 대중 전체가 과학을 통해 보편주체로 전환할 수는 없다는 딜레마에 직면하게 되었다. 태평양전쟁이 발발하면서 과학주의는 동원을 위한 테크놀로지로 속류화되며, 문학 역시 이러한 동원의 도구로 전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